백말(白襪), 말(襪)
조선 시대 제례와 연례에서 악공ㆍ일무악공ㆍ처용 등이 신목이 없는 신발과 함께 신었던 흰색 포(布)로 만든 버선
백포말은 조선 시대 제례와 연례에서 악공ㆍ일무악공ㆍ처용 등이 신목이 없는 리(履)나 혜(鞋)와 함께 신었던 흰색 버선[襪]이다. 백포말은 흰색 베[白布]로 만들었는데 안감으로 생베[生布]를 사용하였다. 악공과 일무악공이 신은 백포말은 발을 넣는 부분인 버선부리에 끈이 달리지 않은 일반용 버선으로 발등의 솔기부분인 수눅이 사선으로 누은 ‘뉘인목 버선’ 형태였다. 집박악사와 같이 신목이 긴 장화 형태의 흑피화를 신을 때는 백포말을 신지 않았는데 화(靴)에는 기본적으로 버선에 해당하는 정(精)이 갖춰져 있었기 때문이다.
버선은 신목이 없는 신발과 함께 신었다. 종묘제례에서 제복을 입는 문무백관은 백포말(白布襪)과 흑피로 만든 리를 신었고, 등가ㆍ헌가 악공과 일무악공은 백포말과 오피리(烏皮履)를 신었으며, 연례에서 처용은 백포말과 백피(白皮)로 만든 혜를 신었다. 조선 전기의 백포말은 『국조오례의서례』와 『악학궤범』에서 볼 수 있다. 『악학궤범』에 수록된 악공의 백포말 도식화에는 끈이 없으나, 『국조오례의서례』에 수록된 문무관 제복의 백포말 도식화에는 발목 부분인 회목이 따로 재단되어 있고 회목의 좌우에 끈이 두 개 달려 있다. 악공은 끈이 없는 일반용 버선을 신었고 문무백관은 끈이 달린 예복용 버선을 신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 후기의 백포말은 『종묘의궤』와 『경모궁의궤』에서 볼 수 있다. 『종묘의궤』에 수록된 악공의 백포말은 회목이 따로 재단되어 있지 않고 끈도 달려 있지 않은 ‘일반용 버선’ 형태로서, 『악학궤범』의 백포말 도식화와 설명글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이다.
반면에 『경모궁의궤』에 수록된 악공의 백포말은 발목부분인 회목이 따로 재단되어 있고 발을 넣는 부분인 버선부리 뒤쪽에 끈[綦]이 두 개 달려 있는 ‘예복용 버선’ 형태인데, 문무백관이 신은 제복의 백포말도 동일하게 그려져 있다.
다만, 악공의 백포말 설명에는 끈에 대한 언급이 없고 제복의 백포말 설명에는 끈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도식화만 보면 조선 후기에 악공이 끈이 달린 예복용 버선을 신었을 가능성도 있으나, 악공의 백포말 설명에 끈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것으로 보아 조선 후기 악공의 백포말은 조선 전기 악공의 백포말과 같이 끈이 없는 일반용 버선이 그대로 유지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현행 종묘제례악 공연에서 악공과 일무악공은 오피리 대신 목화를 신고 있다.
○ 쓰임 및 용도 백포말은 아악 등가의 도창악사와 각 차비공인, 속악 종묘ㆍ영녕전의 문무(文舞)ㆍ무무(武舞)를 추는 공인과 의물(儀物)을 잡는 공인, 그리고 처용(處容)이 신었다. 조선 시대 종묘제례에서 등가ㆍ헌가 악공과 일무악공은 백포말을 신고 오피리를 신었고, 연례에서 처용은 백포말을 신고 혜를 신었다. 오피리와 혜는 신목이 없어 발목이 드러나므로 예를 갖추기 위하여 백포말을 신었다. 『악학궤범』에 따르면 신목이 없는 신발인 리나 혜를 신는 공인은 모두 백포말을 신었다고 한다. ○ 형태 및 구조 백포말의 형태는 『악학궤범』과 『종묘의궤』의 백포말 도식화에서 볼 수 있다. 버선은 형태에 따라 발등의 솔기부분인 수눅이 곧은 ‘곧은목 버선’과 수눅이 사선으로 누은 ‘뉘인목 버선’으로 구분되는데, 『악학궤범』과 『종묘의궤』의 백포말은 모두 ‘뉘인목 버선’이다. 버선은 용도에 따라 ‘일반용 버선’과 ‘예복용 버선’으로 구분된다. 『악학궤범』과 『종묘의궤』의 버선은 끈이 없는 일반용 버선으로 홍극가(1670년 졸)의 묘에서 출토된 버선과 동일한 형태였을 것으로 보인다. 홍극가의 버선은 겉감과 안감이 모두 무명이고 겉감과 안감 사이에 솜이 얇게 넣어져 있으며, 발길이 25㎝, 높이 24.5㎝, 버선목 너비 17㎝이다.
예복용 버선은『국조오례의서례』와 『경모궁의궤』에 수록된 문무백관의 제복용 말(襪) 도식화에서 보듯이 발목부분인 회목이 따로 재단되어 있고 회목의 좌우 또는 발을 넣는 부분인 버선부리 뒤쪽에 끈이 두 개 달려 있다. ○ 재질 및 재료 조선 시대에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신분에 상관없이 흰색 베로 만든 버선을 신었다. 조선 시대 출토 유물 버선은 대부분 겉감은 세목(細木)이나 광목이고, 안감은 광목⋅거친 면⋅삼베 등이었다. 『악학궤범』과 『종묘의궤』에 ‘백포말은 흰색 베로 만들고 안감으로 생베를 사용 한다’는 기록으로도 확인된다. 백포말을 만들기 위한 옷감과 실의 필요량에 대해서는 『경모궁악기조성청의궤』의 기록을 참조할 수 있다. 백포말 한 켤레를 만드는데 흰색 베 5척, 마사(麻絲) 3분이 사용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버선을 홑ㆍ겹ㆍ솜ㆍ솜누비로 만들었고, 오이씨 같은 버선 맵시를 내기 위하여 버선을 실제 발 크기보다 작게 만들거나 솜을 통통하게 넣어 만들었다.
종묘제례에서 등가⋅헌가 악공과 일무악공은 백포말을 신고 오피리를 신었는데, 오피리는 신목이 없는 신발이므로 버선이 겉으로 드러나게 된다. 흰색 버선은 등가⋅헌가 악공의 홍색 연주복과 검은색 신발 사이에서, 일무악공의 남색 무용복과 검은색 신발 사이에서 살짝 내비친다. 버선의 흰색은 드러나는 비중은 크지 않았지만 홍색, 남색, 검은색과 더불어 오방색을 완성하는 단일 색상으로 부족함이 없었다. 흰색 버선과 검은색 오피리는 흑⋅백의 보색대비를 이루어 악공과 일무악공의 복식을 단정하게 갈무리하였다.
문화재청,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② 복식ㆍ자수편』, 문화재청, 1997. 송지원⋅이숙희⋅김영숙, 『종묘제례악』, 민속원, 2008. 김지은, 「한국 전통 조형미를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 조선시대 버선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이숙희, 「궁중 제례악 복식의 변천과 그 의미 -개화기 이후 일제강점기까지-」, 『국악원논문집』 33, 2016.
이주영(李珠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