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용(搔聳), 소용이(騷聳伊, 搔龍耳), 삼뢰(三雷)
만년장환지곡(萬年長歡之曲), 중선회(衆仙會)
전통 성악곡의 한 갈래인 남창가곡에 속하는 노래로, <삼수대엽(三數大葉)〉의 가락을 덜어내고 속도를 빨리 하여 높이 질러 부르는 곡
삭대엽에서 분화된 〈삼엽(三葉)〉이 19세기 초 삼수대엽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소용이 파생되었다. ‘솟구치고 떠들썩하며 높은 음역’ 의 뜻으로 이름 붙여진 소용은 『삼죽금보』(1841)에 〈우조소용(羽調騷聳)〉과 〈계면소용(界面騷聳)〉으로 수록되었다.
○ 역사변천 과정
『유예지』의 <삼엽>이 『삼죽금보(三竹琴譜)』(1841)의 <삼수대엽>으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우조소용(羽調騷聳)〉과 〈계면소용(界面騷聳)〉으로 등장하였다.
이중, 소용은 3장부터 질러 부르고 거문고 반주도 8괘로 올려 타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삼뢰(三雷)>는 삼수대엽을 뇌성처럼 부른다고 하여 붙여진 소용의 다른 이름으로 『현학금보』(1852)와 『대동풍아(大東風雅)』에 실렸다. 『현금오음통론』(1886)의 우조 <소용이(搔龍耳)>, 『협률대성(協律大成)』에는 우조 <소용(騷聳)> 뿐, 계면 소용은 보이지 않는다. 이후 『방산한씨금보(芳山韓氏琴譜)』(1916)에 우조 <소용이(騷聳伊)>과 계면 <소용이(騷聳伊)>가 수록되어 오늘의 명칭으로 전한다. 『가곡원류』에는 우조와 계면조 별로 주로 불리던 다수의 노랫말이 수록되었다.
현재의 남창가곡은 하규일(河圭一, 1867~1937)을 통해 전승되었으며, 소용의 노랫말로는 우조에 “불 아니”, “아마도”, “어제 밤도”, “저 건너”의 네 곡, 계면조에 “어흐마” 한 곡이 있다.
○음악적 특징
소용은 〈삼수대엽〉에 비하여 가락을 덜어내어 속도를 빠르게 하고 옥타브 정도의 높이로 질러 부르며 상행종지형이 특징인 곡이다.
소용에는 우조와 계면조 두 악조가 있다. 가곡의 ‘우조’는 ‘우조평조(羽調平調)’의 준말, 즉 황종궁 평조선법에 해당하는데, 오늘날 가곡은 낮은 평조평조(平調平調, 탁임종궁 평조선법)는 없고 높은 우조평조로만 부르므로, 가곡에서 ‘우조’와 ‘평조’는 같은 말이 되었다. 우조 소용의 음계는 황(黃, E♭), 태(太, F), 중(仲, A♭), 임(林, B♭), 남(南, c)의 5음음계 황종평조이고, 계면조 소용은 황(E♭), 중(A♭), 임(B♭)의 3음이 골격을 이룬다. 장단은 가곡 기본장단인 16박 장단이며, 빠르기는 1분당 약 50박으로 가곡 중에서는 조금 빠른 곡에 속한다.
소용의 노랫말은 기본형보다 글자 수가 늘어난 중형(中型)이나 장형(長型) 시조시를 많이 쓰며, 노랫말에 따라 선율이 조금씩 달라지기도 한다. 글자 수가 늘어나도 음악의 행수를 늘리지는 않고, 늘어난 노랫말을 더 빠른 한배에 촘촘하게 붙이며 거뜬거뜬 불러 나간다. 가곡의 4장 노랫말은 엄격하게 세 글자를 지키는데, 매우 이례적으로 계면조 소용 “어흐마”는 다섯 글자나 된다.
가곡은 거문고, 가야금, 세피리, 대금, 해금, 양금, 단소, 장구 등 관현악 편성의 악기를 단재비로 구성하여 반주한다. 전체 5장으로 구성되며, 전주(前奏)인 대여음(大餘音)에 이어 초장, 2장, 3장을 부르고, 짧은 간주(間奏)인 중여음(中餘音)에 이어 4장과 5장을 마저 부른다. 대여음은 본래 노래가 다 끝난 뒤 연주하는 후주(後奏)였으나, 오늘날 가곡에서는 전주로 연주된다. 모든 가곡은 중여음에서 노래가 쉬지만 소용에서는 중여음에서도 노래가 이어진다.
가곡의 가사붙임새는 ‘어단성장(語短聲長)’이라 하여, 실사(實辭)에 해당하는 낱말을 촘촘히 붙이고 조사 등 허사(虛辭)를 길게 끄는 것이 특징이다. ‘ㅐ’나 ‘ㅔ’등의 중모음(重母音)을 ‘아이’, ‘어이’ 등 단모음(單母音)으로 풀어 발음하는 것은 가곡 갈래가 성립한 조선 중기 국어 발음의 잔영으로 보인다.
⋅우조 소용 “불 아니” (초장) 불 아니 땔지라도 절로 익는 솟과 (2장) 여무죽 아니 먹여도 크고 살져 한 것는 말과 (3장) 길삼 잘하는 여기첩(女妓妾)과 술 샘는 주전자(酒煎子)와 양부(月羊部)로 낳는 감은 암소 (4장) 평생(平生)에 (5장) 이 다섯 가지를 두량이면 부러울 것이 없에라. ⋅계면조 소용 “어흐마” (초장) 어흐마 긔 뉘오신고 (2장) 건넌 불당(佛堂)의 동령 중이올러니 (3장) 홀거사(居士)의 홀로 자시는 방 안에 무시것 허러 와 계신고 (4장) 홀거사님의 (5장) 노감탁이 벗어 거는 말 곁에 내 고깔 벗어 걸러 왔습네.
〈소용〉을 포함한 가곡은 신라 향가와 고려가요의 맥을 이은 우리나라 고유의 성악갈래이며, 전통사회 상류층의 미의식과 문화를 간직한 정가(正歌)로서 국가 및 지방별 무형유산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가곡원류(歌曲源流)』(1872)의 「가지풍도형용(歌之風度形容)」에서 선율 굴곡이 많은 〈소용〉의 곡태(曲態)를 “폭풍이 비를 부르니, 제비가 가로질러 난다(暴風驟雨, 飛燕橫行)”고 하였다.
가곡: 국가무형문화재(1969) 가곡: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1989) 가곡(남창):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1995) 가곡(여창):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2006) 가곡: 전라북도 무형문화재(2013) 가곡: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2002) 가곡: 경상북도 무형문화재(2003) 가곡: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2010)
『가곡원류』 『대동풍아』 『방산한씨금보』 『삼죽금보』 『현금오음통론』 『현학금보』 『협률대성』
김영운, 『가곡 연창형식의 역사적 전개양상』, 민속원, 2005. 김진향, 『선가 하규일선생 약전』, 민속원, 1993. 장사훈, 『국악사론』, 대광문화사, 1983.
장희선(張希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