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순조 때 만들어진 향악정재로, 풍년을 축하하고 왕조의 번영을 기원하는 내용으로 창작된 궁중무
경풍도는 1828년 순조의 비 순원왕후의 40세 축하 연향에서 처음 추어졌다. 풍년을 축하하고 왕조의 번영을 기원하는 내용을 담았으며, 전반부에서 풍년을 경축하는 그림 ‘경풍도(慶豐圖)’를 바치는 과정이 있다. 선모 또는 무동 한 명과 협무 다섯 명이 창사를 부르고 춤을 추는 궁중무이다.
경풍도는 1828년(순조 28) 창덕궁 연경당에서 열린 진작(進爵)에서 처음 추어졌다. 순조의 비 순원왕후(純元王后, 1789~1857)의 보령 40세를 축하하는 연향을 위해 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가 직접 지은 악장을 노래하며 연행하는 정재이다. 『송사(宋史)』에 송나라 태종이 지은 곡(曲) 열한 곡 중에 ‘경년풍(慶年豐)’이 있고, 『명사(明史)』에는 명나라 악장 중에 ‘경풍년지곡(慶豐年之曲)’이 있다고 언급한 것으로 보아, 이 춤은 풍년을 축하하며 왕조를 칭송하는 내용을 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경풍도를 받든 무동과 협무 다섯 명이 등장하여 노래하고 춤추는 정재이다.
순조『(무자)진작의궤』(1828)의 「공령(工伶)」조에 무원들의 이름이 보이는데, 초연시 춤춘 무동은 진대길(秦大吉)ㆍ신광협(辛光協)ㆍ김명풍(金命豊)ㆍ진계업(秦啓業)ㆍ김형식(金亨植)이었고, 경풍도 그림을 받드는 역할을 신삼손(辛三孫)이 했다. 초연 이후 1892년(고종 29) 고종 즉위 30년을 기념하는 진찬, 1901년(광무 5) 신축 7월 고종 오순(五旬)을 축하하는 진연, 1902년(광무 6) 임인 4월 고종 기로소(耆老所)2) 입소를 기념하는 진연, 1902년 임인 11월 고정 즉위 40년을 경축하는 진연에서도 추어졌다. 1901년 진연에서는 여성무용수인 여령들이 경풍도를 추었는데, 선모(仙母)3)를 금낭(錦娘)이ㆍ협무를 초운(楚雲)ㆍ화선(花仙)ㆍ산홍(山紅)ㆍ월향(月香)ㆍ화연(花姸)의 다섯 명이 추었다.4) 20세기 이후에는 1929년 조선박람회 여흥공연에서 경성권번 기생들이 경풍도를 추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1981년 심무회 주최 ‘심소 김천흥 무용생활 60년 기념 궁중무용발표회’에서 김천흥(金千興, 1909~2007)5)을 중심으로 이 춤이 재현되었다.
경풍도는 상제께서 상서롭게도 아홉 줄기의 풍성한 벼 이삭을 내려주시니, 풍년이 계속되어 왕실에 경사가 빛난다는 내용을 표현하였다. 무원(舞員)은 선모(仙母) 또는 무동 한 명, 협무(挾舞) 다섯 명으로 구성되며, 봉탁 두 명은 탁자를 받들어 옮기는 역할을 한다.
이 춤의 전개 방식을 국립국악원 소장『(계사)정재무도홀기』에서 볼 수 있다. 〈길상지곡(吉祥之曲)〉이 연주되면 ①악사가 탁자(卓子)를 받든 기(妓) 두 사람을 거느리고 들어가 무대 위에 두고 나간다. ② 선모가 경풍도를 받들고 나와 사언(四言)의 한문 창사(唱詞)를 노래한다. ③ 선모가 경풍도를 탁자 위에 올려놓는다. ④ 협무가 가곡 〈편〉에 맞춰 국한문 가사로 된 창사를 노래한다. ⑤ 선모와 협무 다섯 명이 차례로 상대하여 춤춘다. ⑥ 중앙에 선모가 위치하고 협무들이 회선(回旋)한다. ⑦ 무용수들이 처음 위치로 가고, 뒤로 물러나면 악이 그친다.
경풍도의 진행에서 특이한 점은 선모가 협무 다섯 명과 각각 대무하는 대목이다. 일렬로 서있는 협무들과 선모가 차례로 상대하며 춤추는데 차차 활기가 고조되면서 전체의 회선(回旋)으로 이어진다.
선모가 먼저 창사를 부르는데, 그 주제는 거듭 풍년을 이루니 상서로운 기운이 왕조를 창성하게 할 것이라는 것이다. 경풍도의 창사는 다음과 같고, 현재 국립국악원의 공연에서는 첫 구절 “어황성벽”만 부른다.
원문 | 해설 | |
[선모(仙母) 창사] | 於皇聖辟 ,丕彰鴻名. 오황성벽, 비창홍명. 普隆一德, 克享高名. 보융일덕, 극향고명. 皇矣上帝, 肇錫休禎. 황의상제, 조석휴정. 厥禎維何, 嘉禾九莖. 궐정유하, 가화구경. 綏萬屢豊, 慶本滋長. 유만누풍, 경본자장. 景雲乘彩, 瑞日曜光. 경운승채, 서일요광. 赤圖玄符, 天福永昌. 적도현부, 천복영창. 鳳闕開朝, 以獻于王. 봉궐개조, 이헌우왕. | 아, 거룩하신 우리 임금님, 크나큰 이름 드날리시네. 한결같은 덕이 넓고도 빼어나니 높은 그 이름 누리시네. 거룩하신 상제께서 처음으로 아름다운 상서를 내리시니 그 상서 무엇인가? 가화(嘉禾, 기이한 벼, 태평시대의 징조)와 구경(九莖, 기이한 향기로운 풀)이네. 만방을 어루만지시니 해마다 풍년이라 경사의 근본이 불어나고 늘어나리. 상서로운 구름은 고운 색을 띠고 길조를 띤 해는 찬란한 빛을 내뿜으리. 붉은 그림, 검은 부적의 예언에 하늘이 내리신 복 길이 창성하리니, 대궐에 조정을 열어 임금님께 바칩니다. | [협무 창사] | 올도 픙년(豊年)이요 내년(來年)도 풍년이라 연년풍년(年年豊年)이니 만민(萬民)이 장재풍년중(長在豊年中)이로다. 선인(仙人)이 봉옥함(奉玉函)니 일폭(一幅) 경풍도(慶豊圖)ㅣ로다. 가화(嘉禾)ㅣ 구수(九穗)니 송아왕덕(頌我王德)이샷다. | 올해도 풍년이요, 내년도 풍년이라. 해마다 풍년이니 만백성이 늘 풍년 중에 있도다. 선인(仙人)이 옥으로 만든 함을 받들었으니 한 폭 경풍도(慶豊圖, 풍년의 경사를 그린 그림)가 들었구나. 가화(嘉禾)에 아홉 이삭이 달렸으니 우리 임금님 덕을 칭송하도다. |
원문 출처: 김천흥, 『정재무도홀기 창사보1』 번역: 강명관
반주음악은 〈길상지곡(吉祥之曲)〉이며, 이는 〈보허자령〉9)에 해당된다. 지금은 〈향당교주〉를 연주한다.
효명세자의 예제악장으로 창제된 궁중무 중의 하나로, 조선후기 궁중무의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궁중무에 비해 유교적 내용이 별로 없고, 옥함 속에 경풍도를 받든 이는 선인이라 한 점으로 보아 도교(道敎)적인 측면도 보인다. 사언의 한문 창사를 부르고, 별도로 국한문 창사도 노래 부른다.
이의강 역, 『국역순조무자진작의궤』, 보고사, 2006. 이흥구 손경순 역, 『국역정재무도홀기 조선궁중무용』, 열화당, 2000. 조경아, 「조선후기 의궤를 통해 본 정재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9.
김영희(金伶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