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거시조(平擧時調)
글자 수 45자 내외의 단형(短型)시조를 노랫말로 하는 시조
평시조는 시조창의 기본형으로, 글자 수 45자 내외의 단형시조를 노랫말로 하며, 간단한 선율형을 중간음역대로 평평하게 노래한다. 현재 전하는 시조 중 가장 먼저 서울 일원에서 생겼으며, 이후 파생된 여러 시조의 모체가 되었다. 서울 ㆍ경기 지역의 경제(京制) 평시조 외에 지방별로 다양한 향제(鄕制) 평시조가 있다.
평시조는 18세기 후반 서울 일원에서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악보로 전하는 최초의 시조는 서유구(徐有榘, 1764~1845)가 지은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중 『유예지(遊藝志)』와, 헌종(憲宗, 재위 1834~1849) 때 이규경(李圭景, 1788~?)이 엮은 『구라철사금자보(歐邏鐵絲琴字譜)』에 동일곡으로 실린 양금곡 〈시조(時調)〉인데, 이 곡이 경제 평시조의 원형이다. 이후의 여러 고악보에도 ‘시조’ㆍ〈시조장단〉ㆍ〈평조시조〉ㆍ〈시절가(時節歌)〉ㆍ〈시쥬갈락〉 등의 이름으로 평시조 악곡이 전한다.
○ 전승 현황
평시조는 20세기 들어 전국적으로 일반인들 사이에서 널리 불리면서 서울에서 발생한 경제 평시조를 본 따 다양한 향제 평시조들이 생겨났다.
향제 시조는 경상도의 영제(嶺制), 충청도 내포 지역의 내포제(內浦制) 및 전라도의 완제(完制)로 크게 구분된다. 그러나 정경태(鄭坰兌, 1916~2003)가 기존의 가락을 편곡한 석암제(石菴制)를 만들어 전국에 보급하면서 지역별 고유 창제들은 거의 사라지고, 현재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석암제를 부르게 되었다.
○ 명칭
평시조라는 명칭은 중간 음에 해당하는 중(仲:A♭4)(남성기준) 음으로 시작하여 끝까지 중간음역대로 평평하게 선율이 이루어져 명명된 이름이다.
○ 창법
경제와 향제 평시조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속성[-聲]’의 유무이다. 속성은 속청ㆍ속소리ㆍ속목ㆍ세성(細聲)이라고도 하며, 겉소리ㆍ겉목인 진성(眞聲)에 상대되는 창법이다.
경제 평시조의 경우, 중장 중간과 종장 첫 부분에서 청황(潢:E♭5)의 속청이 한 박 정도 등장하지만, 향제에서는 속청 없이 중간음인 중(仲:A♭4)으로 부른다. 석암제에서는 청황(潢:E♭5)을 속청을 넣어 부르기도 하고 속청 없이 중간음으로 부르기도 하면서 전자(속청이 있는 평시조)를 ‘여성용 창제’라고 하지만, 남성도 속청을 구사하므로 사실상 구별이 모호하다.
○ 음계와 선율
평시조는 남성 음역대 기준으로 㑖-㑣-黃-太-仲-林-南-潢이 출현하는 5음 음계이나, 이 중 黃-仲-林의 3음이 주로 활용되며, 세 음 중에서도 황종과 중려의 두 음이 뼈대 선율을 이룬다.
○ 장단
평시조를 포함한 대부분 시조의 장단은 5박과 8박 장단이 섞여 있다. 현재와 같이 5-8박으로 정립되기 전에는 박 대신 ‘점(點)장단’을 써서 5박이 ‘3점’으로, 8박을 ‘5점’으로 이르기도 하였다. 고악보 중 양금 육보(肉譜)로 기보된 『장금신보(張琴新譜)』의 시조장단은 ‘매화점장단’, 즉 3-5점 장단형으로 기록되어 있다. 3-5점 장단은 현행 5-8박 장단 형성 이전의 장단형으로, 3점은 5박으로, 5점은 8박 장단으로 변화되었다.
○ 노랫말과 배자
평시조는 글자 수 45자 내외의 단형시조를 노랫말로 한다.
단형시조 첫 구의 글자 수는 통계적으로 세 글자가 가장 일반적이고, 그다음으로 4자가 많으며, 드물게 5자 이상으로 시작하는 평시조도 있다.
특별히 첫 구가 두 글자로 시작할 때는 ‘두자머리시조’라고 따로 구분하여 부르기도 한다. 이는 두 글자로 시작할 경우 평소처럼 중(仲:A♭4)음으로 시작하지 않고 완전4도 아래 황(黃:E♭4)음으로 시작하며, 장단도 5박이 아닌 2박으로 시작하는 등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평시조는 45자 내외의 단형시조는 모두 동일한 선율과 장단 틀에 얹어 부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한 구(句)의 글자 수가 3~4자를 벗어나 2자뿐이거나 4자 이상인 단형시조도 있기 때문에 각 장단별로 글자 붙임새(안배), 즉 배자법(排字法)을 정해두었으나, 근래에 이러한 법칙이 많이 허물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같은 글자 수를 가진 단형시조라도 그 글자에 담긴 뜻이나 음운의 길고 짧음에 따라 배자에 예외를 두고, 선율도 글자 수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꾀하였으나, 근래에는 획일화되고 있다.
○ 평시조 「영시(影詩)」
평시조의 노랫말인 단형시조는 초장, 중장 및 종장이 각각 4구(이때 구는 ‘음보[音步]’를 가리키며, 장단의 5박 또는 8박 단위에 해당)로 이루어진다. 이를 시조창으로 부를 때 종장 마지막 구는 노래하지 않으므로 종장은 3구가 되어, 평시조는 총 11구가 된다. 이 11구의 음악적인 느낌을 사언(四言)의 한시(漢詩)로 지은 「영시(影詩)」 11수가 있다.
(초장 4구)
한운출수(閒雲出峀), | 한가한 구름, 산에 떠 오르는 듯 |
연비여천(鳶飛戾天). | 나는 솔개미 항공을 배회하듯 |
한상효월(寒霜曉月), | 찬 서리 내린 새벽 달처럼 |
한등고연(寒燈孤烟). | 차가운 등불에 외로운 연기처럼. |
[또는 잔연고등(殘煙孤燈).] | [또는 외로운 등불에 하늘거리는 연기처럼] |
묘입운중(杳入雲中), | 아득히 구름 속으로 들어가듯 |
장강유수(長江流水). | 길고 긴 강의 흐르는 물처럼 |
고산방석(高山放石), | 높은 산에 돌 굴리듯 |
평사낙안(平沙落雁). | 모래사장을 사뿐히 내리는 기러기처럼. |
원포귀범(遠浦歸帆), | 먼 포구에서 돌아오는 돛배처럼 |
동정추월(洞庭秋月), | 넓고 넓은 동정호에 뜬 가을 달처럼 |
완여반석(完如磐石). | 맺음은 움직일 수 없는 반석처럼. |
평시조는 엄격한 형식을 갖춘 시조의 기본형에 해당되며, 평시조로부터 십수 종의 시조가 파생되었다. 사대부로부터 평민ㆍ가객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향유되었고 오늘날에도 가장 널리 애창되는 전통 성악곡 중 하나이다.
『삼죽금보』 『서금보』 『아양금보』 『유예지』 『장금신보』
구인환, 『고교생이 알아야 할 시조』, 신원, 2003. 김원석ㆍ신동근, 『시조 할아버지의 타임머신』, 책내음, 2016. 문현, 『명인 전하는 평시조·사설시조』, 민속원, 2004. 신웅순, 『한국문학총서 16: 문화유산에 깃든 시조』, 푸른사상, 2021. 이양교, 『시조창보』(증보재판), 현대문화사, 1994. 전국국어교사모임, 『문학시간에 옛시읽기 1: 시조』, 휴머니스트, 2014. 전윤호ㆍ정소영, 『고대 가요·한시·시조』, 주니어김영사, 2018. 문현, 「평시조의 창제별 음악적 특징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4.
문현(文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