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년장환지곡(萬年長歡之曲), 중선회(衆仙會)
조선 후기 중형(中型)시조와 장형(長型)시조가 등장하면서, 긴 사설을 부르기 위해서 기존의 노래에서 선율이 확대되고 장단에 변화를 준 농(弄)ㆍ낙(樂)ㆍ편(編)이라는 새로운 유형이 만들어졌다. 이들은 가곡 한 바탕을 부를 때 후반부에 불리며, ‘소가곡(小歌曲)’이라고도 한다. 소가곡 중 ‘농’ 계열의 노래는 ‘낙’ 계열보다 늦은 시기에 나왔다. 『유예지(遊藝志)』(1806~1813 추정)에 〈농엽(弄葉)〉ㆍ〈농악(弄樂)〉이라는 명칭으로 처음 보이는데, 이 곡들은 지금의 계면조 〈평롱〉에 해당한다.
‘우조로 부르는 농’인 우롱은 악보상 『삼죽금보(三竹琴譜)』(1841)에 〈우롱 속칭(俗稱) 밤엿자즌ᄒᆞᆫ닙)〉이라는 곡명으로 처음 등장한다. 『삼죽금보』의 우롱은 우조로만 연주하는 곡이지만 제3장 끝에 계면조로 바뀌는 경우도 있고, 선율도 자세히 기록되어 있는데, 중간에 계면조로 바꾸어 부르는 것이 지금의 〈반엽(半葉)〉, 일명 〈밤엿자진한닢〉이다.○ 역사 변천 과정
『일사양금보(一簑洋琴譜)』와 『방산한씨금보(芳山韓氏琴譜)』(1916)에도 우롱이 수록되어 있다. 현재의 남창가곡은 대부분 하규일(河圭一, 1867~1937)을 통해 전승되었으며, 우롱의 악곡으로는 “삼월삼일(三月三日)” 한 곡이 있다.
○ 음악적 특징
우롱의 ‘농’은 흥청거리는 곡태(曲態)를 이른다. 우롱은 우조로 된 노래로, 가곡의 ‘우조’는 ‘우조평조(羽調平調)’의 준말, 즉 황종궁 평조선법에 해당한다. 오늘날 가곡은 낮은 평조평조(平調平調, 탁임종궁 평조선법)는 없고 높은 우조평조로만 부르므로, 가곡에서 ‘우조’와 ‘평조’는 같은 말이 되었다.황(黃:E♭4)ㆍ태(太:F4)ㆍ중(仲:A♭4)ㆍ임(林:B♭4)ㆍ남(南:C5)의 5음 음계 황종 평조이며, 장단은 가곡의 기본 장단인 16박 장단이다.
가곡은 거문고ㆍ가야금ㆍ세피리ㆍ대금ㆍ해금ㆍ양금ㆍ단소ㆍ장구 등 관현악 편성의 악기를 단재비로 구성하여 반주한다. 전체 5장으로 구성되며, 전주(前奏)인 대여음(大餘音)에 이어 초장ㆍ제2장ㆍ제3장을 부르고, 짧은 간주(間奏)인 중여음(中餘音)에 이어 제4장과 제5장을 마저 부른다. 대여음은 본래 노래가 다 끝난 뒤 연주하는 후주(後奏)였으나, 오늘날 가곡에서는 전주로 연주된다.
가곡의 가사 붙임새는 ‘어단성장(語短聲長)’이라 하여, 실사(實辭)에 해당하는 낱말을 촘촘히 붙이고 조사 등 허사(虛辭)를 길게 끄는 것이 특징이다. ‘ㅐ’나 ‘ㅔ’ 등의 중모음(重母音)을 ‘아이’ㆍ‘어이’ 등 단모음(單母音)으로 풀어 발음하는 것은 가곡 갈래가 성립한 조선 중기 국어 발음의 잔영으로 보인다.
○ 늘어난 노랫말의 처리
가곡 한바탕에서, 우조 〈초수대엽(初數大葉)〉(여창은 우조 〈이수대엽〉)부터 계면조 〈소용(騷聳)〉(여창은 계면조 〈두거〉)까지의 전반부 노래들은 글자 수 45자 내외의 단형(短型)시조를 노랫말로 한다. 후반부를 시작하는 ‘농’과 ‘낙’ 계열의 노래들부터는 글자 수가 더 늘어난 중형(中型)시조를 주로 쓰고, 이따금 장형(長型)시조를 부르기도 한다. 맨 마지막에 부르는 ‘편’ 계열의 노래들은 장형시조를 얹어 부른다. ‘농’ㆍ‘낙’ㆍ‘편’ 계열의 가곡은 주로 제3장과 제5장의 선율을 추가하여 늘어난 노랫말을 소화하는데, 이를 ‘각(刻)을 더한다’고 한다. 그러나 남창 우롱 “삼월삼일”은 단형시조를 노랫말로 쓰기 때문에, 각을 더하지 않고 본래 음악 틀로 노래한다.
⋅ 우롱 “삼월삼일” (초장) 삼월 삼일(三月三日) 이백도홍(李白桃紅) (2장) 구월 구일(九月九日) 황국단풍(黃菊丹楓) (3장) 청렴(靑帘)에 술이 익고 동정(洞庭)에 추월(秋月)인저 (4장) 백옥배(白玉盃) (5장) 죽엽주(竹葉酒) 가지고 완월장취(玩月長醉)허리라. (내용 해설) (초장) 삼짇날의 흰 배꽃과 붉은 복사꽃, (2장) 중구절(重九節)의 노란 국화와 단풍. (3장) 주막에 술이 익고 동정호에 가을 달이 비친 때에. (4장) 백옥으로 만든 술잔에 (5장) 댓잎술을 부어 달을 보고 놀면서 길게 취하리라.
해설: 성무경 교주, 『19세기 초반 가곡 가집, 『영언』』, 보고사, 2007, 90쪽
우롱을 중간에 계면조로 변조해 부르면 반우반계(半羽半界)인 〈반엽〉이 된다. 남창가곡을 연이어 부를 때, 첫 곡 우조 〈초수대엽(初數大葉)〉부터 일곱 번째 우조 〈소용(騷聳)〉까지 우조 노래들을 부른 후 계면조 노래들로 넘어가기 위해, 우조로 시작하여 중간에 계면조로 변조하는 〈반엽〉을 여덟 번째 곡으로 부른다. 〈반엽〉 대신 내리 우조인 우롱을 부르면, 아홉 번째 계면조 〈초수대엽(初數大葉)〉부터 열여덟 번째 〈계락〉까지를 거르고 열아홉 번째 〈우락〉으로 건너뛸 수 있다. 우롱을 포함한 가곡은 신라 향가와 고려가요의 맥을 이은 우리나라 고유의 성악 갈래이며, 전통사회 상류층의 미의식과 문화를 간직한 정가(正歌)로서 국가 및 지방별 무형유산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가곡: 국가무형문화재(1969) 가곡: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1989) 가곡: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2002) 가곡(남창):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1995) 가곡: 경상북도 무형문화재(2003) 가곡: 전라북도 무형문화재(2013) 가곡: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2010)
『방산한씨금보』 『삼죽금보』 『일사양금보』
김기수, 『남창가곡백선』, 은하출판사, 1979. 김영운, 『가곡 연창형식의 역사적 전개양상』, 민속원, 2005. 성무경 교주, 『19세기 초반 가곡 가집, 『영언』』, 보고사, 2007. 장사훈, 『국악사론』, 대광문화사, 1983.
최선아(崔仙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