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춘보연지무(長春寶宴之舞)
조선 후기에 창작된 정재로, 임금의 성수무강(聖壽無彊)과 태평성대(太平聖代)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은 춤
순조(純祖) 29년(1829) 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가 창작한 궁중무용으로, 군왕이 성수무강하고 나라와 백성이 무사평안하기를 기원하는 내용이다. 이 춤은 송나라의 기성절에 〈장생보연악(長春寶宴樂)〉이라는 악곡에서 비롯된 것으로 죽간자와 구호를 도입하여 당악정재의 양식을 모방하고 있다. 오십여 종의 정재 중에서 가장 대형의 변화가 많고, 동작이 다양하여 화려하면서도 우아한 춤이다.
장생보연지무는 조선 후기 순조 29년(1829)인 기축년(己丑年) 효명세자가 부왕(父王)인 순조의 장수를 기원하며 지어 올린 악장을 바탕으로 창작된 춤이다.
순조 『기축(己丑) 진찬의궤(進饌儀軌)』에, “예제(睿製) 장생보연지무: 『도서집성(圖書集成; 청나라 때 편찬된 백과사전)』에 송나라 기성절에 악(樂)의 차서(次序; 차례의 순서)에서 제5잔을 올릴 때 생(笙)만 연주하는데, 소석각(小石角; 중국 연나라 음악 중 하나)으로 〈장생보연악〉을 독주하였다(睿製長生寶宴之舞: 圖書集成, 宋碁聖節排當樂次, 第五盞, 笙獨吹小石角長生寶宴樂.”고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춤의 제목이 송(宋)나라 개국시조의 탄신일인 기성절(碁聖節)에 연주하는 〈장생보연악(長春寶宴樂)〉에서 유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순조 기축년 진찬 때 초연(初緣)된 후 헌종(獻宗) 14년(1848)에 〈장춘보연지무(長春寶宴之舞)〉로 고쳤다가 고종(高宗) 14년(1877)에 다시 장생보연지무라 하였다. 순조 28년(1828)에 창제된 열여덟 종의 정재는 모두 무동(舞童)에 의해 추어진 반면, 장생보연지무는 1829년 2월 12일 자경전(慈慶殿) 내진찬(內進饌; 중궁전에서 베푸는 잔치)에서 여령(女伶)에 의해 추어졌다.
근대에는 1923년 3월 23일 창덕궁 인정전의 ‘순종황제 오순탄신기념’ 연향과 1930년 7월 10일 창덕궁 서행각의 ‘영친왕근친환영행사’에서 연행되었다. 1931년 6월 29일 창덕궁 희정당에서 조선총독부가 기록을 목적으로 촬영한 〈조선무악(朝鮮舞樂)〉에도 장생보연지무가 수록되어 있다.
1956년 3월 31일, 국립국악원과 국악진흥회가 국립국악원 일소당(佾韶堂)에서 주최한 ‘제3회 국악감상회’에서 장생보연지무가 연행되었다. 이후 1964년 3월 ‘1차 도일(渡日)공연’, 1974년 8월 14일 ‘광복절 29주년 기념공연’, 1982년 10월 13일 국립국악원이 주최한 ‘전통무용발표회’, 1985년 9월 4일 국립극장 대극장에서 열린 KBS 주최 ‘85 무용예술 큰잔치 전통무용발표회’, 1988년 7월 5~8일 국립국악원 주최 ‘전통무용발표회’에서 심소(心韶) 김천흥(金千興, 1909~2007)의 안무와 지도로 공연되었다.
1990년 3월 7~8일 국립국악원이 주최한 ‘전통무용발표회’에서는 이흥구(李興九, 1940~ )의 재현 안무와 하루미(河瑠美, 1954~ ) 지도로 장생보연지무가 공연되었으며, 이후에도 수차례 무대에 올랐다. 특히, 2017년 11월 29일에는 국립국악원 심소 김천흥 10주기 기념공연 ‘그를 기억하다’에서 광복 이후 처음으로 남성 무용수들에 의해 무동(舞童) 장생보연지무가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가장 최근 공연은 2021년 4월 9~14일 국립국악원 개원70주년 기념공연 ‘야진연(夜進宴)’
이다. 이 공연은 1902년 4월 경운궁(지금의 덕수궁) 함녕전에서 대한제국 고종황제의 기로소(耆老所) 입소를 축하한 진연 중 밤에 열린 잔치를 재현한 것으로, 여러 정재 중 하나로 장생보연지무를 선보였다.
장생보연지무는 군왕이 성수무강하고 나라와 백성이 평안하기를 기원하는 내용이다. 죽간자와 구호를 도입하여 당악정재의 양식을 취하고 있다.
장생보연지무는 죽간자 두 명, 선모 한 명, 좌우 협무 네 명, 총 일곱 명의 무용수로 구성되며, 춤의 형태가 아홉 번 변화한다.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에 춤의 절차가 기록되어 있는데, ① 죽간자 구호 부르기 ② 선모 치어 부르기 ③ 선모와 협무 네 명이 창사 전단・후단 부르기 ④ 선모와 좌우 협무 네 명이 북향하여 족도하며 춤추기 ⑤ 일변(一變) 상대무(相對舞) ⑥ 이변(二變) 수수무(垂手舞) ⑦ 삼변(三變) 상배무(相背舞) ⑧ 사변(四變) 산작화무(散作花舞) ⑨ 오변(五變) 수수무(垂手舞) ⑩ 육변(六變) 오방무(五方舞) ⑪ 칠변(七辯) 염수무(歛手舞) ⑫ 팔변(八變) 사선무(四仙舞) ⑬ 구변(九變) 회선염수무(回旋歛手舞) ⑭ 죽간자 구호 부르기의 순서로, 춤의 구성과 내용이 다양하다.
현행 장생보연지무는 『정재무도홀기』와 비슷한 구성으로 진행되지만 죽간자 구호가 생략되고, 선모는 치어의 첫 행만 부르며, 선모와 좌우 협무 네 명 창사 후단이 생략되는 등 창사가 축소된 형태로 연행된다.
장생보연지무의 창사는 죽간자 구호(口號)-선모 치어(致語)-수악절(隨樂節) 창사(唱詞) 전단(前段)ㆍ후단(後段)죽간자 구호로 구성되어 있다. 수악절 창사는 임금의 성수무강과 나라의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내용이다. 현재는 선모(중무) 치어 중 첫 단과 수악절창사 전단만 노래한다. [죽간자 구호] 麗日舒長, 開盛宴於寶殿. 여일서장, 개성연어보전. 祥雲蔥籠, 張勻樂於彤庭. 상운총롱, 장균악어동정. 敢冒宸顔, 謹陣口號. 감모신안, 근진구호 [죽간자 구호] 느리고 긴 봄날 궁전에서 성대한 잔치를 열었도다.. 상서로운 구름 뭉게뭉게 피어날 제 궁궐 뜨락에서 하늘 음악 연주하며 감히 용안의 뵈옵고서 삼가 구호(口號)를 올립니다. [선모 치어] 欽惟我聖上, 一德克享天心, 景籙無疆, 昇平之樂, 祝華之宴, 以長生不老之壽, 歌之而頌也. 흠유아성상, 일덕극향천심, 경록무강, 승평지락, 축화지연, 이장생불로지수, 가지이송야. [선모 치어] 공경히 생각하옵건대, 우리 성상께서는 한결같은 덕이 하늘의 마음에 합당하여 크나큰 복록 무 궁하시도다. 태평성대의 음악과 축화(祝華) 의 잔치*로 불로장생하기를 노래로 불러 송축하나이다. * 화(華) 땅을 지키는 사람이 요임금을 위해 장수․부(富)․다남(多男)을 빌었던 일 <수악절 창사> [전단(前段)] 天門海日先紅, 絳紗玉斧, 瑞氣怡融. 천문해일선홍, 강사옥부, 서기이융. 承天嘉奏天樂, 金鳳銀鵝一叢叢. 승천가주천락, 금봉은아일총총. 揚蘭茝, 舞廻波. 細細柳, 澹澹風. 양란채 무회파. 세세류, 담담풍. [전단(前段)] 바다에서 뜬 해 궁궐 문 먼저 붉게 물들이니 붉은 깁*, 옥도끼에 상서로운 기운 무르녹네. 하늘 뜻을 받들어 천상의 음악을 연주하고 금빛 봉황, 은빛 거위[무희들을 가리킨다] 한데 모여 춤을 추니, 흩날리는 향기인 듯, 돌아가는 물결인 듯, 간들간들 버들이오, 보드레한 바람이네. * 명주실로 바탕을 조금 거칠게 짠 비단 [후단(後段)] 九重春色蟠桃宴, 羅衫葉葉舞一遍. 구중춘색반도연, 나삼엽엽무일편. 再拜陣三願, 一願聖壽無疆, 二願朝野淸晏, 三願勻天樂老萊衣. 재배진삼원, 일원성수무강, 이원조야청안, 삼원균천악노래의. 歲歲年年此盃獻. 세세년년차배헌 <수악절 창사> 후단(後段) 구중궁궐 봄빛 돌자 반도연(蟠桃宴)[장수를 기원하는 잔치]을 열었더니, 비단 적삼 당실당실 한바탕 춤을 추고 거듭 절한 뒤 세 가지 소원 올리노라. 첫째로 원하노니, 만수무강 하시기를, 두 번째로 원하노니, 조정과 백성이 맑고 평안하기를, 세 번째로 원하노니, 천상의 음악을 연주하고 노래자(老萊子)의 옷*을 입고 연년세세 이 술잔을 올리는 것입니다. * 늙은 효자가 부모가 기쁘게 하기 위해 입었다는 색동옷 [죽간자 구호] 綺席繡筵, 已呈千般之舞. 기석수연, 이정천반지무. 玉管朱絃, 旣奏九成之曲. 옥관주현, 기주구성지곡. 再拜階前, 相將好去. 재배계전, 상장호거 [죽간자 구호] 비단수 놓은 화려한 잔치에서 천 가지 춤을 이미 추어 올렸으니 옥피리와 거문고로 모든 음악을 연주하였으니 섬돌 앞에서 두 번 절하고 함께 어울려 떠납니다. - 원문 출처: 김천흥, 『정재무도홀기 창사보1』 번역: 강명관
반주 음악은 〈보허자령(步虛子令)〉・〈향당교주(鄕唐交奏)〉・〈장생보연지악〉으로, 〈보허자령〉으로 시작하고 〈장생보연지악〉으로 끝맺는다. 선모와 좌우 협무 네 명이 창사 전단과 후단을 부르기 전에는 〈보허자령〉이 연주되고 그 외에는 〈향당교주〉가 연주된다.
현행 반주 음악은 〈보허자〉・《표정만방지곡》 중 〈세령산〉・〈보허자〉・《함녕지곡》 중 〈도드리〉・〈자진 도드리〉・〈타령〉이다.
장생보연지무는 당악정재 양식을 모방하고 있어 죽간자가 등장한다. 순조 29년 『(기축)진찬의궤』(1829)에 의하면, 무동의 복식은 연꽃 모양의 부용관(芙蓉冠)을 머리에 쓰고 백단의(白單衣)과 홍화주의(紅禾紬衣)를 상의로, 홍화주상(紅禾紬裳)을 하의로 입고, 두석녹정대(豆錫綠鞓帶) 띠를 두른다.
여령의 복식은 순조 『(기축)진찬의궤』 권3 부편 공령에 “각무정재여령은 화관(花冠)을 쓰고, 초록단의(草綠丹衣)・황초단삼(黃單衫)・이남색상표홍초상(裏藍色裳表紅裳)・홍단금루수대(紅緞金鏤繡帶)・오채한삼(五彩汗衫)・초록혜(草綠鞋)를 착용한다”고 기록되어 있을
뿐 장생보연지무에 대한 별도의 복식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
현행 복식은 머리에 부용관(芙蓉冠)을 쓰고, 상의로 백단의(白單衣), 홍화주의(紅禾紬衣), 남흑록의동(藍黑綠衣同)을 입는다. 이때 중앙의 무용수는 황색으로, 협무는 남색・홍색・흑색・녹색으로 차린다. 하의로는 남화주상(藍禾紬裳)을 입고, 가죽으로 된 두석녹정대를 두른다. 신은 흑화(黑靴)를 신고 녹한삼(綠汗衫)을 한다.
이 춤은 상대무(相對舞)로 시작하여 수수무(垂手舞)・상배무(相背舞)・산작화무(散作花舞)・오방무(五方舞)・염수무(斂手舞)・사선무(四仙舞)・회선무(回旋舞)・복렬무(復列舞) 순으로 모두 아홉 번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십여 종의 정재 중에서 가장 대형의 변화가 많고, 춤이 화려하면서도 단정하고 우아한 춤이다.
장생보연지무를 기록하고 있는 문헌자료로는 순조(純祖)의 보령 40세와 즉위 30주년을 축하하는 잔치를 기록한 순조 『(기축)진찬의궤』(1829)ㆍ순조(純祖)의 비(妃)이자 헌종(憲宗)의 조모(祖母)인 순원 왕후의 육순과 모후(母后)인 신정왕후의 망오(望五 41세)를 경축하기위해 열린 잔치를 기록한 헌종 『(무신)진찬의궤』(1848)ㆍ신정왕후의 대왕대비 책봉(1834년) 40주년을 경축하는 잔치를 기록한 고종 『(계유)진찬의궤』(1873)ㆍ신정왕후 조씨(조대비)의 칠순과 철인왕후(철종의 비)의 망오(望五 41세)를 경축하는 잔치를 기록한 고종 『(정축) 진찬의궤』(1877)ㆍ 신정왕후 조씨(조대비)의 팔순을 경축하는 잔치를 기록한 고종『(정해)진찬의궤』 (1887)ㆍ고종(高宗)의 망오(望五 41세)를 경축하는 잔치를 기록한 고종『(임진)진찬의궤』(1892)ㆍ고종황제 보령 50세를 축하하는 잔치를 기록한 고종『(신축)진찬의궤』(1901)ㆍ고종황제의 망육순(51세)과 즉위 40주년을 경축하는 잔치를 기록한 고종 『(임인)진연의궤』(1902)등과 「임인진연도병」에 연행한 기록이 있다. 춤의 절차가 기록된 홀기로는 『신축외진연홀기』ㆍ『신축진연홀기』ㆍ『신축무동홀기』ㆍ『신축진찬홀기』ㆍ『신축진찬익일회작홀기』ㆍ『신축여령홀기』 등이 전하고 있다. 근대의 기록으로는 이왕직아악부 양성소 제3기생으로 입소 후 제2기 무동으로 선발된 성경린(成慶麟, 1911~2008)이 이왕직아악부로 활동하던 시기 개인적으로 필사한 정재의 「무의(舞儀)」가 있다.
송방송 외 3인, 『한국음악사료연구회 국역총서 8: 국역 순조기축진찬의궤 권3』, 민속원, 2007. 이흥구ㆍ손경순, 『한국 궁중 무용 총서 10: 박접무ㆍ연백복지무ㆍ장생보연지무ㆍ춘앵전』, 보고사, 2010.
배소정(裵紹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