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판(拍板)
음악 합주의 시작과 끝, 악절의 전환, 또는 궁중정재(呈才)의 장단과 춤사위 변화를 알리는 데 사용하는 타악기
박은 중국에서 전래 되어 통일신라 시대에는 박판, 고려 시대에는 박판 또는 박으로 불리다가 조선 시대에 박으로 명칭이 정리된 후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음악을 합주할 때 시작과 끝 또는 악절의 전환을 지시하고, 궁중정재에서 장단과 춤사위가 전환될 때 알리는 역할을 한다.
박은 박판이라는 이름으로 삼현(三絃)ㆍ삼죽(三竹)ㆍ대고(大鼓)와 함께 『삼국사기(三國史記)』「악지(樂志)」에 통일신라의 악기로 소개되었으며, 9세기의 사리탑인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智證大師塔)에 새겨진 주악상(奏樂像)에도 보인다. 고려 시대에는 1114년(예종 9) 송(宋)에서 보낸 악기에 박판이 포함되어 있으며, 『고려사(高麗史)』「악지(樂志)」의 향악기(鄕樂器)와 당악기(唐樂器) 항목에 모두 수록되어, 향악과 당악 연주에 두루 쓰였던 정황이 드러난다. 박이 향악ㆍ당악에 동시 사용된 전통은 조선 시대로 이어졌고, 일제강점기에는 아악(雅樂)까지 확장되기에 이른다. 오늘날에는 향악, 당악, 아악이라는 경계를 넘어서서 무대 위에서 관현합주를 할 때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조선 시대에 박을 치는 사람을 집박(執拍)이라고 칭했는데, 가장 높은 지위에 오른 악인(樂人)인 전악(典樂)이 집박이 되어 연주의 시작[樂作]과 멈춤[樂止]을 진두지휘하는 역할을 하였다. 집박은 녹주의(綠紬衣)를 착용하여 일반 악인에 비해 격이 높음을 시각적으로 드러내었다. 현재는 악장이나 음악감독이 녹주의를 입고 집박 역할을 하는 방식으로 계승되고 있다.
○구조와 형태
박은 폭 7cm, 길이 40cm 가량의 박달나무판 여섯 개를 묶어 만든다. 『악학궤범(樂學軌範)』에 모과나무, 구지뽕나무, 산유자나무, 대추나무 등 단단하고 빛이 좋은 나무는 모두 박의 재료로 쓸 수 있다고 했다. 판 위쪽에 두 구멍을 낸 후 묶어 고정시킨 형태이며, 묶이지 않은 쪽의 나무판을 벌였다가 모으는 방법으로 움직일 수 있다. 나무판 사이에는 엽전을 댄다.
○연주악곡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ㆍ〈문묘제례악(文廟祭禮樂〉ㆍ〈낙양춘(洛陽春)〉ㆍ〈여민락만(與民樂慢)〉ㆍ〈여민락령(與民樂令〉ㆍ〈해령(解令〉ㆍ〈수제천(壽齊天〉ㆍ〈평조회상(平調會相)〉ㆍ〈삼현영산회상(三絃靈山會相)〉 등의 전통음악을 합주할 때 시작과 끝에 으레 박을 사용한다. 음악을 시작할 때에는 한 번, 끝날 때는 세 번을 치지만, 옛 악보에는 악절마다 박을 치기도 했다. 아울러 궁중정재의 장단과 춤사위가 변하는 지점을 나타내기 위해 박을 치기도 한다.
○제작 및 관리방법
박은 여섯 개의 박달나무판의 끝에 각각 두 개의 구멍을 뚫고 그 구멍에 맞춰 나무판 사이에 엽전을 댄 후 가죽끈으로 묶어 고정시킨다. 가죽끈 끝에는 매듭을 드리워 장식을 한다.
연주법이나 소리는 단순하지만, 음악을 진두지휘하는 기능을 한다는 측면에서 주목된다.
『고려사』「악지」 『기사진표리진찬의궤』 『삼국사기』「악지」 『악학궤범』 『조선아악요람』
『근현대 한국음악 풍경』, 국립국악원, 2007. 이동희, 「아악에서 박의 사용에 관한 검토」, 『한국음악연구』 67, 2020. 이정희, 『궁궐의 음악문화』, 민속원, 2021.
이정희(李丁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