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인(仙人)이 군왕의 수명장수와 태평성세를 기원하며 신선의 복숭아[선도(仙桃)]를 바치는 춤
신선 세계의 선인이 군왕께 삼천 년의 수명장수를 축원하고자 궁궐에 내려와서 임금을 뵙고, 그 덕을 찬양하며 신선의 복숭아를 선물하는 내용의 춤이다. 1828년 6월 1일 연경당(延慶堂) 진작(進爵)을 위해 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가 군왕인 아버지 순조(純祖)께 올리는 노래로 처음 창제하였다. 이때 만수무를 담당한 무동은 네 명이고, 복숭아 선반을 받들어 올리는 무동 한 명, 족자를 받들고 나와 창사하는 무동 한 명이 함께 공연했다.
만수무는 효명세자가 직접 지은 악장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정재이다. 1828년(순조, 28) 6월 1일 연경당에서 효명세자가 어머니 순원왕후(純元王后,1789~1857)의 40세 생신 축하 잔치를 올렸을 때 공연되었다. 만수무의 악장은 효명세자가 아버지인 순조께 바치는 노래로, 군왕의 정치가 순임금과 요임금 시대처럼 태평성대를 이루어 그 덕을 찬양하는 신선들이 지상의 궁전으로 내려와서 군왕의 수명장수를 두 손 모아 기원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춤의 의식절차는 〈헌선도〉와 같다고 하였으며, 4인 원무(元舞)인 무동이 함께 노래하는 가사에는 한글과 한문이 섞여 있다. 이에 순조 『(무자)진작의궤』(1828) 「악장」조에는 족자와 선도반을 받든 무동의 한문 악장만 기록되어 있고, 원무의 노래는 기록하지 않는다고 명시되어 있다.
만수무는 1892년(임진) 진찬과 1901년(신축) 진연, 1902년(임인) 4월과 11월 진연에서 연행되었다. 근대 이후로는 1930년 7월 '영친왕(英親王, 1897~1970) 환국환영행사'에서 이왕직아악부 아악생(무동)들에 의해 공연되었고, 이왕직아악부의 이병성(李丙星, 1909~1960)과 성경린(成慶麟, 1911~2008)의 개인 기록인 무보를 통해 그 전승이 확인 된다. 최근에는 2020년 국립국악원 무용단 정기공연 ‘정재의 그릇에 철학을 담다 1828, 연경당’ 에서 재구성되어 무대에 올랐다.
만수무는 선인이 군왕에게 삼천 년에 한 번 열리는 귀한 복숭아를 선물한다는 내용의 춤이다. 신선의 복숭아는 수명장수를 기원하는 뜻을 담고 있다. 만수무는 아홉 명의 무용수로 구성된다. 만수무의 목적과 의미가 기록된 족자(簇子: 깃발의 종류)를 받들고 들어와 한문 창사를 노래하는 무용수인 족자 한 명, 커다란 복숭아를 담은 선도반(仙桃盤)을 받들어서 탁자에 올려 임금께 바치는 선모(仙母; 여자무용수일 경우) 또는 중무(中舞; 무동일 경우) 한명, 선모의 좌우에서 춤추는 협무(挾舞) 네 명, 그밖에 선도반을 받들어 선모에게 전해주는 무용수가 한 명이 있으며, 선도반을 올려놓는 탁자를 무대에 운반하는 두 명의 무용수가 있다.
만수무의 춤 형식은 고려 시대부터 전승된 〈헌선도(獻仙桃)〉와 유사하다. 다만 〈헌선도〉의 협무 무용수는 두 명이고, 족자에 앞서 춤을 인도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죽간자(竹竿子)가 있다는 점이 다르다.
도입 과정은 족자가 선두로 무대에 입장하여 족자에 기록된 한문 창사를 노래하고, 선모(혹은 중무)가 선도탁에 선도반을 올려놓기까지로 볼 수 있다. 이후 선모가 4인 협무의 중앙에 위치하여 서로 마주보고 춤추고[상대이무(相對而舞)], 등을 지고 춤추고[상배이무(相背而舞)], 소매 자락을 뿌리며 제자리를 돌고[불수환전(拂袖歡轉)], 일렬로 가지런하게 서서 춤춘다[제행이무(齊行而舞)], 또 좌우 협무들이 자신의 자리를 각기 바꾸어서[좌우협(左右挾) 각환기대이무(各換其隊而舞)] 춤 추기도 한다. 특히 협무의 수무삽보(手舞霎步)하며 진퇴하는 춤[진퇴이무(進退而舞)]은 만수무의 특징적인 춤사위라 할 수 있다. 춤을 마치는 퇴장 과정에서는 무용수들이 사우방(四隅方l 서남, 서북, 동북, 동남) 대열로 돌아가서 북쪽을 향한 상태로 족자와 함께 뒷걸음으로 물러난다.
조선 시대 만수무의 창사는 세 종류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은 족자의 창사이고, 두 번째는 선모(혹은 중무)가 복숭아 선반을 바칠 때 부르는 무반주 창사이다. 이들 두 창사는 효명세자가 한문으로 지은 예제 악장이다. 세 번째는 선모와 협무의 창사로, 한자와 한글이 함께 섞인[진언상잡(眞諺相雜)] 창사를 〈가곡 편(歌曲 編)〉 반주에 맞춰 노래한다. 이 창사에는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의 〈불휘장〉과 〈손자장〉의 국한문 악장이 섞여 있다. 이왕직아악부 때는 족자를 생략하여 그 창사가 없고, 중무와 네 명의 협무가 선도반을 바치는 부분도 생략한 채 중무가 “요계반도결(瑤階蟠桃結) … 서일홍(瑞日紅)”의 한문창사를 노래하고, 중무와 좌우 협무 네 명이 함께 “어져 만재(滿載)이여 ··· 보록(寶籙)이 무강(無疆)이샷다”를 노래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현재 국립국악원에서는 『정재무도홀기』를 기초로 창사의 첫 소절만 노래하고 있다. [족자(簇子) 창사] 禁苑和風拂翠箔, 袞衣深拱繡龍文. 금원화풍불취박, 곤의심공수용문. 天門彩仗暎祥旭, 萊闕仙朝開霱雲. 천문채장영상욱, 내궐선조개휼운. 金殿堯樽傾北斗, 玉瘻舜樂動南薰. 금전요준경북두, 옥루순악동남훈. 海東今日昇平世, 萬歲千秋奉聖君. 해동금일승평세, 만세천추봉성군. [족자 창사] 대궐 동산 따사한 바람 비취 주렴 흔드는데 곤룡포 입으신 분 팔짱을 낀 채 점잖게 앉으셨네. 궐문 앞 색색 의장(儀仗)에 아침 햇살 빛나고 봉래산 신선들 조회 오려 상서로운 구름 열었다오. 황금 궁전에서는 요준(堯樽)[요임금의 술동이로, 곧 성군이 하사한 술]에서 북두칠성으로 술을 푸고 옥(玉) 누각에서는 순(舜)임금 남훈가(南薰歌)[순임금이 지은, 백성을 위한 노래]를 연주하네. 오늘 해동은 태평성대니 천년만년 성군(聖君)을 받들리라. [선모 창사] 瑤階蟠桃結, 三千春色滿玉盤中. 요계반도결, 삼천춘색만옥반중. 三千春爲君王壽, 瑞日紅. 삼천춘위군왕수, 서일홍. [선모 창사] 옥(玉) 섬돌 가에 선도(仙桃)가 열리니 삼천 년 봄빛이 옥쟁반에 가득하네. 우리 임금 삼천년 봄을 누리시리니, 상서로운 해 붉게 빛나는도다. [원무 창사] 어져, 萬載(만재)이여! 萬載(만재)에 樂萬載(낙만재)로다. 萬載(만재)에 億萬載(억만재)니, 億萬載(억만재)에 又億億萬載(우억억만재)로다. 져 희 깁흔 나무는 柯枝가 만코 根源(근원) 먼 물은 흐르미 길도다. 文王(문왕)에 孫子(손자)ㅣ 本支百世(본지백세)니, 聖祖璿源(성조선원)이 綿綿永昌(면면영창)이샷다. 오홉다, 우리 后(후)여! 寶籙(보록)이 無疆(무강)이샷다. [원무 창사] 아, 만년이여! 만년에 또 만년을 더 즐기리로다. 만년에 억만년을 더하니 억만년에 또 억억만년을 더하리로다. 저 뿌리 깊은 나무는 가지가 많고 근원이 먼 물은 흐름이 길도다. 문왕(文王)의 자손, 본손(本孫)과 지손(支孫)이 백세를 이었으니 성조(聖祖)의 계보도 이어지고 이어져 영원히 창성하리라. 오호라, 우리 임금님이여! 왕실의 미래가 끝이 없으리로다. - 원문출처: 김천흥, 『정재무도홀기 창사보1』번역: 강명관
순조『(무자)진작의궤』의 만수무 반주곡은 〈원무곡(原舞曲)〉이라고 하였다. 이후 고종조 『정재무도홀기』에 의하면, 만수무 도입 과정의 음악은 〈보허자령〉이고, 음악이 그친[악지(樂止)] 상태에서 족자의 창사와 선모의 창사가 연행된다. 다음 〈향당교주〉가 연주되고, 선모가 선도반을 탁자에 올린 후 협무들이 앞으로 나오면〈향당교주〉 음악이 그친다. 다음 원무가 국한문이 섞인 창사를 할 때는 세취(細吹) 악대가 〈가곡 편〉을 연주한다.
다시 〈향당교주〉가 연주되면 본격적인 춤이 추어진 후, 마친다. 현재 국립국악원에서는 〈보허자〉·〈향당교주〉·〈세령산〉·〈도드리〉·〈자즌도드리〉· 〈타령〉·〈자즌타령〉·〈타령〉의 순서로 구성하여 연주한다.
만수무의 남성 무용수의 의상은 주취금관(珠翠金冠)을 머리에 쓰고, 화금포(花錦袍: 노란색 포), 백질흑선중단의(白質黑縇中單衣: 백색바탕에 검정 선이 둘러 있는 포)를 입고, 남질흑선상(藍質黑縇裳: 남색바탕에 검정선이 둘러 있는 치마)을 허리에 두르고, 자사대(紫紗帶)를 허리에 띠고, 백우호령(白羽護領: 거위털)을 목에 두르고, 백우엄요(白羽掩腰)를 허리에 두르고 보대(寶帶)를 허리에 띠고, 무우리(無憂履)를 신었다.
만수무의 여자 무용수 의상은 남색치마에 홍색 허리치마를 두르고 황초단삼을 입고 홍색에 금색수를 놓은 가슴 띠를 매고 오색한삼을 착용하였으며, 머리에는 화관을 썼다.
ㅇ의물(儀物)은 춤의 내용을 기록한 긴 네모난 깃발 모양의 족자簇子) 를 사용한다. 만수무강(萬壽無疆)과 부국(富國)이 대대로 이어지기를 염원하는 내용을 기록하였다.
ㅇ무구(舞具)는 복숭아가 담겨 있는 선도반(仙桃盤)과 선도반을 올려두는 선도탁(仙桃卓)이 핵심 도구이다.
당악정재 〈헌선도〉와 비슷한 춤의 구조와 무구를 사용하지만 의물은 족자(簇子)만 사용하고, 1930년 이왕직아악부에서 공연했을 때는 족자ㆍ선도반ㆍ선도탁이 생략되었다.
국립국악원,『한국음악학자료총서 제4집: 시용무보, 정재무도홀기』, 국립국악원, 1980. 김천흥,『정재무도홀기 창사보』, 민속원, 2002. 이의강ㆍ김은자ㆍ이재옥,『국역 순조무자진작의궤』, 보고사, 2006. 인남순ㆍ김종수, 『고종황제 50세 경축연향 여령정재홀기』, 민속원, 2001.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사료강독회,『고종신축진연의궤』,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1.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 권2』, 민속원, 2005.
김혜영(金惠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