엇롱(旕弄), 얼롱(乻弄), 만횡(蔓橫), 반지기(半—)
만년장환지곡(萬年長歡之曲), 중선회(衆仙會)
전통 성악곡의 한 갈래인 남창가곡 중 ‘농(弄)’ 계열의 노래로, 초장 처음을 높이 질러 부르는 곡
조선 후기 중형(中型)시조와 장형(長型)시조가 등장하면서, 긴 사설을 부르기 위해서 기존의 노래에서 선율이 확대되고 장단에 변화를 준 농(弄)ㆍ낙(樂)ㆍ편(編)이라는 새로운 유형이 만들어졌다. 이들은 가곡 한 바탕을 부를 때 후반부에 불리며, ‘소가곡(小歌曲)’이라고도 한다. 소가곡 중 ‘농’ 계열의 노래는 ‘낙’ 계열보다 늦게 『유예지(遊藝志)』(1806~1813 추정)에 〈농엽(弄葉)〉ㆍ〈농악(弄樂)〉이라는 명칭으로 처음 보인다. 이와 별개로 〈엇계락(旕界樂)〉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 노래가 현재의 언롱에 해당하는 곡이다. 이후 언롱은 『삼죽금보(三竹琴譜)』(1841)에서 〈엇롱〉이란 이름으로 악보에 수록되었다. 『삼죽금보』의 〈엇롱〉 초장은 계면조 〈삼수대엽(三數大葉)〉의 초장과 같고, 제2장 이하는 〈농〉 이하와 같다.
○ 역사 변천 과정
『학포금보(學圃琴譜)』ㆍ『일사양금보(一簑洋琴譜)』ㆍ『서금가곡(西琴歌曲)』 등에 〈엇롱〉이 실렸고, 『휘금가곡보(徽琴歌曲譜)』는 〈얼롱〉, 『방산한씨금보(芳山韓氏琴譜)』(1916)는 〈만횡(蔓橫) 혹칭(或稱) 반죽이)〉라는 이름으로 실렸다.
현재의 남창가곡은 대부분 하규일(河圭一, 1867~1937)을 통해 전승되었으며, 언롱의 악곡으로는 “이태백(李太白)의”ㆍ“십재(十齋)를 경영(經營)”ㆍ“기러기 풀풀”ㆍ“팔만대장(八萬大藏)”ㆍ“어촌(漁村)에”의 다섯 곡이 있다.
○ 음악적 특징
언롱의 ‘언(言)’ 또는 ‘얼(乻)’은 ‘엇(旕)’의 와음(訛音)으로, ‘지름’과 같은 뜻이다. 언롱ㆍ〈언락(言樂〉ㆍ〈언편(言編)〉 등 초장 처음을 높게 질러 시작하는 노래에 붙인다.
‘농’은 흥청거리는 곡태(曲態)를 이른다. 계면조 〈농(평롱)〉의 변형인 언롱은 초장은 소리를 높이 질러 시작하고, 제2장 이하는 흥청거리며 폭넓은 요성(搖聲)을 많이 써서 부른다. 『가곡원류(歌曲源流)』(1872)의 「가지풍도형용(歌之風度形容)」에서 언롱(만횡)의 이러한 곡태를 “뭇 선비들이 설전(舌戰)을 벌이니, 갖가지 모양의 풍운이 인다[舌戰群儒 變態風雲]”고 하였다.
음계는 황(黃:E♭4)ㆍ중(仲:A♭4)ㆍ임(林:B♭4)의 3음이 골격을 이루는 황종 계면조이며, 장단은 가곡의 기본 장단인 16박 장단이다.
가곡은 거문고ㆍ가야금ㆍ세피리ㆍ대금ㆍ해금ㆍ양금ㆍ단소ㆍ장구 등 관현악 편성의 악기를 단재비로 구성하여 반주한다. 전체 5장으로 구성되며, 전주(前奏)인 대여음(大餘音)에 이어 초장ㆍ제2장ㆍ제3장을 부르고, 짧은 간주(間奏)인 중여음(中餘音)에 이어 제4장과 제5장을 마저 부른다. 대여음은 본래 노래가 다 끝난 뒤 연주하는 후주(後奏)였으나, 오늘날 가곡에서는 전주로 연주된다.
가곡의 가사 붙임새는 ‘어단성장(語短聲長)’이라 하여, 실사(實辭)에 해당하는 낱말을 촘촘히 붙이고 조사 등 허사(虛辭)를 길게 끄는 것이 특징이다. ‘ㅐ’나 ‘ㅔ’ 등의 중모음(重母音)을 ‘아이’ㆍ‘어이’ 등 단모음(單母音)으로 풀어 발음하는 것은 가곡 갈래가 성립한 조선 중기 국어 발음의 잔영으로 보인다.
○ 늘어난 노랫말의 처리
가곡 한바탕에서, 우조 〈초수대엽(初數大葉)〉(여창은 우조 〈이수대엽〉)부터 계면조 〈소용(騷聳)〉(여창은 계면조 〈두거〉)까지의 전반부 노래들은 글자 수 45자 내외의 단형(短型)시조를 노랫말로 한다. 후반부를 시작하는 ‘농’과 ‘낙’ 계열의 노래들부터는 글자 수가 더 늘어난 중형(中型)시조를 주로 쓰고, 이따금 장형(長型)시조를 부르기도 한다. 맨 마지막에 부르는 ‘편’ 계열의 노래들은 장형시조를 얹어 부른다.
‘농’ㆍ‘낙’ㆍ‘편’ 계열의 가곡은 주로 제3장과 제5장에 장단을 추가하여 늘어난 노랫말을 소화하는데, 이를 ‘각(刻)을 더한다’고 한다. 추가하는 최소 단위는 반각(8박, 편에서는 5박)이며, 일반적으로 16박(편은 10박) 각을 필요한 만큼 더한다.
단, 남창 언롱 “이태백의”는 글자수가 단형시조에서 크게 늘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각을 더하지 않고 본래 음악 틀로 노래한다.
⋅ 언롱 “이태백의” (초장) 이태백(李太白)의 주량(酒量)은 긔 어떠하여 (2장) 일일수경(一日須傾) 삼백배(三百盃)허고 (3장) 두목지(杜牧之) 풍채(風采)는 긔 어떠허여 취과(醉過) 양주(楊州) 귤(橘) 만차(滿車)ㅣ런고 (4장) 아마도 (5장) 이 둘의 풍도(風度)는 못 및을까 하노라. (내용 해설) (초장) 이태백의 주량은 그 얼마나 하기에 (2장) 하루에 모름지기 술 삼백 잔을 기울였고 (3장) 두목지의 풍채는 그 어떠하기에 술에 취하여 양주를 지날 때 기생들이 귤을 던져 수레에 가득했다던가. (4장) 아마도 (5장) 이 둘의 풍도는 못 미칠까 하노라.
해설: 성무경 교주, 『19세기 초반 가곡 가집, 『영언』』, 보고사, 2007, 219쪽
언롱을 포함한 가곡은 신라 향가와 고려가요의 맥을 이은 우리나라 고유의 성악 갈래이며, 전통사회 상류층의 미의식과 문화를 간직한 정가(正歌)로서 국가 및 지방별 무형유산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언롱ㆍ〈언락〉ㆍ〈언편〉 등 ‘언(엇)’ 계열의 가곡은 남창으로만 부른다.
가곡: 국가무형문화재(1969) 가곡: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1989) 가곡: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2002) 가곡(남창):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1995) 가곡: 경상북도 무형문화재(2003) 가곡: 전라북도 무형문화재(2013) 가곡: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2010)
『방산한씨금보』 『삼죽금보』 『서금가곡』 『유예지』 『일사양금보』 『학포금보』 『휘금가곡보』
김기수, 『남창가곡백선』, 은하출판사, 1979. 김영운, 『가곡 연창형식의 역사적 전개양상』, 민속원, 2005. 성무경 교주, 『19세기 초반 가곡 가집, 『영언』』, 보고사, 2007. 장사훈, 『국악사론』, 대광문화사, 1983.
최선아(崔仙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