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장기(九張機)
고려 문종(文宗, 1019~1083, 재위 1046~1083) 때 들어온 송나라 교방가무(敎坊歌舞)의 하나로 팔관회에서 추어졌다고『고려사(高麗史)』(1451)에 전하는 춤
구장기별기에 관한 기록은 『고려사』권71에 전한다.
이에 따르면, 1073년(문종 27) 11월 신해(辛亥)일에 팔관회를 차리고 왕이 신봉루(神鳳樓)에 행차하여 악무(樂舞)를 관람하였는데, 교방 여제자 초영이 새로 전래한 〈포구락〉과 구장기별기를 공연하였다고 한다. 〈포구락〉은 여제자 열세 명이, 구장기별기는 여제자 열 명이 공연하였다. 〈포구락〉은 『고려사』「악지」에 관련 내용이 전하나, 구장기별기는 더 이상의 기록을 찾을 수 없어 어떤 형태와 내용을 가진 정재인지 알 수 없다. 다만, 남송 초기 도교학자 증조(曾慥, ?~?)가 집필한 『악부아사(樂府雅詞)』에 구장기가 두 편 실려있다. 한 편은 전곡이 아홉 곡이고 또 한 편은 열한 곡인데, 부녀가자 실을 짜는 모습을 9장까지 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현재는 전승되지 않는다.
고려의 교방은 송나라와 적극적인 교류를 하였다. 송나라에서 파견한 교방악관들로부터 전해진 당악정재가 팔관회에서도 연행되었고, 나아가 이러한 교류를 통해 고려 궁중공연예술이 발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고려사』 김영희 외, 『한국춤통사』, 보고사, 2014. 송방송, 『증보 한국음악통사』, 민속원, 2007.
권혜경(權惠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