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향악정재의 하나로, 모란꽃을 꽂아 놓은 화준(花樽)을 중심으로 여러 무용수들이 꽃가지를 뽑아 들고 추는 춤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향악정재 중 하나이다. 모란꽃을 꽃은 화병을 반(盤) 위에 설치하여 중앙에 놓고 무용수들이 둘러서서 꽃을 어르며[弄花] 춤추다 꽃가지를 꺾어들어/집어들고 화준을 향해 돌거나[선전(旋轉)] 나아가고 물러나며[진퇴(進退)] 춤춘다.
가인전목단은 1828년(순조 28) 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가 어머니인 순원왕후(純元王后, 1789~1857)의 보령 40세 생신을 경축하기 위하여 올린 연경당 진작례(進爵禮)에서 무동정재(舞童呈才)로 처음 공연되었다. 창사는 효명세자가 직접 지었다. 중국 청나라 백과사전인 『연감유함(淵鑑類函)』에 “송나라 악무 10대 중 네 번째가 가인전목단으로 붉은 생사로 짠 의상을 입고 금으로 봉황을 아로새겨 만든 금봉관(金鳳冠)을 쓰고 목단을 꺾는다”라고 하였다. 이 고사에 연원을 두고 창제된 가인전목단은 조선 후기에 거행된 왕실의 모든 연향에서 빠짐없이 연행되었다. 현재의 가인전목단은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 를 토대로 김천흥(金千興, 1909~2007)에 의하여 재현되어 무대화된 작품이다.
〇 내용
가인전목단은 ‘아름다운 사람이 모란을 꺾는다’는 뜻으로 모란꽃을 화준에 꽂아놓은 모란꽃을 뽑아 들고 어르며 즐겁게 춤추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순조 무자년(1828)에 처음 연행되었을 때에는 네 명의 무동이 추었다.
다음 해인 순조 기축년(1829)의 진찬(進饌)에서 여령(女伶) 열두 명과 무동(舞童) 열여덟 명이 각각 춤추었고 이후 연행에서는 공연 상황에 맞게 네 명·여덟 명·열 명·열두 명·열여덟 명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었다. 현재 가인전목단은 대체로 여덟 명의 무용수가 춤춘다.
〇 구성 『정재무도홀기』의 가인전목단 도입부는 ①악사가 화준을 든 기(妓)를 거느리고 나와 중앙에 놓고 나가면 무용수들이 좌우로 나와 선다. ②왼쪽의 대는 서쪽을 향하여 바깥으로 돌고, 오른쪽의 대는 동쪽을 향하여 안쪽으로 돌아[회무(回舞)] 북쪽을 향하여 서서 창사를 부른다. 전개부는 ①무용수들이 화준을 향하여 원(圓)으로 둘러서서 마주보기도 하고 등지기도 하면서 꽃을 어르며 춤춘다[원무(圓舞)]. ②각각 꽃가지를 취하여 화준을 향해 빙빙 돌며 춤춘다[환무(歡舞)]. 종결부에서는 무용수들이 처음의 대열로 돌아가 춤추며 나아가고 물러나면서 춤을 마친다. 조선 후기 가인전목단은 무용수의 차이만 있을 뿐 내용은 변함없이 전승되었고 정재무도홀기에 일곱 편의 무보(舞譜)가 전한다. 현재 공연되는 가인전목단의 도입부는 여덟 사람의 무용수가 좌·우로 춤추며 나와 미리 설치해 둔 화준을 중심으로 2열 종대로 서서 창사를 부른다. 전개부는 ①화준을 향하여 원으로 둘러서서 꽃을 어르며 춤추다 먼저 오른손으로 꽃을 빼어 든다. ②오른손 꽃을 어르며 화준을 향해 마주보기도[或面] 하고 등지기도[或背]하고, 돌며[旋轉] 무진·무퇴하며 춤춘다. ③다시 화준을 향하여 무진(舞進)하여 왼손으로 꽃을 빼어 들고 혹면·혹배하며 춤추고 각각 상대(相對)·환전(歡轉)하며 춤춘다. 종결부는 다시 처음의 대열로 만들어 춤추며 물러나면 음악이 그친다. 조선 후기의 가인전목단과 현행 가인전목단의 차이점은 ①전개부에서 좌대와 우대가 마주 보며 도는 회무를 현재는 춤추지 않고, ② 조선 후기 가인전목단은 꽃가지를 한 개만 들고 춤추는데 현재는 오른손-왼손의 순서로 꽃을 집어 양손에 꽃을 들고 춤추는 점이 다르다. 〇 주요춤사위 『(계사)정재무도홀기』에 수록된 가인전목단의 주요 춤사위는 꽃을 어르는 동작인 ‘농화(弄花)’이다. 그 외에는 구체적인 춤사위보다는 공간구성이나 춤동작을 표현하는 용어들이 중심을 이룬다. 화준을 중심으로 바깥쪽을 향하여 춤춘다[향외이배무(向外而背舞)], 각각 마주 보며 춤춘다[각각상대이무(各各相對而舞)], 꽃을 어르며 춤춘다[농화이무(弄花而舞)], 즐겁게 춤춘다[歡舞], 한번은 등을 지고 한번은 마주하며[혹배혹면(或背或面)] 한번을 떨쳐 뿌리고 한번 돈다[일불일전이무(一拂一轉而舞)]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현행 가인전목단은『정재무도홀기』를 근거로 무대화되어 홀기에 기록된 춤사위 외에 수수무(垂手舞)·회두(回頭)·비리(飛履)·반전(半轉)·농화(弄花)·좌우일전(左右一轉) 등이 추가되어 꽃가지를 양손에 잡고 다양한 춤사위로 이루어져 있다.
가인전목단이 처음 연행된 1828년(순조 28) 6월의 진작(進爵)에서는 주나라 왕인 양왕(襄王)과 관련한 내용의 창사가 있었다. 다음 해인 1829년(순조 29) 진찬(進饌)에서 효명세자가 궁궐에 아름답게 피어있는 모란꽃을 표현하는 내용으로 칠언절구(七言絶句)의 창사(唱詞)를 새로 지어 공연하였고 이 창사가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연향의 성격에 따라 무동정재에서는 창사를 생략하기도 하였다. 현재 공연에서는 대체로 한 구절의 창사를 부른다. 순조 기축 진찬의궤에 전하는 창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萬朶先開照殿紅, 姚黃魏紫妬玲瓏. 만타선개조전홍, 요황위자투영롱. 新翻玉笛淸平樂, 別樣仙香撲蝶風 신번옥적청평악, 별양선향박접풍. 꽃송이 만발하여 궁전을 붉게 비추니, 요황(姚黃, 모란의 한 종류)과 위자(魏紫, 모란의 한 종류)가 영롱함을 자랑하네. 새로 지은 청평악(淸平樂)은 옥피리가 연주하고 별다른 선향(仙香)은 나비 날갯짓에 퍼지네. - 원문 출처: 김천흥, 『정재무도홀기 창사보1』 번역: 강명관
『정재무도홀기』에 전하는 가인전목단의 반주음악은 〈향당교주(鄕唐交奏)〉이다. 현재에는 〈도드리〉·〈자진도드리〉·〈타령〉·〈자진타령〉으로 연주한다.
〇 복식 가인전목단의 무동 복식은 1828년과 1829년에 약간의 차이가 보인다. 1828년 초연 때의 복식은 아광모(砑光帽)를 쓰고 홍라포(紅羅袍)·백질흑선중단의(白質黑線中單衣)·남질흑선상(藍質黑縇裳)·주전대(珠鈿帶)·녹한삼(綠汗衫)·무우리(無憂履)를 착용한다.
1829년에는 각건(角巾)을 쓰고 홍포(紅袍)·남야대(藍也帶)·흑화(黑靴)를 착용하였다. 여기의 복식은 조선 후기 여령 복식으로 화관(花冠)을 쓰고 초록단의(草綠丹衣)·황초단삼(黃綃單衫)을 입고, 안에는 남색치마[남색상(藍色裳)], 겉에는 홍색 치마[홍초상(紅綃裳)]와 홍단금루수대(紅緞金縷繡帶)·오색한삼(五色汗衫)·초록혜(草綠鞋)를 착용하였다. 1873년(고종 10) 연향 이후로는 여령 복식에 오색한삼(五色汗衫) 대신 옥색한삼(玉色汗衫)을 매는 것으로 변하였다. 현재 공연에서도 여령의 복식은 동일하고, 무동은 1828년에 기록된 복식에 따라 아광모・홍라포・주전대・무리・녹한삼을 착용한다. 〇무구 목단꽃을 가득 꽂은 화준(花樽; 꽃무늬가 있는 항아리)을 6각이나 8각의 반(盤) 위에 설치하고, 화준에 꽂힌 꽃을 무구로 사용한다.
가인전목단은 부귀(富貴)와 여왕(女王)을 상징하는 목단꽃을 주제로 무구인 화준을 사용하여 시각적 표현을 극대화하였고, 우아하고 화려한 정재의 특징을 잘 나타내주는 작품 중 하나이다. 연향에 따라 무원수를 다르게 구성하여 탄력적으로 연행되며, 초연된 1828년(순조 28) 이후 조선 후기 모든 연향에서 빠짐없이 추어졌고, 현재까지도 널리 공연되고 있다.
김영희외, 『한국춤통사』, 보고사, 2014. 이흥구·손경순, 『한국궁중무용총서:9』, 보고사, 2010. 송방송 외, 『국역순조기축진찬의궤:권1』, 민속원, 2007. 이의강 책임번역, 『국역 순조무자진작의궤』, 보고사, 2006. 한국예술학과음악사료강독회 역주, 『고종신축진연의궤:권3』, 민속원, 2002.
최경자(崔慶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