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곤가(乾坤歌)
한국 전통 성악곡의 한 갈래인 12가사 중 하나로, 중국 악부(樂府) 죽지사의 영향을 받아 우리나라의 풍물ㆍ자연ㆍ인정 등을 노래한 작품
죽지사는 〈건곤가〉라는 곡명으로도 불린다. 노래 첫 부분이 “건곤이 불로 월장재하니”로 시작하는 것을 차용하여 붙여진 것이다. 전체 4장으로 구성되었고, 6박 도드리장단으로 부른다. 노래의 속도는 대략 1분에 24정간이며, 약 15분이 소요된다.
조선시대에 중국 악부 죽지사의 영향을 받아 우리나라의 풍물ㆍ자연ㆍ인정 등을 노래한 작품을 흔히 죽지사라고 부른다. 그러나 현행 12가사 중의 죽지사는 20세기 초반에 생성된 노래이다.
○ 역사 변천과정
죽지사는 특정한 음악이 아닌 ‘죽지사류’ 작품을 지칭하는 통합적 개념으로 쓰인다. 12가사 중의 하나인 죽지사는 18~19세기에 등장한 다른 가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게 생성된 노래이다. 19세기 가집에는 죽지사가 보이지 않고, 20세기의 『대동풍아(大東風雅)』(1908)ㆍ『가곡보감(歌曲寶鑑)』(1928) 등에 보인다. 노래 선율이나 반주가 전하는 고악보는 발견되지 않는다.
발생 시기가 늦은 만큼 음악도 18세기에 가창된 〈춘면곡〉ㆍ〈어부사〉와는 차이가 있다. 같은 선율이 네 번 단순 반복되고, 본곡(후렴 앞부분)보다 길이가 긴 후렴이 각 장에 배치되는 명확한 유절형식을 띠는 점이 특징적이다. 일관성 없는 사설이 나열되고, 노랫말과 장단의 구획이 서로 부합하지 않는 부분도 있다. 이러한 죽지사의 특징은 12가사의 음악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요소가 된다.
○ 연행 시기 및 장소
선비들의 풍류문화가 성행했던 18세기에는 가사가 풍류방을 중심으로 연행되었지만, 뒤늦게 발생한 죽지사는 다소 유흥적인 공간에서 연행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고악보에 거문고ㆍ양금 등의 반주선율이 전하지 않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 악대와 악기편성
다른 가사와 마찬가지로 반주는 피리ㆍ대금ㆍ해금ㆍ장구 위주의 악기로 이루어진다. 주로 단재비로 연주하고, 상황에 따라 악기의 수를 줄이기도 한다. 반주 선율은 일정한 선율 없이 노래 선율의 흐름에 따라 자유롭게 연주하는 방식인 수성(隨聲)가락으로 연주한다.
○ 악곡 구성ㆍ연주 악대 및 악기편성ㆍ형식ㆍ장단ㆍ음계 및 선법ㆍ기타
죽지사는 총 4장으로 구성된 곡이다. 한 장단은 6박으로 제1장부터 제4장까지 각 장의 길이가 균등하고, 각 장마다 후렴이 반복된다. 즉, 제1장과 후렴의 선율이 반복되는 유절형식으로 되어 있다. 같은 선율이 4번 반복되면서 각 장의 제1~6장단 부분만 노랫말이 바뀐다. 입타령으로 된 후렴이 노랫말을 바꾸어 부르는 본곡 부분보다 더 길다.6박 도드리장단으로 부르며, 선율은 황(黃:E♭4)ㆍ태(太:F4)ㆍ중(仲:A♭4)ㆍ임(林:B♭4)ㆍ남(南:C5)의 5음 음계 평조로 되어 있다. 사설 붙임은 6박 한 장단에 노랫말이 5~7자가 들어가거나, 한 음보가 6박 장단을 넘어 9박에 이르는 등 장단과 노랫말의 배분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 이와 같이 죽지사는 노랫말과 창법에 속요적 요소가 부분적으로 가미되어 다른 가사와 구별되는 특징이 뚜렷하다.
죽지사는 “건곤불로월장재(乾坤不老月長在) 적막강산금백년(寂寞江山今百年)∼”으로 사작하는데, 제1장은 이재(李縡:1680~1746)의 과시(科試) 셋째 구 “대이태백혼 송죽지사(代李太白魂 誦竹枝詞)”에 우리말 토를 단 것이다. 제2장 이하는 시정에서 유행하던 노랫말들을 일관성 없이 나열한 것이다. 가집에 따라 노랫말 순서가 바뀌기도 하여 규칙성이 없다. 후렴은 “어이요 이요이요 이야어 일심정념(一心精念)은 극락나무아미상(極樂南無阿彌像)이로구나 야루 너니나 야루나”로 의미 없는 입타령과 죽지사와 관련 없는 불교적인 구절을 차용했다.
장 | 노랫말 | 해설 |
*후렴 | 어희요 이히요 이히야 어 일심정념(一心精念)은 극락나무아미상(極樂南無阿彌像) 이로구나 야루나 |
어히요 이히요 이히요 이히야 한마음으로 염불하기는 극락에 가 아미타불에 귀의하고자 함이로다 |
1장 | 건곤(乾坤)이 불로월장재(不老月長在)허니 적막강산(寂寞江山)이 금백년(今百年) 이로구나 |
천지는 늙지 않고 달도 그대론데 적막한 강산은 이제 백 년이로구나 |
2장 | 책보다가 창(窓) 퉁탕 열치니 강호(江湖) 둥덩실 백구(白鷗) 둥 떴다 |
책 보다가 창 퉁탕 열어젖히니 강호에 둥덩실 흰 갈매기 둥 떴다 |
3장 | 하날이 높아 구진 비 오니 산(山)과 물과는 만계(萬溪)로 돈다 |
하늘이 높아 궂은비 오니 산과 물은 수많은 계곡으로 돈다 |
4장 | 낙동강상(洛東江上) 선주범(仙舟泛)허니 취적가성(吹笛歌聲)이 낙원풍(落遠風) 이로구나 |
낙동강 위에 배를 띄우니 피리 불며 노래하는 소리가 바람결에 들려오는구나 |
죽지사는 다른 가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게 발생하여 음악적 형태가 초기 가사들과 많이 다르다. 정형화된 형식에서 벗어나 민요의 특성이 가미된 죽지사가 12가사에 포함되면서 12가사는 음악적으로 더욱 풍성해지게 되었다.
국가무형문화재(1971)
고상미, 「12가사(歌詞)의 창법 연구: 춘면곡, 백구사, 죽지사를 중심으로」, 서울대 석사논문, 2010. 박은옥, 「죽지사(竹枝詞)의 한ㆍ중 비교 연구」, 『한국음악사학보』47, 2011. 송은하, 「죽지사의 선율 및 시김새 비교 연구: 하규일, 이주환, 김월하를 중심으로」, 용인대 석사논문, 2010. 윤영해, 「12가사의 요성: 어부사, 춘면곡, 죽지사를 중심으로」, 서울대 석사논문, 2002. 임기중, 「죽지사,『한국역대가사문학집성(1)』, 집문당, 2005. 장효현, 「조선 후기 죽지사(竹枝詞) 연구」,『한국학보』 10권 1호, 1984.
김창곤(金昌坤),임미선(林美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