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족도(拱手足蹈)ㆍ염수무(斂手舞)ㆍ염수이무(斂手而舞)ㆍ염수족도이무(斂手足蹈而舞)
‘두 손을 앞에 모으고 무릎을 굽혔다 펴는’ 혹은 ‘두 손을 앞에 모으고 걸어가는’ 춤동작
염수족도는 <동동>ㆍ<무애무>ㆍ<오양선>ㆍ〈곡파(曲破)〉ㆍ〈교방가요(敎坊歌謠)〉ㆍ〈근천정(覲天庭)〉ㆍ〈금척(金尺)〉ㆍ〈성택(聖澤)〉ㆍ〈수명명(受明命)〉ㆍ〈수명명(受明命)〉ㆍ〈육화대(六花隊)〉ㆍ〈포구락(抛毬樂)〉ㆍ〈하성명(賀聖明)〉ㆍ〈하황은(荷皇恩)〉ㆍ〈헌선도(獻仙桃)〉ㆍ〈문덕곡(文德曲)〉ㆍ〈봉래의(鳳來儀)〉ㆍ〈아박〉ㆍ〈정대업(定大業)〉등 여러 정재에서 추는 춤동작이다. 고려시대부터 현재까지 전승되어 왔으며, 『고려사(高麗史)』「악지(樂志)」ㆍ 『악학궤범(樂學軌範)』(1493)ㆍ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염수족도는 한국전쟁 후 국립국악원 주도하에 김천흥(金千興, 1909~2007)과 이흥구(李興九, 1940~ )의 재현 안무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염수족도는 ‘손을 모으고 걷는다’ 뜻으로, 궁중정재의 가장 기본적인 춤동작이다.『정재무도홀기』에 기록된 염수족도는 정재마다 다양한 내용에서 나타나는데, 무용수들이 나아가고[무진] 물러날 때[무퇴], 엎드려 절하고 난 다음 혹은 무구를 잡고 일어선 다음, 특정한 창사를 부를 때와 창사를 부르고 난 다음, 특정한 춤 구조[대형ㆍ이동ㆍ방향ㆍ동작]를 마무리 지을 때마다 추었다. 현재 염수족도는 다섯 가지 동작으로 춘다. 염수족도①은 두 손을 앞에 모으고 무릎을 굽혔다 펴는 동작으로, 제자리에서 무릎을 굽혔다 펴기도 하고 또는 엎드려 절하거나 무구를 잡고 일어선 다음에 무릎을 굽혔다 편다. 염수족도②는 두 손을 앞에 모으고 걸어가는 동작으로, 무용수들이 나아가고 물러날 때 춘다. 염수족도③은 두 손을 앞에 모은 체 위로 올려 눈썹위치에서 양옆으로 펼쳐들었다가 다시 앞으로 모으며 무릎을 굽혔다 펴는 동작으로, 무진한 다음 혹은 창사를 부르고 난 다음에 춘다. 염수족도④는 두 손을 앞에 모으고 몸을 앞과 뒤로 움직이며 무릎을 굽혔다 펴는 동작으로, 특정한 창사를 부를 때 춘다. 염수족도⑤는 두 팔을 아래로 내려 양옆으로 펼쳐들었다가 다시 앞으로 모으면서 무릎을 굽혔다 펴는 동작으로, 특정한 정재 춤동작 혹은 춤 구조를 마무리 지을 때 춘다.
현재 염수족도는 문헌 기록과는 상관없이 작품에 따라 〈보허자(步虛子)〉ㆍ〈향당교주(鄕唐交奏)〉ㆍ〈세령산(細靈山)〉ㆍ도드리ㆍ자진도드리ㆍ타령ㆍ자진타령 등 다양한 장단에 맞춰 춘다.
염수족도는 궁중정재의 기본법례에 의거하여 무용수 역할에 따라 수법은 선모(仙母)는 오른손, 협무(挾舞)는 바깥쪽 손인 외수(外手)를 위로 여미고, 보법은 안쪽 발인 내족(內足)으로 먼저 딛는다.
염수족도는 궁중정재의 가장 기본적인 동작에 해당된다. 현재는 문헌에 염수족도가 기록되지 않아도 어떤 특정한 동작을 하고 난 다음 그 동작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혹은 마무리 지을 때 여러 작품에서 춘다.
『시용무보 정재무도홀기 (時用舞譜(全)呈才舞圖笏記)』, 국립국악원, 1989. 『건원1400년 개원50년 국립국악원사』, 국립국악원, 2001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손선숙, 『궁중정재용어연구』, 민속원, 2008. 손선숙, 『한국궁중무용사』, 보고사, 2017. 송방송ㆍ손선숙, 『정재홀기 속의 우리 춤과 음악찾기』, 보고사, 2009. 이혜구 역주, 『신역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장사훈, 『한국전통무용연구』, 일지사, 1979. 김명숙, 「김천흥의 예술세계」, 『무용예술학연구』 14, 2004. 국립국악원 아카이브(https://streaming.gugak.go.kr:1935/ArchivePortal/)
손선숙(孫善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