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단령(草綠團領), 압두록 단령(鴨頭綠 團領), 녹주단령(綠紬團領), 녹단령의(綠團領衣), 녹주의(綠紬衣), 녹주삼(綠紬衫), 녹초삼(綠綃衫) 녹포단령(綠袍團領), 녹의(綠衣), 압두록 목면단령(鴨頭綠 木棉團領), 녹색단령, 녹나포(綠羅袍), 녹단령(綠團領), 녹초단삼(綠綃單衫), 녹삼(綠衫)
악인(樂人)의 공복(公服)으로 착용하는 녹색의 단령(團領)
악인(樂人)이 연주ㆍ노래 및 지휘ㆍ감독 할 때 착용하는 공복(公服)의 포(袍)로 둥근 깃이 달린 단령포(團領袍)이다. 악인들은 양인 또는 천민출신이지만 의례(儀禮)에 직접 참여하여 연주 및 노래하는 특수한 직분의 사람들로 특별히 공복(公服)과 관복(冠服)의 착용이 허용되었다. 악인의 등급과 의례의 종류에 따라 복식은 다양하였는데 이 중 녹단령은 초록색의 비단이나 면포 등으로 만들었다. 머리에 복두(幞頭)를 착용하고 허리에 대(帶)를 착용하고 목이 긴 화(靴)를 신는 것으로 구성된다.
조선시대 관리의 관복제도는 조복(朝服)ㆍ제복(祭服)ㆍ공복(公服)ㆍ상복(常服)ㆍ융복(戎服)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 공복은 임금에게 상주(上奏)할 일이 있어 관원(官員)이 조정(朝廷)에 나아갈 때 입는 관복(冠服)으로 백제 고이왕 27년(260)에 공복제도가 처음 시행되었는데 관식(冠飾)과 대색(帶色)으로 차이를 두어 상하의 등위를 구별하였다. 신라에서는 법흥왕 7년(520) 육부(六部)의 의복제도를 정하였다고 하나 내용이 전해지고 있지 않으며 법흥왕 10년(523)에 재정비한 공복제도가 『삼국사기』 색복조(色服條)에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에 의하면 자(紫)ㆍ비(緋)ㆍ청(靑)ㆍ황(黃)의 사색으로 등위에 따라 포의 색을 구분하고 있으며 진덕여왕 3년(649)에 복두ㆍ포ㆍ대ㆍ홀(笏)로 구성되는 공복 제도가 정해졌다. 이후 고려 광종 11년(960)에 관료제도에 따른 사색공복제도를 정하였는데 『고려사』 여복지(與服志)의 기록에 의하면 원윤(元尹) 이상은 자삼(紫衫)ㆍ중단경(中壇卿) 이상은 단삼(丹衫)ㆍ도항경(都航卿) 이상은 비삼(緋衫)ㆍ소주부(小主簿) 이상은 녹삼(綠衫)으로 자ㆍ단ㆍ비ㆍ녹의 사색공복제도 이었으며 이때부터 녹색의 공복이 착용되기 시작하였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태조 1년(1401)에 새로운 공복제도를 정하였는데, 1품은 홍포ㆍ여지금대(荔枝金袋)ㆍ상홀, 3ㆍ4품은 청포ㆍ흑각대ㆍ상홀, 5ㆍ6품은 청포ㆍ흑각대ㆍ목홀, 7ㆍ8ㆍ9품은 녹포ㆍ흑각대ㆍ목홀로 홍ㆍ청ㆍ녹으로 포의 색상을 정했으며 모두 흑화(黑靴)를 신었다. 이후 고종 21년(1884) 단행된 복장개혁에 따라 관복으로 흑단령만을 착용하게 되었고, 1894년 갑오경장에 이르러 흑반령착수포(黑盤領窄袖袍)를 대례복으로 겸용하게 함으로써 공복제도는 사라졌다.
○ 용도
고려시대에는 집무복으로 공복을 착용하였으나 조선시대에는 집무복으로 상복을 입고, 삭일(朔日)ㆍ조회(朝會)와 사은(謝恩)할 때 공복을 착용하였다. 『경국대전』 예전 의장조에 따르면 공복과 집무복인 상복을 관모와 흉배의 유무로 구분하였는데, 공복에는 복두를 착용하였으며, 흉배가 없었다. 이에 따라 왕세자 이하 문무백관을 비롯하여 향리(鄕吏), 전악(典樂) 등의 관리들은 공적인 행사에 참여할 때 공복을 착용하였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세종 때 속악 등가의 악사는 복두를 쓰고 녹초삼에 검은 가죽띠[烏革帶]를 띠고 검은 가죽으로 만든 목이 긴 신[黑皮靴]을 신었다.
정조 때 전악은 복두를 쓰고 녹단령의에 오정대(烏鞓帶)를 띠고 흑피화(黑皮靴)를 신었으며, 순조 이후에 전악은 복두를 쓰고 녹초삼에 오정대를 띠고 흑피화를 신었다. 홍ㆍ녹주의는 문소전ㆍ연은전ㆍ소경전에서 친행ㆍ섭행한 전상악ㆍ전정악의 차비(差備) 공인들이 입었던 홍색 또는 녹색 비단으로 만든 단령포로 가슴과 등에 모란꽃을 흉배처럼 그려 넣고, 모시로 만든 꽃을 앞에 꽂은 오관(烏冠)과 함께 착용했다.
원형의 덩굴 안에 홍색 모란과 초록잎이 그려진 문양으로 붉은 색 홍주의에는 녹색 흉배를, 녹색 녹주의에는 홍색 흉배를 그렸다. 이 외에 가자(歌者)는 자적두건(紫的頭巾)을 쓰고 녹단령에 자적광대(紫的廣帶)를 띠고 흑화를 신었으며 관현맹인(管絃盲人)은 녹색 비단 두건[綠紬頭巾]을 쓰고 압두록색 면직물로 만든 압두록 단령에 주석으로 만든 붉은 가죽 허리띠를 착용하였다.
가동(歌童)은 자주색 비단 두건[紫紬頭巾]을 쓰고 녹색 비단으로 만든 녹주단령에 붉은 색 매듭 허리띠[廣多會]를 띠고 검고 목이 긴 가죽신[烏皮靴]을 신었다. 조선후기 집박전악의 복식(服飾)은 집박악사와 같이 모라복두(冒羅幞頭)를 쓰고 녹초단삼에 야대(也帶)를 띠고, 흑화를 신었다.
색상과 재료ㆍ착용자의 등급에 따라 다양한 명칭이 있었다. 색상은 초록색ㆍ녹색ㆍ압두록색 등의 색상이 있었으며 단령ㆍ삼ㆍ의ㆍ단삼 등의 명칭이 있었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공복의 단령포는 1품에서 정3품까지는 홍색ㆍ종3품에서 6품까지는 청색ㆍ7품에서 9품까지는 녹색으로 규정되어 있어 6품에 해당하는 악사는 청색의 단령포를 입어야 하나 연주 시 악사와 악공 등의 복색 조합을 위해 녹색의 단령포를 입은 것으로 보인다.
『고려사』 『국조오례의』 『수원릉행도』 『악학궤범』 『진연의궤』 『진작의궤』 『평안감사환영도』 고광림, 『한국의 관복』, 화성사, 1990. 송방송, 『의궤 속의 우리 춤과 음악을 찾아서』, 보고사, 2008. 송방송, 『한국음악용어론』, 보고사, 2012. 유송옥, 『한국복식사』, 수학사, 1998. 이주영, 「經國大典, 續大典, 명 홍무연간 문무관 공복의 제정과 개정 시기 재검토」, 『복식』63, 2013.
박민재(朴民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