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에 창작된 당악정재로, 봄날의 풍경과 피어나는 아름다운 꽃들을 찬미하는 내용의 춤
최화무는 조선 후기 순조(純祖, 1790~1834, 재위 1800~1834) 때에 창제된 당악정재 형식의 춤이다. 최화무가 처음 추어진 것은 1828년(순조 28,무자) 순원왕후(純元王后,1789~1857)의 40세 생신을 축하하는 진작연(進爵宴)으로, 당시에는 무동 6명만이 추는 향악정재형식의 춤이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829년(순조 29, 기축), 효명세자가 창사(唱詞)를 새로 짓고 죽간자(竹竿子) 두 명과 무용수 다섯 명으로 구성된 당악정재 형식으로 바뀌어 전승되었다. 최화무가 연행된 기록은 많지 않으나, 조선 말 고종 대까지 궁중 연향에서 추어지다가 일제강점기에 중단되었다. 현대에 이르러 1981년 김천흥(金千興, 1909~2007)의 재현 안무로 무대에 올려진 이후, 국립국악원 무용단을 중심으로전승되고 있다.
최화무는 봄날의 궁궐 속 아름다운 꽃들이 피기를 재촉하고, 아름다운 봄 풍경을 찬미하는 내용의 춤이다. 이 춤은 두 가지 형태가 전해지는데, 하나는 무용수 여섯 명이 추는 형태로 비교적 구성이 간단하다. 주요 대형은 ①일렬 ②동서 2열로 춤추기 ③돌기(회선이무) ④ 남북 2열 만들어 서로 교차하며 춤추기 ⑤일렬(초입배열도)로 돌아가면 춤이 마무리된다.
이에 반해 죽간자와 무용수 다섯 명이 출연하는 당악정재 형식의 최화무는, 다섯 명으로 구성된 궁중무용의 전형적인 대형 변화를 보이고 있다. 대체적으로 ①죽간자가 진구호 부르기 ②처음 대형(초입배열도) ③사방(四方) 만들어 춤추기 ④일렬 만들어 춤추기 ⑤오방(五方) 만들어 춤추기 ⑥일렬 만들어 춤추기 ⑦회선(回旋)하기 ⑧처음 대형으로 돌아가 춤추기 ⑨죽간자 퇴구호 순으로 진행된다. 죽간자 구호 외에도 오언 또는 칠언으로 된 한문시 창사를 중무(中舞)와 협무(挾舞)가 여러 차례 부르는 것도 특징적인 부분이다.
최화무는 두 가지 형식이 존재하므로 창사도 각기 다르게 불렸다. 무동 여섯 명이 추는 향악정재 형식의 최화무 창사는 순조 무자년(1828) 『(무자)진작의궤』에 전하며, 모두 네 첩(疊)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 제3첩과 제4첩 가사는 당나라 장호(張祜, 약 785~849?)의 〈춘앵전〉 시(詩)를 그대로 인용하였다. (3첩) 흥경지남류미개(興慶池南柳未開): 흥경지의 남쪽 버들가지 싹트지 않았는데, 태진선파일지매(太眞先把一枝梅): 양귀비는 벌써 매화꽃 한 가지를 꺾어 들었네. (4첩) 내인이창춘앵전(內人已唱春鶯囀): 궁녀들은 이미 춘앵전을 노래하고 화하사사연무래(花下傞傞軟舞來): 꽃 아래 사뿐사뿐 춤추러 나오누나. 당악정재 최화무의 창사는 효명세자가 지은 것으로, 죽간자가 춤을 시작할 때 하는 진구호(進口號)에서 “갈고(羯鼓)로 새로운 곡조를 연주하여, 궁궐 정원의 꽃들이 피기를 재촉합니다.”라고 아뢰고, 춤이 끝날 때에는 “아정한 음악 이제 끝났으니 절하여 하직하고 물러나렵니다”라는 퇴구호(退口號)를 부른다. 이외에 중무 치어(中舞致語) 및 협무 창사(挾舞唱詞)를 부르는데, 협무 창사 중에 〈금도초전사(金刀初剪詞)〉는 〈육화대(六花隊)〉의 삼념시(三念詩)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죽간자의 퇴구호도 〈육화대〉 퇴구호의 일부를 개사(改詞)하여 지은 것이다. 최화무와 〈육화대〉의 창사는 화사한 봄날과 피어나는 아름다운 봄꽃을 묘사한 내용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죽간자 구호] 宮鶯嬌聲, 弄上都之春. 궁앵교성, 농상도지춘. 猲鼔新腔, 崔宸苑之花. 갈고신강, 최신원지화. 敢進香階, 幸預呈才. 감진향계, 행예정재. [죽간자 구호] 궁궐에 날아든 저 꾀꼬리 고운 울음 서울의 봄을 노래하고 갈고(羯鼓)의 새 가락 대궐 뜨락 꽃 피라고 재촉하는데 감히 궁전 섬돌에 나아가 다행히도 정재(呈才)에 참여하나이다. [중무 치어] 竹枝調美, 弄玉簫而轉聲. 죽지조미, 농옥소이전성. 桃葉情多, 疊花拍而催腔. 도엽정다, 첩화박이최강. 且奏梨園之雅樂, 宜遊瓊林之曲宴. 차주이원지아악, 의유경림지곡연. 來歌來舞, 以娛君王. 내가내무, 이오군왕. [중무 치어] 죽지사(竹枝詞)[중국의 지방 풍속을 읊은 시] 가락 아름다워 옥퉁소를 불며 소리를 굴리네. 도엽가(桃葉歌)[왕헌지(王獻之)가 첩 도엽을 위해 지은 노래]는 다정하여 화박(花拍, 원래 박자 외에 부가하는 박자)을 겹쳐 가락을 재촉하고, 거기다 이원(梨園)의 아악을 연주하니, 경림(瓊林, 仙境 같은 아름다운 곳)의 작은 잔치에서 놀아야 마땅하리. 노래하고 춤을 추며 임금님을 즐겁게 해 드려야 하리. [협무 창사] 春光且莫去 춘광차막거 留與醉人看 유여취인간 [협무 창사] 봄빛은 떠나지 말았으면! 남아 취한 이와 함께 보리라. [협무 창사] 淸曉牧丹芳, 乍點錦江春. 청효모란방, 사점금강춘 紅艶疑金蕊, 永認笙歌地. 홍렴의금예, 영인생가지. [협무 창사] 맑은 새벽 모란꽃 향기 언뜻 금강(錦江)의 봄을 적시네. 붉고 고와 금빛 꽃술인가 여기다가 생황 불고 노래하는 곳인 줄 정말 알게 되었네. [협무 창사] 感人心爲物瑞, 戴上玉釵時. 감인심위물서, 대상옥차시. 爛慢烟花裡, 逈與凡花異. 난만연화리, 형여범화이. [협무 창사] 사람 마음을 감동시키는 것이 사물의 상서로움이니, 옥비녀 머리에 꽃을 때는 안개 속 흐드러지게 핀 꽃 가운데서 여느 꽃과는 달라도 아주 다르네. [협무 창사] 金刀初剪露痕新, 輕疊羅黃密綴均. 금도초전노흔신, 경첩나황밀철균. 碧玉枝頭開遍到, 裊嬈偏稱上都春. 벽옥지두개편도, 요요편칭상도춘. [협무 창사] 금 칼로 자르자마자 이슬 흔적 새롭고 살짝 포갠 누런->[비교} 노란 비단은 고르게 꼼꼼히 이었네. 벽옥 가지 끝마다 두루 피었으니 가녀린 그 모습만 유독 서울의 봄 경치라고 일컫네. [죽간자 구호] 嬌紅嫩綠, 競娟硏於麗景. 교홍눈록, 경연연어려경. 淸歌妙舞, 獻媚姿於華筵 청가묘무, 헌미자어화연. 雅樂旣成, 拜辭以退. 아악기성, 배사이퇴. [죽간자 구호] 어여쁜 붉은 빛, 연한 초록빛은 화려한 경치 중에서 아리따움을 다투고 맑은 노래, 오묘한 춤사위로 화려한 잔치에서 고운 자태를 바치네. 청아한 음악 연주 마치옵고 절하며 하직하고 물러나려 하옵니다. [중무 치어] 幸在盛世, 庸瞻華筵. 행재성세, 용첨화연. 席上之歌壇曲終, 凝行雲而徘徊. 석상지가단곡종, 응행운이배회. 花間之簫鼓聲催, 知回雪之將飄. 화간지소고성최, 지회설지장표. 未敢自專, 伏候宸旨. 미감자전, 복후신지. [중무 치어] 다행히 태평성세에 살기에 화려한 잔치 우러러봅니다. 석상(席上)의 가단(歌壇)에서 노래 끝나자 지나던 구름도 멈추어 머뭇거리고 꽃 사이에서 소고(簫鼓) 소리 -> [비교] 단소와 북 소리 잦아들자 맴도는 눈송이 장차 흩날릴 줄을 알겠나이다. 하지만 감히 혼자 결정하지 못하고 엎드려 임금님의 뜻을 기다립니다. - 원문출처: 김천흥, 『정재무도홀기 창사보1』번역: 강명관
최화무 무동 복식은 두 종류로 구분된다. 1828년(무자)에는 아광모(砑光帽)를 쓰고 홍라포(紅羅袍)와 백질흑선중단의(白質黑縇中單衣), 남질흑선상(藍質黑縇裳)을 입고 주전대(珠鈿帶)를 매고 흑화(黑靴)를 신었다. 이는 〈춘광호〉ㆍ〈첩승무〉에서 무동 복식과 동일하다. 1829년(기축)에는 죽간자와 무용수의 인원이 변하면서 복식도 다소 변화를 보인다. 각건(角巾)을 쓰고 홍포(紅袍)에 백질흑선중단의를 입고 남야대(藍也帶)를 매고 흑화(黑靴)를 신었는데 이는 〈장생보연지무〉와 동일하다.
최화무는 〈장생보연지무〉ㆍ〈연백복지무〉ㆍ〈제수창〉과 함께 조선 순조 때에 창작된 당악정재로서, 비교적 짧은 역사를 지닌 춤인 데 비해 출연 인원ㆍ 대형ㆍ 복식 등에서 다양한 변화를 보이는 특징이 있다. 창작 당시인 1828년(순조 29)에는 한문시(漢文詩)로 된 창사를 부르는 향악정재 형식이었으나, 이후 죽간자가 등장하는 당악정재로 바뀌어 추어졌다. 그러나 창사가 없는 향악정재 형식의 최화무도 『홀기』에 전해지며, 여령과 무동 정재로 다양하게 추어졌으나 연행 횟수는 그리 많지 않다.
최화무가 조선 시대에 연행된 기록은『(무자)진작의궤』(1828)와『(기축)진찬의궤』(1829)ㆍ『(임진)진찬의궤』(1892)ㆍ『(신축)진찬의궤』(1901)이며, 춤의 순서가 기록된 홀기(笏記)로는『(계사)정재무도홀기』와 『(갑오)진연홀기』(1894) 외에 연대 미상의『무동각정재무도홀기(舞童各呈才舞圖笏記)』등이 전해지는 정도이다.
[관련문헌] 『(무자) 진작의궤』 『(기축) 진찬의궤』 『(임진) 진찬의궤』 『(신축) 진찬의궤』 국립국악원, 『한국음악학자료총서 제4집: 시용무보, 정재무도홀기』,국립국악원, 1980. 정신문화연구원, 『정재무도홀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심숙경(沈淑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