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삼(綠衫), 청삼(靑衫)
조선 시대 제례와 연례에서 등가ㆍ헌가의 집박악사가 입었던 녹색 비단[綠綃]으로 만든 겉옷
녹초삼은 조선 시대 제례와 연례에서 등가ㆍ헌가의 집박악사가 박을 쳐서 음악의 시작과 끝을 알릴 때 입었던 겉옷이다. 옷깃이 둥글고 소매가 넓고 길이가 긴 포[袍]로서 녹색 비단[綠綃]으로 만든 홑옷이다. 악사가 입은 겉옷의 명칭은 조선 전기와 후기에 모두 녹초삼으로 동일하였지만 그 형태는 달랐다. 조선 전기의 녹초삼은 문무백관의 관복인 공복(公服)과 동일한 형태였으나, 조선 후기의 녹초삼은 문무백관의 관복인 단령과 동일한 형태로 변화되었다. 단령은 조선 전기에서 후기로 갈수록 그 형태가 서서히 변화되었는데, 조선 후기의 단령은 소매통이 넓고 사각형 무가 뒤로 젖혀져 뒷길에서 고정된 형태였다. 녹초삼은 조선 시대에는 녹삼ㆍ청삼으로도 불리었으나 일제강점기부터는 주로 청삼으로 불리게 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현행 종묘제례악 공연에서 악사가 입는 청삼은 조선 후기의 녹초삼과 형태도 동일하고 색상도 동일한데 녹초삼과 달리 가슴과 등에 쌍학흉배가 부착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조선 시대 제례와 연례에서 악사는 박을 쳐서 음악의 시작과 끝을 알리거나 춤사위의 변화를 알리는 등 연주의 진행을 총괄하였다. 조선 시대 악사의 복식은 복두(幞頭)ㆍ녹초삼ㆍ오정대(烏鞓帶)ㆍ흑피화(黑皮靴)로 구성되었는데, 그 구성은 조선 전기와 후기에 거의 동일하였다. 조선 전기의 녹초삼은 『국조오례의서례』와 『악학궤범』에 기록되어 있고, 조선 후기의 녹초삼은 『종묘의궤』ㆍ『경모궁의궤』ㆍ『육전조례』에 기록되어 있다. 악사가 녹초삼을 착용하고 있는 모습은 『기사진표리진찬의궤』ㆍ《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오향 친제반차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의 『조선아악요람』에는 종묘제례 악사 복식이 청삼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청삼은 조선 후기 녹초삼의 형태가 계승된 것이다. 녹초삼은 문헌에 녹삼 또는 청삼으로 기록되어 있다. 『국조오례의서례』에는 녹삼으로, 『악학궤범』과 『육전조례』에는 녹초삼으로, 『기사진표리진찬의궤』에는 청삼으로 기록되어 있고, 『진찬의궤』에는 녹초삼 또는 청삼으로 기록되어 있다. 동일한 문헌에 두 가지 명칭이 혼용된 경우도 있는데, 『종묘의궤』에는 청삼과 녹초삼이, 『경모궁의궤』에는 녹삼과 녹초삼이 모두 악사의 복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 쓰임 및 용도
녹초삼은 조선 시대 제례와 연례에서 집박악사가 입었던 겉옷이다. 악사는 머리에 양쪽으로 뿔이 달린 검은색 복두를 쓰고 녹색 비단으로 만든 포[녹초삼]를 입은 다음 허리에 검은색 대[오정대]를 둘렀으며 신목이 긴 검은색 신발[흑피화]을 신는 차림을 하였다. 『악학궤범』에 따르면 녹초삼은 종묘제례 외에 속악이 사용되는 제향인 영녕전ㆍ문소전ㆍ영은전ㆍ소경전의 제향과 예연에서도 집박악사의 겉옷으로 사용되었다.
○ 형태 및 구조
녹초삼의 형태는 『악학궤범』ㆍ『종묘의궤』ㆍ『진찬의궤』의 녹초삼 도식화에서 볼 수 있다.
그 착용 모습은 『기사진표리진찬의궤』에 그려진 악사와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오향친제반차도〉에 그려진 악사의 모습에서 볼 수 있다.
조선 전기의 녹초삼은 『악학궤범』에 따르면 옷깃이 둥글고 소매가 옷 길이의 반 정도로 넓은 형태이다. 도식화 설명에 “홍초삼의 제도도 같다. 홍초삼은 곧 붉은색 공복[絳公服]이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므로 녹초삼은 문무백관의 관복인 공복(公服)과 동일한 형태임을 알 수 있다. 다만, 문무백관의 공복과 달리 녹초삼에는 소매 끝에 좁은 끝동이 달려 있는데, 끝동은 장식적인 효과와 함께 손목 아래로 펼쳐진 넓은 소매 자락이 연주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특별히 달았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 후기 녹초삼의 형태는 『종묘의궤』와 『진찬의궤』에서 볼 수 있는데, 『악학궤범』과 비교해 볼 때 크게 변화된 점은 없으나 소매배래선의 양 모서리가 둥글게 변화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식화에는 양 옆에 삼각형 무가 달린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사각형 무가 뒤로 젖혀져 뒷길에서 고정된 형태를 묘사한 것으로서 조선 후기의 관복 단령과 동일한 형태로 볼 수 있다. 문무백관의 공복이 임진왜란 이후에 거의 착용되지 않게 되면서 공복 형태의 녹초삼이 단령형태의 녹초삼으로 변화된 것으로 보인다. 단령 형태로 변화된 녹초삼은 『진찬의궤』에 그려진 녹초삼 도식화와 『기사진표리진찬의궤』에 그려진 악사의 모습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재질 및 재료
『악학궤범』과 『종묘의궤』에 따르면 녹초삼은 녹색 비단[綠綃]으로 만들었다. 녹초삼을 만들기 위한 옷감과 실의 필요량에 대해서는 『경모궁악기조성청의궤』의 기록을 참조할 수 있다. 녹초삼 한 벌을 만드는데 녹색 비단 19척, 초록색 실[草綠鄕絲] 5분이 사용되었는데, 안감에 대한 기록은 없으므로 홑옷으로 볼 수 있다. 『악학궤범』에는 녹초삼의 부위별 치수도 기록되어 있는데, 옷길이[通長]는 3척 1촌, 소매화장[袖]은 한 폭 반[全幅半], 허리둘레[腰廣]는 1척 5촌, 소매통은 1척 4촌이다. 이 치수를 포백척 46.66㎝를 기준으로 환산하면, 옷길이는 145㎝, 허리둘레는 70㎝, 소매통은 65㎝ 정도가 되는데, 착용자의 체격이나 체형에 따라 융통성 있게 제작되었다.
조선 시대 제례와 연례에서 집박악사는 등가ㆍ헌가 악공이 연주할 때 박을 쳐서 음악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역할을 담당하였는데, 서양음악의 지휘자에 해당하는 연주의 총괄 책임자였다. 악사가 입었던 복두ㆍ녹초삼ㆍ오정대ㆍ흑피화는 문무백관의 관복 차림으로서 다른 연주자들의 옷차림보다 품위가 있어 보인다. 악사는 복두를 쓰고 품계가 높은 사람들이 신는 신목이 긴 흑피화를 신어 개책을 쓰고 신목이 짧은 오피리를 신은 일반 연주자와 구별되었다. 악사의 녹초삼은 일반 연주자가 입은 홍주의와 녹ㆍ홍 보색 대비를 이루어 악사가 연주자들 중에서 쉽게 구별되도록 하는 시각적 기호가 되었다. 녹초삼과 홍주의는 음양의 조화를 상징하기도 하였다. 전통예절의 음양론에서 현색(玄色) 즉 검푸른 청색(靑色)은 양(陽)인 하늘을 상징하고 훈색(纁色) 즉 홍색(紅色)은 음(陰)인 땅을 상징하였다. 악사가 입은 녹초삼의 녹색은 흑색계로 양에 해당하고 일반 연주자가 입은 홍주의의 홍색은 음에 해당하므로 녹초삼과 홍주의는 지휘자와 연주자 간의 음양의 조화를 복식으로 구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송지원⋅이숙희⋅김영숙, 『종묘제례악』, 민속원, 2008. 고윤정, 「조선시대 궁중악인 복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박가영, 「『악학궤범』복식의 착용에 관한 연구」, 『국악원논문집』 16, 2004. 박소연, 「종묘제례악 악인 복식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이은주ㆍ이경희, 「1829년 〈명정전진찬도〉의 정재차비(呈才差備) 복식 연구」, 『한복문화』 19/4, 2016.
이주영(李珠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