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악정재의 하나로, 태조(太祖, 1335~1408, 재위 1392~1398)가 일찍이 자신이 왕위에 오를 것을 예견한 진귀한 책[보록(寶籙)]을 받았다는 내용의 노래를 부르며 추는 춤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당악정재 이다. 태조 2년에 정도전(鄭道傳, 1342~1398)이 지어 올린 가사로 후에 춤의 형태로 확장되었다. 땅의 신[지선(地仙)]이 등장하며 ‘보록(寶籙)’이라는 상징적인 무구(舞具)를 승지(承旨)1에게 전달함으로써, 태조 이성계가 왕이 된 것은 예견된 것임을 비유적으로 알리는 내용의 노래를 부르고 추는 춤이다.
1)승지(承旨)는 조선시대 승정원(承政院)의 정3품 당상관. 도승지(都承旨) 좌승지(左承旨) 우승지(右承旨) 좌부승지(左副承旨) 우부승지(右副承旨) 동부승지(同副承旨)등 6승지를 말하며,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였다. 네이버 백과사전 참고
수보록은 태조 이성계가 왕이 된 것은 예견된 것이라는 내용을 담아 태조 2년(1393)에 정도전이 지어 올린 악장으로, 태종(太宗, 1367~1422, 재위 1400~1418)대에 춤과 함께 연행되었다. 『태종실록(太宗實錄)』 권1에 의하면 ‘첫 번째 탕을 올리면 관저(關雎)2를 노래하고, 첫 번째 잔을 올리면 수보록정재를 한다’고 되어 있다. 수보록은 세종대에도 활발하게 공연되었으나 이후에는 연행된 기록이 없다. 현대에는 1980년대 국립국악원 주도 하에 김천흥(金千興, 1909~2007)의 재현 안무로 무대 예술화되어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2) 중국의 고전인 시경(詩經) 주남(周南)편에 수록된 민요시
태조 이성계가 왕위에 오르기 전 지리산 석벽 속에서 진귀한 내용이 담긴 책을 받은 사실을 춤과 노래, 음악으로 표현한 것으로, 새로운 왕조를 세운 당위성을 합리화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태조실록』에 나온 전문은 다음과 같다.
“주상 전하께서 잠저(潛邸)에 계실 때에, 어떤 사람이 지리산(智異山) 석벽(石壁) 속에서 이상한 글을 얻어 바쳤는데, 뒤에 임신년(1392년, 조선 개국)에 이르러, 그 말이 그제야 맞게 되었으므로, 수보록(受寶籙)을 지었습니다. 저 높은 산에는 돌이 산과 가지런했는데, 여기서 이를 얻었으니 실로 이상한 글이었습니다. 용감한 목자(木子; 합치면 이(李)씨로 이성계를 의미)가 기회를 타서 일어났는데, 누가 그를 보좌하겠는가? 주초(走肖; 합치면 조(趙)씨로 조준을 의미)가 그 덕망 있는 사람이며, 비의(非衣; 배(裵)씨로 배극렴을 의미) 군자(君子)는 금성(金城)에서 왔으며, 삼전삼읍(三奠三邑; 정도전을 의미)이 도와서 이루었으며, 신도(神都)에 도읍을 정하여 왕위(王位)를 팔백년이나 전한다.’ 는 것을 우리 임금께서 받았으니, 보록(寶籙)이라 하였습니다.”
수보록은 봉족자 한 명ㆍ죽간자 두 명ㆍ보록 한 명ㆍ지선 두 명ㆍ승지 한 명과 의물을 든 열여덟 명의 무용수로 구성되어 있다. 보록을 든 중앙의 무용수 좌우에 무용수 열여덟 명이 아홉 명씩 나누어 서는데, 안쪽에서부터 인인장ㆍ정절ㆍ작선이 첫 줄에 서고, 정절ㆍ봉선ㆍ정절이 둘째 줄에 서며, 셋째 줄에는 용선ㆍ정절ㆍ미선의 순으로 서서 위엄있는 분위기를 연출한다. 수보록의 진행은 ⓛ 족자를 든 무용수와 죽간자를 든 무용수가 앞으로 나아가 하늘이 내린 부서(符瑞, 왕이 천명을 받을 상서로운 징조)를 받아 온 백성이 기뻐하고 축하를 올리는 내용의 노래를 부르고 물러나기 ② ‘보록’을 받든 무용수가 앞으로 나가 족자의 뒤쪽에 꿇어앉아 승지에게 ‘보록’을 받들어 전하고 허리를 숙이고 일어나 노래하고 물러나기 ③ 위의 열여덟 명이 제자리에서 발을 디딤하면서[족도(足蹈)] 보록사(寶籙詞)를 함께 부르기 ⑦ 다시 부르며, 왼쪽의 아홉 명은 동쪽을 향해 밖으로 돌고, 오른쪽의 아홉 명은 서쪽을 향해 안으로 돌며 세 번 돌아 제자리로 돌아오기④ 지선이 앞으로 나와 춤을 추고 물러나기 ⑤ 죽간자가 나와 퇴구호 하고 족자와 함께 물러가기 ⑥ 뒤이어 모두가 물러나며 마치는 절차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둥글게 함께 돌면서 보록사를 노래하는 것은 그 안에 담긴 내용이 이루어지기를 기원하며 추는 것이다.
수보록에서는 치어인, 죽간자 두 명ㆍ의물을 든 열여덟 명의 무용수가 노래를 부른다. 핵심적인 상징무구인 ‘보록’을 받든 무용수가 ‘보록’을 승지에게 전하고 몸을 숙였다 일어서서, 오른팔을 들고 치어를 부르는데 창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원문 | 해설 | |
[죽간자 구호] | 受皇天之符瑞, 棨景運之靈長. 수황천지부서, 계경운지영장. 擧有懽炘, 式陳頌禱. 거유환흔, 식진송도. | 하늘의 부서(符瑞, 왕이 천명을 받을 상서로운 징조)를 받아 크고 신령하고 길이 이어질 운수를 열었으니, 모두들 기쁨에 넘쳐 찬양하고 축하하나이다. |
[치어] | 受寶籙得異書也. 太祖在潛邸, 有人得異書於智異山石壁中以獻. 後至歲壬申其言乃驗, 作受寶籙. 수보록득이서야. 태조재잠저, 유인득이서어지리산석벽중이헌. 후지세임신기언내험, 작수보록. | 「수보록(受寶籙)」은 신이한 글을 얻은 것을 노래한 것입니다. 태조(太祖)께서 왕위에 오르시기 전에 어떤 사람이 어떤 사람이 지리산 석벽 속에서 신이한 글을 얻어 바친 뒤 임신년(1392년 조선을 건국한 해)에 그 말이 맞았으므로 〈수보록(受寶籙)〉을 지은 것입니다. | [창사] | 「수악절 창 (寶籙詞)」 彼高矣山, 石與天齊. 피고의산, 석여천제. 于以剖之, 得之異書. 우이부지, 득지이서. 桓桓木子, 乘時而作. 환환목자, 승시이작. 誰其輔之, 走肖其德. 수기보지, 주초기덕. 非衣君子, 來自金成. 비의군자, 내자금성. 三奠三邑, 贊而成之. 삼전삼읍, 찬이성지. 奠于神都, 傳祚八百. 전우신도, 전조팔백. 我龍受之, 粤惟寶籙. 아룡수지, 월유보록. | 「수악절 창 보록사(寶籙詞)」 높을사 저 산이여, 석벽이 하늘과 나란하네. 그 석벽을 쪼개어 신이한 글을 얻었더라. 굳세고 씩씩한 목자[木子, 李氏를 뜻함]가 때를 타고 일어나니, 누가 그를 도울 건가? 주초[走肖, 趙氏, 곧 조준(趙浚)]가 그 덕이로다. 비의(非衣, 裴氏, 곧 배극렴(裴克廉)) 군자는 금성(金城)에서 와서 삼전(三奠)․삼읍(三邑)[3명의 정씨, 곧 정도전(鄭道傳)․정총(鄭摠)․정희계(鄭熙啓)]이 도와서 이루리로다. 새 도읍에 터를 잡아 팔백 대(代)을 전하리라. 우리 임금 임금이 받았으니, ‘보록(寶籙)’[왕이 될 전조]이라 하는도다. | [죽간자 구호] | 奏九曲而告成, 祝千天而有永. 주구곡이고성, 축천세이유영, 幸値昇平之日, 敢申悅懌之情. 행치승평지일, 감신열역지정. 拜辭華筵, 式宴譽處. 배사화연, 식연예처. | 음악의 연주를 마치고 천세(千歲)토록 영원하기를 비옵니다. 다행히 태평성대를 만나 기뻐하고 축하하는 정성을 폈나이다. 연석(筵席)에 절 올리고 물러나니 편안히 잔치를 즐기소서. |
원문: 김천흥, 『정재무도홀기 창사보2』 번역: 강명관
수보록의 반주음악은 진행되는 과장에 따라 변화를 보인다. 입장과장에서 죽간자ㆍ족자ㆍ보록ㆍ승지의 무용수들이 〈회팔선인자(會八仙引子)〉에 맞춰 춤을 추고, 춤과장에서는 위의 열여덟 명은 〈보허자령(步虛子令)〉ㆍ지선 두 명은 〈금전악령〉에 춤을 추고 마친다. 퇴장과장에서는 다시 〈회팔선 인자〉가 연주되고 죽간자와 족자ㆍ위의ㆍ보록ㆍ지선이 퇴장한다.
수보록에 사용하는 의물은 당악정재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죽간자를 비롯하여 인인장ㆍ 정절ㆍ작선ㆍ봉선ㆍ미선ㆍ용선이 있으며, 족자와 상징적인 무구인 보록을 사용한다. 수보록의 복식은 조선 초기 여기 복식으로 머리에는 잠(箴)ㆍ 차ㆍ 수화(首花)를 꽂고, 이마에 대요(臺腰)를 두른다. 상의로는 남저고리 위에 단의를 입고, 하의로는 말군을 입고 그 위에 상을 두르며, 혜아를 신는다.
수보록은 태조가 조선을 개국한 것이 하늘의 뜻이며 정당하다는 것을 노래로 지어 알리고 그 의미를 공유하고자 새로운 악장을 지어 창제된 당악정재이다. ‘지선’이라는 땅의 신으로부터 ‘보록’을 받음으로써 개국의 당위성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또한 의물을 든 열여덟 명의 무용수들이 세 번에 걸쳐 회무를 돌면서 ‘새로 도읍을 정하여 왕위 팔백년을 전하리’라는 보록사의 내용을 합창하며 염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김영희 외 4인, 『한국춤통사』, 보고사, 2011. 조경아, 「정도전 악장 정재의 가무악 요소에 담긴 상징과 비유」, 『무용역사기록학』 33, 2014. 이혜구 역주, 『신역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김경숙(金敬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