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향악정재의 하나로, 보등(寶燈)과 당(幢)을 든 무용수가 춘대(春臺) 위에서 대열을 바꾸며 추는 춤
춘대옥촉은 1828년(순조 28)에 창작된 향악정재의 하나이다. 1828년(순조 28) 6월 1일 연경당(演慶堂)에서 열린 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의 어머니 순원왕후(純元王后, 1789~1857)의 보령 40세를 기념하는 무자년 진작례(進爵禮)에서 처음 연행되었다.
연경당 진작례는 같은 해 2월 자경전(慈慶殿)에서 이미 한 차례의 잔치를 올렸기 때문에, 왕실 가족 여덟 명과 외빈 네 명만이 참석한 조촐한 내연(內宴)으로 행해졌다. 그 대신 효명세자가 지은 열한 편의 악장이 열일곱 편의 새로운 정재(呈才)를 설행하여 효를 실천하고 성인 군주의 덕목을 바로 세우는 등 정치질서의 안정을 도모하였다.
춘대는 ‘봄의 전망 좋은 전각’을 의미하며, 이를 형상화 한 것이 ‘윤대’이다. ‘옥촉’은 사계절의 기후가 화창하여 환히 비치는 ‘태평성대’를 상징한다. 즉, 춘대옥촉은 윤대에서 노래하며 태평성세를 축하하는 춤이라 할 수 있다.
순조 『(무자)진작의궤(進爵儀軌)』(1828)에 정재도(呈才圖)와 무구(舞具) 및 복식(服飾)이 전해지고,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에 무도(舞圖; 그림)와 술어(述語; 설명)를 전하고 있다.
20세기 초반에 연행이 단절되었다가 『정재무도홀기』를 토대로 이흥구(李興九, 1940~ )가 재현 안무하였다. 1997년 9월 9일 김명숙과 늘휘무용단이 복원공연에 참여하였고, 이후 국립국악원 무용단이 행사의 규모에 맞게 재구성하여 공연하고 있다.
1) 연경당의 진작례에서 설행(設行)된 정재의 종목은 망선문(望仙門), 경풍도(慶豐圖), 만수무(萬壽舞), 헌천화(獻天花), 춘대옥촉(春臺玉燭), 보상무(寶相舞), 향령무(響鈴舞), 영지무(影池舞), 박접무(撲蝶舞), 침향춘(沉香春), 연화무(蓮花舞)(沉香春), 춘앵전(春鶯囀), 춘광호(春光好)(沉香春), 첩승(疊勝), 최화무(催花舞)(沉香春),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沉香春), 무산향(舞山香)으로 무려 17종이다. 그중 11종목의 악장은 효명세자가 직접 지었다.
○내용 춘대옥촉은 보등과 당을 든 여섯 명의 무용수가 윤대 위에서 들고 악장을 부르며 추는 춤이다. 악장은 태평성세를 즐기기 위해 베푼 잔치에 신선들까지 출현하여 함께 즐기며 축하하고 기원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구조
춘대옥촉은 향악정재의 하나로, 죽간자(竹竿子)가 없으나, 당악정재와 같이 진구호(進口號)-창사(唱詞)-퇴구호(退口號)의 순서로 노래하며 춤이 진행된다. 즉, 당악정재의 창사 방식을 수용하여 춤의 격을 살리고, 향악정재의 보편적인 양식을 융합한 것이다. 춤의 대형은 순환적이며 반복적인 구조로 진행된다.
○진행절차
춘대옥촉의 진행 순서가 『정재무도홀기』에 무도(舞圖)와 술어(述語)로 기록되어 있다.
〈도입부〉
음악이 연주되면 악사(樂師)가 윤대를 받든 무동을 거느리고 전(殿) 안으로 들어가 윤대를 놓고 나간다. 춘대옥촉은 윤대 아래에서 초입대형(初入隊形)인 전후대형(前後隊形)으로 시작한다. 전대(前隊)에는 보등을 들고 춤을 주도하는 원무(元舞) 네 명이 있고, 후대에는 집당을 든 두 명이 구호로 춤의 시작을 알린다.
〈전개부〉
원무 네 명이 윤대의 사방(四方)으로 올라가 서고, 집당 두 명도 윤대로 올라가 동서로 나뉘어 선다. 윤대 위의 대형은 『(무자)진작의궤』 정재도를 통해 짐작할 수 있는데, 윤대 위에 세 명의 원무가 전대(前隊)에 있고, 그 뒤에 한 명의 원무가 후대(後隊)에 있으며 양옆의 동서에 두 명의 집당이 있다. 「춘대옥촉사」를 노래하고 나면 원무 네 명은 서로 마주 보고 춤추고. 상배(相背; 서로 등짐) 하거나 대면(對面; 마주 봄)한다. 그리고 선전(旋轉; 뱅글뱅글 도는 춤사위)하며 대오를 바꾸어 춤춘다. 윤대 위에서 춤이 끝나면 무용수 여섯 명이 윤대 아래로 내려간다.
〈종결부〉
윤대 위에서 춤이 끝나면 무용수 여섯 명이 윤대 아래로 내려가 초입대형으로 돌아가고 집당 두 명이 퇴구호를 하고 춤을 마친다.
○춤사위
춘대옥촉은 윤대 아래에서 전후대형(前後隊形)으로 춤을 시작하여 윤대위로 올라가 본격적 춤을 진행된다. 점차 두 대 좌우대형을 구성하여 동서의 무용수들이 상대무와 상배무로 구성에 변화를 꾀하고 선전하며 대오를 바꾸는 회전의 발 구름을 통해 곡선적(曲線的)이며 입체적(立體的인) 변화를 꾀한다. 『정재무도홀기』에 전하는 춤사위는 무진(舞進)ㆍ무퇴(舞退)ㆍ상대(相對)ㆍ상배ㆍ엽무(葉舞)ㆍ선전이다.
춘대옥촉에서는 진구호ㆍ사(詞)ㆍ퇴구호 세 편의 창사를 부른다. 창사는 중국의 『도서집성(圖書集成)』에 근거를 두었다. ‘춘대’는 중국의 송(宋) 태종이 지은 소석조(小石調)의 등춘대(登春臺)에서 인용한 것이다. 진구호는 태평성세를 축하하는 연회에 신선들도 축하하기 위해 참석했음을 보고하는 내용이다. 그리고 퇴구호는 잔치가 끝날 무렵 선인들이 하직을 청하는 내용이다. 사는 곧 선인이 부르는 노래로 연회를 장식하기 위해 대(臺)의 높은 곳에 매달린 채 빛나는 등불이 왕의 장수를 기원하는 완곡한 방식의 축수이다. 진구호와 퇴구호는 집당을 든 무용수가 부르고, 사는 보등을 든 무용수가 부른다.
원문 | 해설 | |
「집당 진구호」 | 綺席光華, 盛宴初張. 기석광화, 성연초장. 麗日舒長, 羣仙來朝. 여일서장, 군선내조. | 비단 자리 빛나는 곳 성대한 잔치 처음 열자, 느리고 긴 봄날 뭇 신선 찾아와 문안인사를 올리네. |
「집등 창사」 | 寶臺高星彩, 燈光點點紅. 보대고성채, 등광점점홍. 賀聖壽雲韶, 天樂聲聲慢. 하성수운소, 천악성성만. | 보배로 꾸민 누대 위 별빛 찬란하고 등불은 점점이 붉구나. 성수(聖壽)를 경하하며 운소곡(韻韶曲) 연주하니, 하늘의 음악이라 소리소리 느즈러지네. |
「집당 퇴구호」 | 法樂將終, 拜辭華筵. 법악장종, 배사화연. 仙鶴欲返, 遙指雲程. 선학욕반, 요지운정. | 법악(法樂)이 이제 곧 끝나려 하매 화려한 자리에서 절하고 물러나니 선학(仙鶴)도 돌아가려고 멀리 구름길을 가리킵니다. |
원문: 김천흥, 『정재무도홀기 창사보2』 번역: 강명관
1828년(순조 28) 무자 『진작의궤』에는 춘대옥촉의 복식도(服飾圖)와 함께 장치와 무구가 악기도(樂器圖)에 도상으로 전한다. 무동은 머리에 주취금관(珠翠金冠)을 쓰고, 하의로 남질홍선상(藍質紅縇裳)을 입고 상의로 자라포(紫羅袍)ㆍ백질흑선중단의(白質黑縇中單衣)를 입고 남사대(藍絲帶)를 두른다. 그 위에 백우엄요(白羽掩腰)와 백우호령(白羽護領)을 하고 허리에 학정대(鶴頂帶)를 띠고 발에는 비두리(飛頭履)를 신는다.
전각인 윤대의 다리는 두 척에 길이와 넓이는 팔 척 오 분이고, 난간의 높이가 일 척 오 분이다. 네 면의 원음격판에는 연환 및 운각 태평화를 장식하고, 붉은 칠을 하여 아름답게 만들어 사용하였다. 무구(舞具)인 당과 보등은 설명 없이 그림만 전한다.
춘대옥촉은 윤대에서 춤추는 여섯 명 무동정재를 새롭게 양식화 한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향악정재의 진행 형식에 당악정재의 가창 방식을 융합하여 예술표현의 양식성을 넓혔다. 춘대옥촉은 조선 전기의 악장이 조선 건국의 정당성과 후대의 교화를 위한 통치이념을 담아낸 것과 달리 중국의 문헌을 인용하여 태평성대를 비유하거나 성수무강을 기원함으로써 정재의 예술적 감흥을 강화하고 있다
김명숙,「춘대옥촉의 재현에 관한 고찰」, 『무용예술학연구』 8, 2001. 손선숙, 『한국궁중무용사』, 보고사, 2017. 송방송,「조선왕조 정재 및 정재사료의 서설」, 『국악원논문집』 27, 2013. 이의강,「순조 무자년(1828) ‘연경당진작’의 성격과 연출 정재들 간의 내적 흐름」, 『민족무용』 7, 2001. 조경아, 「순조대 정재 창작양상 : 중국 문헌의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보』 31, 2003.
김기화(金起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