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삭대엽(編數大葉), 편자진한잎, 편삭엽(編數葉), 편대엽(編大葉), 계편(界編), 편(編/便)
만년장환지곡(萬年長歡之曲), 중선회(衆仙會)
전통 성악곡의 한 갈래인 남창가곡 중 긴 노랫말을 촘촘히 엮어 부르는 ‘편(編)’ 계열의 노래
조선 후기 중형(中型)시조와 장형(長型)시조가 등장하면서, 긴 사설을 부르기 위해서 기존의 노래에서 선율이 확대되고 장단에 변화를 준 농(弄)ㆍ낙(樂)ㆍ편(編)이라는 새로운 유형이 만들어졌다. 이들은 가곡 한 바탕을 이어서 부를 때 후반부에 불리며, ‘소가곡(小歌曲)’이라고도 한다. 소가곡 중에서는 ‘편’ 계열의 노래가 가장 늦게 생겨났다.
편수대엽은 『유예지(遊藝志)』(1806~1813 추정)에 처음 나타나며, ‘편’ 계열 노래의 기본형에 해당된다.
○ 역사 변천 과정
편수대엽에 해당하는 노래는 『삼죽금보(三竹琴譜)』(1841)에 편수대엽, 『학포금보(學圃琴譜)』와 『서금가곡(西琴歌曲)』에 〈편(編)〉, 『일사양금보(一簑洋琴譜)』에 〈편삭엽(編數葉〉, 『방산한씨금보(芳山韓氏琴譜)』(1916)에 〈계편(界編)〉이라는 이름으로 실렸다.
현재의 남창가곡은 대부분 하규일(河圭一, 1867~1937)을 통해 전승되었으며, 편수대엽의 악곡으로는 “진국명산”ㆍ“낙양성리”ㆍ“천금준마로”ㆍ“천하명산”ㆍ“남아의”ㆍ“남산송백”ㆍ“문독춘추”ㆍ“화과산수”ㆍ“어재 만재이여”의 아홉 곡이 있다.
○ 음악적 특징
편수대엽의 ‘편’은 글자 수가 많은 노랫말을 10박의 편장단으로 촘촘하게 엮어 부르는 것을 이른다. 편장단은 16박의 가곡 기본 장단에서 장구점이 없는 빈 박을 빼고 10점(點)의 장구점만 10박으로 배열한 것이다.
형식은 5장 형식이나 글자 수가 매우 많은 장형시조를 노랫말로 하므로 제3장과 제5장의 선율을 늘려 긴 노랫말을 소화하는데, 이를 ‘각(刻)’을 더한다’고 한다. 편수대엽 “진국명산”은 제3장에 8각, 제5장에 4각을 추가하여 노래한다.
편수대엽의 음계는 황(黃:E♭4)ㆍ중(仲:A♭4)ㆍ임(林:B♭4)의 3음이 선율의 골격을 이루는 계면조이다. 편수대엽의 곡태(曲態)를 『가곡원류(歌曲源流)』의 「가지풍도형용(歌之風度形容)」에서 “대군이 말을 달려오니, 북과 피리가 일제히 울린다(大軍驅來 鼓角齊鳴)”라고 하였다.
가곡은 거문고ㆍ가야금ㆍ세피리ㆍ대금ㆍ해금ㆍ양금ㆍ단소ㆍ장구 등 관현악 편성의 악기를 단재비로 구성하여 반주한다. 전주(前奏)인 대여음(大餘音)에 이어 초장ㆍ제2장ㆍ제3장을 부르고, 짧은 간주(間奏)인 중여음(中餘音)에 이어 제4장과 제5장을 마저 부른다. 대여음은 본래 노래가 다 끝난 뒤 연주하는 후주(後奏)였으나, 오늘날 가곡에서는 전주로 연주된다.
⋅ 편수대엽 “진국명산” (초장) 진국명산(鎭國名山) 만장봉(萬丈峯)이 (2장) 청천삭출금부용(靑天削出金芙蓉)이라 (3장) 거벽(巨壁)은 흘립(屹立)허여 북주삼각(北主三角)이요 기암(奇岩)은 두기(陡起)허여 남안잠두(南案蠶頭)로다 좌룡낙산(左龍駱山) 우호인왕(右虎仁旺) 서색(瑞色)은 반공응상궐(蟠空凝象闕)이요 숙기(淑氣)는 종영출인걸(種英出人傑)허니 미재(美哉)라 아동산하지고(我東山河之固)여 성대의관(聖代衣冠) 태평문물(太平文物)이 만만세지금탕(萬萬世之金湯)이로다 (4장) 연풍(年豊)코 (5장) 국태민안(國泰民安)허여 구추 황국(九秋黃菊) 단풍절(丹楓節)에 인유이봉무(麟遊而鳳舞)커늘 면악등림(緬岳登臨)허여 취포반환(醉飽盤桓)허오면서 감격군은(感激君恩)이샷다. (내용 해설) (초장) 나라의 진산 만장이나 되는 봉우리가 (2장) 푸른 하늘 높이 치솟아 금빛 연꽃 모양을 이루고 있구나. (3장) 거대한 벽 우뚝 솟아 북으로 삼각이 주봉을 이루고, 기이한 바위 홀연히 솟아 남으로 남산이 안산이 되었구나. 좌청룡은 낙산이요 우백호는 인왕산인데, 상서로운 기운이 공중에 서려 상서로운 궁궐을 둘렀고, 맑은 기운은 빼어남을 모아 인걸을 내는구나. 아름답구나! 우리 동방 산하의 견고함여, 태평성대의 의관과 문물이 만만세토록 이어갈 굳셀 한양성이로다. (4장) 해마다 풍년들어 (5장) 국가가 태평하고 백성이 평안하니 가을 황국과 단풍이 좋은 시절에 기린이 노닒을 보려고 멀고 험한 산을 올라 취하며 배불리 먹고 두루 돌아다니면서 임금의 은혜에 감격하오리라.
해설: 성무경 교주, 『19세기 초반 가곡 가집, 『영언』』, 보고사, 2007, 305-306쪽
편수대엽을 포함한 가곡은 신라 향가와 고려가요의 맥을 이은 우리나라 고유의 성악 갈래이며, 전통사회 상류층의 미의식과 문화를 간직한 정가(正歌)로서 국가 및 지방별 무형유산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가곡: 국가무형문화재(1969) 가곡: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1989) 가곡: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2002) 가곡(남창):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1995) 가곡: 경상북도 무형문화재(2003) 가곡: 전라북도 무형문화재(2013) 가곡: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2010)
『방산한씨금보』 『삼죽금보』 『서금가곡』 『소영집성』 『아금고보』 『유예지』 『일사양금보』 『학포금보』
김기수, 『남창가곡백선』, 은하출판사, 1979. 김영운, 『가곡 연창형식의 역사적 전개양상』, 민속원, 2005. 성무경 교주, 『19세기 초반 가곡 가집, 『영언』』, 보고사, 2007. 장사훈, 『국악사론』, 대광문화사, 1983. 이두원, 「평농과 편수대엽」,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최선아(崔仙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