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문연(鴻門宴), 항장춤
항장이 검무를 추다가 패공을 치려고 했던 중국 홍문연 고사를 배역을 나누어 무용극화한 지방 관아의 춤
조선 후기에 검무가 전국적으로 성행하던 배경에서 평안북도 선천 지방에서 검무와 극을 결합시켜 만든 무용극이다. 홍문의 잔치에서 항우의 부하 항장이 검무를 추다가 패공을 죽이려는 계략을 패공의 부하인 항백이 대무하여 막아내고 잔치를 파한다는 내용이다. 조선 말 전국으로 퍼져 나갔으며, 고종 때 처음으로 궁중 연향에서 추어졌다.
항장무는 18세기 전후로 전국적으로 확산된 지방 관아의 검무가 항우와 패공의 홍문연(鴻門宴) 고사와 결합하여 지방관아 특유의 무용극으로 탄생한 춤이다. 진나라 말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초나라 항우(項羽)와 한나라 패공(沛公; 한 고조 유방(劉邦))이 서로 관중(關中)에 먼저 들어가려고 다투게 되었다. 패공이 먼저 관중에 들어가자 항우가 노하여 군사를 홍문(鴻門)에 머무르게 하고, 다음날 아침에 패공을 치려 하였다. 항우의 계부 항백(項伯)은 패공의 부하 장량(張良)과 사이가 좋았던 관계로 장량에게 이 계략을 말해주었고, 패공은 그 다음날 홍문에 나가 항우에게 사과하였다. 이때 항우의 모신(謀臣) 범증(范增)은 항장(項莊)으로 하여금 검무를 추게 하여 패공을 찔러 죽이려 하였으나, 패공의 부하 번쾌(樊噲)의 변설(辯舌; 입담이 좋아 말을 잘하는 재주)로 무사하였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항장무는 조선 후기 평안남도 선천지방에서 형성되어 선천과 의주, 안주 등의 평안도 일대를 비롯하여 해주교방, 진주와 울산교방 등에서 공연한 기록을 찾을 수 있다. 1848년 당시 이우준(李遇駿, 1801~1867)은 연행 노정 중 안주ㆍ선천ㆍ의주에서 세 차례나 항장무를 구경하였는데, 주에서 처음으로 항장무를 구경하였고, 그의 저서인 『몽유연행록』에 “선천의 항장무는 본디 정평이 나 있어서 의모와 절차가 더욱 잘 갖추어져 있다” 고 기록하였다. 1866년(고종 3)에 가례청사 서장관으로 북경에 다녀온 홍순학은 〈연행가〉에 선천에서 항장무를 처음 본다고 하고 항장무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자세히 기록하였다.
〈연행가〉 - 홍순학
곽산군 중화하고 선천부 숙소하니
물색도 번화하며 색향으로 소문났다
의검정 너른대청 대연을 배설하고
여러기생 불러다가 춤추는 구경하자
맵시있는 입춤이며 시원하다 북춤이요
공교하다 포구락과 처량하다 배따라기
한가하다 헌반도요 우습도다 승무로다
지화자 한소리로 모든기생 병창한다
항장무라 하는 것은 이고을서 처음 본다
팔년풍진 초한시에 홍문연을 의방하여
초패왕 한패공은 동서로 마주앉아
범증의 세번옥결 눈위에 번듯들어
항장의 처음검무 패공에게 뜻이 있어
긴소매 번득이며 검광이 섬섬터니
항백이 대무하여 계교를 잃었구나
장자방의 획책으로 번쾌가 뛰어들어
장검을 두르면서 항우를 보는모양
그 아니 장관이냐 우습고 볼만하다”
출처: 정현석 편저(성무경 역주), 『교방가요: 조선후기 지방 교방의 악·가·무』, 보고사, 2002.
항장무는 1900년대 이후에도 협률사ㆍ광무대 등의 무대에서 자주 공연하였으며, 조합과 권번을 통해 전승되었다. 1913년 고종 탄신 축하연에서 다동조합과 광교조합 기생들이,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에서는 신창조합 기생들이 항장무를 추었다.
지방의 항장무는 몇 차례 재현 공연이 이루어졌다. 경상도 울산에서 1950년대에 항장무를 추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1962년 제3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全國民俗藝術競演大會)에 평안북도 팀이 항장무를 선보였다. 또한 국가무형문화재 제34호 강령탈춤의 예능보유자인 김실자(金實子, 1928~2015)가 1960년대 김기수(金琪洙, 1936~2020)에게 탈춤을 배울 때 항장무로 무용발표를 한 적도 있다고 증언하기도 했지만, 현재는 전승되지 않는다.
항장무의 무원은 진주교방의 경우 여덟 명의 무용수가 항왕ㆍ우미인ㆍ패공ㆍ범증ㆍ장량ㆍ항장ㆍ항백ㆍ번쾌의 역할을 나누어 맡았으며, 범증은 노기가 담당하였다. 〈선유락〉에서와 마찬가지로 집사 두 명, 청기수 두 명, 홍기수 한 명, 세악수 여섯 명, 취고수 여덟 명으로 군례가 행해졌다.
진주교방의 항장무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항왕이 나와 좌정하면 집사가 초취ㆍ이취ㆍ삼취를 아뢴다. 군물을 앞에 벌이고 징이 울리면 〈대취타〉를 연주한다. 두 깃발로 원문(轅門)을 일으켜 세운다. 패공(沛公)이 도착하면 항왕이 맞아들여 서로 읍하고 앉는다. 패공이 관중에 먼저 들어온 것을 항왕에게 사과하자 항왕은 주연을 베푼다. 이 주연에서 항장이 검무를 추다가 패공을 죽이려고 하자 항백이 대무하여 이를 막아낸다. 번쾌가 군중에 입장하여 항우의 술을 마시고 변설한 후 패공과 함께 나간다. 패공이 자리를 떴다고 전하면 항왕은 일이 어그러진 것을 알게 된다. 다시 음악을 연주하고 검무를 춘 후 〈대취타〉를 연주하다가 전배를 물려 잔치를 파한다.
항장무는 검무가 극과 만나 검무를 극 속에서 여러 차례 즐길 수 있는 춤이다. 항장무의 검무는 별도의 춤의 형태라기보다는 극에 맞게 연출된 춤으로 보인다. 검무 자체의 춤사위나 동작은 기록된 바가 없으나 유일한 무도(舞圖)인 『교방가요(敎坊歌謠)』(1865)의 ‘항장무’ 그림에 긴 쌍검을 들고 추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긴 쌍검을 들고 추는 동작은 검무의 동작과 유사하다. 항장과 항백이 서로 검무를 추며 보이지 않는 긴장감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쌍검대무의 그림을 연상시킨다. 해주교방의 명선 역시 “홍문연 큰 잔치에 항장에 날랜 칼이 유졍장을 향하난 듯”이라고 하여 검무가 극의 긴장감을 유도하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항장무는 무극이기 때문에 배역 간의 대사로 극이 전개되며, 별도의 창사가 없다.
항장무의 반주음악은 『교방가요』에는 세악수와 취고수의 악대명을 기록하였는데, 취고수는 〈대취타〉를, 세악수는 〈검무〉 반주음악을 연주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항장무 복식은 『교방가요』에 기록되어 있다. 항왕은 청색 철릭을 입고 칼과 채찍을 찼다. 우미인은 초록 저고리에 붉은 치마를 입었다. 패공은 홍색 철릭을 입고 칼과 채찍을 찼다. 범증은 흰 도포에 패옥을 찼으며, 장량은 청색 도포를 입었고, 항장과 항백은 군복을 입었다. 번쾌는 갑옷을 입고 투구를 쓰며 방패를 들고 칼을 찼다. 집사 두 명은 군복을 입었으며 전통을 메고 칼과 채찍을 찼다. 해주교방 소속 명선의 작품에도 “남철릭 불근 갓에 호수 대검 고이토다”라고 하여 철릭에 호수를 꽂은 주립, 큰 칼은 지방에 상관없이 대체적인 항장무의 무관 복식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항장무의 무구로는 연회에서 쓰는 가구인 찬탁이 놓였다.
항장무는 조선 후기 검무가 공연문화에서 어느 정도 인기를 누렸는지 가늠할 수 있는 춤이다. 18세기 전후 전국적으로 성행하던 검무는 지방에서 항장무가 탄생하는 데 영향을 끼쳤다. 유사한 구조의 황창랑무가 지방에서 연행되기도 하였으나 평안도는 중국과의 문화적 교류가 활발했던 곳이기 때문에 중국의 고사를 바탕으로 새로운 무극을 탄생시켰다는 점에 공연사적 의의가 있다.
『각정재무도홀기(各呈才舞圖笏記)』 『교방가요』 『사자무항장무무도홀기(獅子舞項莊舞舞圖笏記)』 『여령각정재무도홀기(女伶各呈才舞圖笏記)』 성무경 외, 『완역집성 정재무도홀기』, 보고사, 2005. 배인교, 「朝鮮後期 地方 官屬 音樂人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8. 성무경, 「정재 항장무의 연희전승과 극 연출 방식」, 『민족문화연구』 36, 2002.
김은자(金恩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