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부터 현재까지 아악(雅樂) 연주에 사용하는 세로로 부는 관악기
고려시대에 중국 송(宋)나라에서 유입된 이후 조선 시대를 거쳐 대한제국 시기에 이르기까지 아악이 수반된 궁중 의례에서 활용되었던 관악기이다. 현재에도 아악이 사용되는 《사직제례악》과 《문묘제례악》을 연주할 때 쓰이고 있다.
적은 고려 예종 11년(1116)에 송에서 대성아악(大晟雅樂)이 전래 되면서 한반도에 등장하였고, 이때부터 제례에서 아악(雅樂)을 연주할 때 편성되었다. 조선 시대에도 아악이 수반되는 사직(社稷)ㆍ풍운뇌우(風雲雷雨)ㆍ선농(先農)ㆍ선잠(先蠶)ㆍ우사(雩祀)ㆍ문묘(文廟) 등에 제사를 올릴 때 적을 사용하였다. 또한 세종대의 조회(朝會)와 회례(會禮), 영조의 71세[望八] 기념 연향처럼 일시적으로 아악이 사용되었던 궁중 의례에서도 적이 쓰였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조선 시대로부터 이어진 제례뿐 아니라 새로 제정된 하늘 제사의 《환구제례악(圜丘祭禮樂)》을 연주하는 등 그 쓰임이 확장되었다. 그러나 경술국치(庚戌國恥)로 인해 궁중의 제례가 축소된 이후 아악을 연주하는 제향은 문묘만 존속됨으로써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적은 《문묘제례악》을 연주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근래에 복원된 《사직제례악》에도 편성된다.
○ 구조와 형태
약 65cm의 대나무 관대에 단소처럼 U자형으로 취구(吹口)를 깎고, 지공 여섯 개를 뚫는다. 제1공은 뒤에 있으며, 제2ㆍ3ㆍ4ㆍ5ㆍ6공은 앞에 있다. 『악학궤범』에는 오늘날 적에서는 보이지 않는 허공(虛孔) 두 개와 십자 모양의 구멍이 더 뚫려 있다. 음높이를 보정하는 기능을 했던 허공 두 개는 관대 끝의 좌우에 위치하며, 그 밑에 십자공(十字孔)이 있는 형태였다.
○ 음역과 조율법 대나무 관대에 뚫린 지공 여섯 개로 한 옥타브 내의 열두음[十二律, C4~B4]과 그 위 네[四淸聲, C5, C#5, D5, D#5]까지 총 열여섯 음을 낼 수 있다. 즉, 한 옥타브 + 단3도 정도의 음역대를 구사한다.
○ 연주방법과 기법
취구에 불어넣는 입김의 세기를 조절하며 지공을 막거나 열어서 연주한다. 즉, 황종에서 응종까지 한 옥타브 내의 음을 낼 때의 입김을 보통 세기로 하지만, 그 위 네 음을 낼 때는 입김을 세게 분다. 지공은 손가락으로 완전히 막거나 반(1/2)만 막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제1공은 왼손 엄지ㆍ제2공은 왼손 검지ㆍ제3공은 왼손 중지ㆍ제4공은 오른손 검지ㆍ제5공은 오른손 중지ㆍ제6공은 오른손 약지가 담당한다.
제1~6공을 모두 막으면 황종(黃,C4), 제1~5공까지 모두 막은 채 제6공을 반만 막으면 대려(大,C#4), 제1~5공을 모두 막으면 태주(太,D4), 제1~4공까지 모두 막은 채 제5공을 반만 막으면 협종(夾,D#4), 제1~4공을 모두 막으면 고선(姑:,E4), 제1~3공을 모두 막은 채 제4공을 반만 막으면 중려(仲,F4), 제1~3공을 모두 막으면 유빈(蕤,F#4), 제1~2공을 모두 막고, 제3공을 반만 막으면 임종(林,G4), 제1~2공을 모두 막으면 이칙(夷G#4)음을 낼 수 있다. 운지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연주악곡 《사직제례악》과 《문묘제례악》
○ 제작 및 관리방법
적의 재료인 오죽(烏竹)을 11월부터 3월 사이에 채취하여 그늘지고 바람이 잘 통하는 서늘한 곳에 보관한다. 이후 대나무에 열을 가해 나무의 진액을 빼낸 후 대나무를 곧게 편다. 이어 내경(內徑)과 지공을 뚫고 취구를 만들어준 후 대나무가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명주실로 감는다.
고려 시대부터 현재까지 아악 연주에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온 데에 역사적인 의미가 있다.
『고려사』 『대한예전』 『세종실록』「오례의」 『시악화성』 『악학궤범』 『을유수작의궤』 『춘관통고』
『한국의 악기 2』, 국립국악원, 2016.
이정희(李丁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