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楬)
등에 나무 톱니가 부착된 엎드린 나무호랑이를 끝이 갈라진 대나무채[籈]로 그 머리를 친 후 꼬리 방향으로 톱니를 훑어내려 연주하여 궁중의 제례악과 연향악에서 음악의 그침[樂止]을 알리는 기능을 했던 무율(無律) 타악기
어는 한반도에 고려 시대부터 등장한다. 1116년(예종 11)에 중국 송(宋)나라에서 대성아악(大晟雅樂)이 들어올 때 포함되어 있었다. 유입 직후부터 제례악을 연주할 때 멈춤을 알리는 기능을 담당하는 악기로 자리하였다. 따라서 만물의 그침을 나타내는 가을에 해당하는 방향인 서쪽에 두어 자연과 조화를 꾀하였다. 또한 어가 댓돌 위 당상에 배치할 때는 갈이라는 명칭으로 기록되기도 하였는데, 어를 연주할 때 발생하는 소리를 음차한 것이라는 해석이 있다.
조선 시대에는 제례악뿐 아니라 연향악을 연주할 때에도 쓰였으며, 그러한 전통은 대한제국 시기까지 이어졌다. 이후 경술국치(庚戌國恥)로 인해 궁중 의례가 축소되었다가, 오늘날 《종묘제례악》ㆍ《사직제례악》ㆍ《문묘제례악》 등에 편성되고 있다.
○ 구조와 형태 나무호랑이ㆍ채ㆍ받침대로 구성된다. 나무호랑이는 피나무를 재료로 쓰며 흰색 칠을 한다. 이는 동쪽에 배치되어 음악을 시작할 때 치는 축에 푸른색을 칠하는 것과 대비된다. 길이는 96cm, 높이는 37cm 가량 된다. 나무호랑이의 등에 붙이는 스물일곱 개의 톱니[齟齬]는 길이가 68cm, 높이가 1.5-2cm 정도이다. 받침대도 피나무로 만들며 면적은 대략 94cm×38cm이다. 채는 대나무로 만들며 손으로 잡는 반대편 끝이 세 부분으로 갈라져 있고 그 끝부분이 다시 세 조각씩 나누어져 있다.
○ 연주 방법과 기법
나무호랑이의 머리를 연주자의 왼쪽으로 향하게 한 후 서서 대나무채를 잡고 허리를 약간 숙여 나무호랑이의 머리를 먼저 세 번 친 후 등에 부착된 나무 톱니를 꼬리 방향으로 훑어 내리는 방식으로 연주한다. 박ㆍ특경ㆍ절고 등 합주를 그치게 하는 여러 타악기와 조화를 이루며 질서 있게 진행한다.
연주법이나 음향은 단순하지만 고려 시대부터 오늘날까지 궁중음악을 합주할 때 음악의 멈춤을 알리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기능성ㆍ상징성ㆍ역사성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고려사』「악지」 『고종임인진연의궤』 『기사진표리진찬의궤』 『사직서의궤』 『순조기축진찬의궤』 『악학궤범』 『이왕가악기』 『조선아악기사진첩 건』 『종묘의궤』
『한국의 악기 2』, 국립국악원, 2016. 송혜진 글ㆍ강운구 사진, 『한국악기』, 열화당, 2001. 이정희, 『궁궐의 음악문화』, 민속원, 2021.
이정희(李丁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