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수(飜袖), ‘저앙수(低昻袖)’ㆍ요수(搖袖)ㆍ거수휘지(擧袖揮之)
두 팔을 위로 떨쳐 뿌려 한손은 입 가까이 들고 한손은 옆으로 펴 들고 양 손의 높낮이를 달리하여 위아래로 흔드는 춤사위
이수고저는 ‘소매[팔]를 위아래로 움직인다’는 뜻이다. 『정재무도홀기』에 기록된 이수고저는 독무로 추는 정재를 제외한 대부분의 정재에서 추고, 궁중정재의 기본법례에 의하여 정재 대형의 형태 및 무용수가 선 위치에 따라 양손을 휘두르는 방향이 서로 다르다.
근대 이후에는 1930년대 당시 이왕직아악부 아악사장을 지냈던 김영제(金寧濟, 1883~1954)가 〈춘앵전〉의 ‘저앙수(低昻袖)’를 “한 팔씩 앞으로 넘기며 추는데, 이수고저(以袖高低)이다”, “요수(搖袖)의 거수휘지(擧袖揮之)는 이수고저와 같다”라고 풀이하였는데, 이 내용은 『궁중무용무보』제2집에 전한다.
현재 이수고저는 팔을 위로 떨쳐 뿌려 왼쪽으로 나란히 내리면서 오른손은 입 가까이 들고 왼팔은 옆으로 펴든 체 위아래로 흔들고, 다시 두 팔을 위로 떨쳐 뿌려 오른쪽으로 나란히 내리면서 왼손은 입 가까이 들고 오른팔은 옆으로 펴 들고 위아래로 흔들며 춘다.
이수고저를 출 때, 〈춘앵전〉은 화문석, 〈무산향〉은 대모반(玳瑁盤), 〈영지무〉는 영지(影池: 연못), 〈무애무〉는 호로(葫蘆), 〈사선무〉는 연화(蓮花)를 무구로 사용한다.
현재는 문헌 기록과는 상관없이 여러 정재 작품에서 춘다.
『시용무보 정재무도홀기 (時用舞譜(全)呈才舞圖笏記)』, 국립국악원, 1989. 『건원1400년 개원50년 국립국악원사』, 국립국악원, 2001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손선숙, 『궁중정재용어연구』, 민속원, 2008. 손선숙, 『한국궁중무용사』, 보고사, 2017. 송방송ㆍ손선숙, 『정재홀기 속의 우리 춤과 음악찾기』, 보고사, 2009. 이혜구 역주, 『신역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장사훈, 『한국전통무용연구』, 일지사, 1979. 박은영, 「춘앵전 춤동작 이수고저의 미적 의미」, 『한국체육철학학회지』 17(3), 2009. 조경아, 「일제강점기 기록을 통해 본 춘앵전의 역사성」, 『무용예술학연구』 29, 2010. 국립국악원 아카이브(https://streaming.gugak.go.kr:1935/ArchivePortal/)
손선숙(孫善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