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악보허자(絃樂步虛子)
황하청(黃河淸)
〈보허자(步虛子)〉 계통 악곡 중 현악기 편성으로 연주하는 풍류음악
보허사(步虛詞)는 궁중음악인 관악 합주 〈보허자〉를 민간의 풍류방에서 거문고, 가야금, 양금 등의 현악 편성으로 연주하는 악곡이다.
고려 시대에 송(宋)에서 들어온 사악(詞樂) <보허자>가 궁중음악으로 전승된 한편, 민간의 풍류음악으로 전승된 것이〈보허사〉이다. 조선 중기의 악보들에서는 이 보허사의 곡명이〈보허자〉로 수록되기도 하였으나 영조(英祖)대 이후 〈보허사〉로 불리기 시작했다.
○ 역사 변천 과정
보허사의 원래 곡명은 〈보허자〉이다. 〈보허자〉는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에 당악정재의 하나인 《오양선》 정재의 창사로 실려 있다. 《오양선》 정재 항에, 〈보허자령(步虛子令)〉이라는 악곡의 노랫말로 부르는 「벽연농효사(碧煙籠曉詞)」가 기록되어 있다. 같은 노랫말이 조선 성종(成宗) 때 편찬된 『악학궤범(樂學軌範)』에도 《오양선》 정재의 창사로 수록되어 있다.
〈보허자〉는 조선 시대 궁중음악으로 전승되어 현재 관악 편성으로 연주하는 〈보허자(관악보허자)〉와, 조선 후기 민간의 풍류방에서 현악 중심으로 연주되어 온 〈보허사(현악보허자)〉로 구분된다. 보허사는 민간에서 편찬한 『금합자보(琴合字譜)』(1572)에 〈보허자〉라는 곡명으로 수록되었고, 조선 후기 『한금신보(韓琴新譜)』에도 〈보허자〉로 수록되었으며 ‘우조팔편(羽調八篇)’이라고 병기되어, 다양한 변주곡을 파생시키는 모습을 보인다.
‘보허사’ 라는 곡명은 『유예지(遊藝志)』에 처음 나타나며, 19세기에 편찬된 『삼죽금보(三竹琴譜)』에도 〈보허사〉로 표기되었다.
○ 음악적 특징
<보허자>의 노랫말 사(詞)는 전단(前段)인 ‘미전사(尾前詞)’와 후단(後段)인 ‘미후사(尾後詞)’로 구분되는데, 미후사의 첫 번째 구가 미전사의 첫 번째 구와 다른 가락으로 바뀌는 현상을 ‘환두(換頭)’라 하고, 미후사의 둘째 구부터는 미전사의 둘째 구 이후 가락을 그대로 되풀이하므로 이를 ‘환입(還入)’이라 한다. 『한금신보』의 <보허자> 즉, 보허사는 미전사부터 환두(미후사의 제1구)까지로 이루어졌고, 오늘날의 보허사 역시 『한금신보』 〈보허자〉의 환두(換頭)형식을 유지하고 있다.
황(黃:E♭4)ㆍ태(太:F4)ㆍ중(仲:A♭4)ㆍ임(林:B♭4)ㆍ남(南:C5)의 다섯 음을 주로 사용하는 5음 음계 음악이지만, 중간에 무(無:D♭5)가 출현하여 부분적으로는 6음 음계로 되어 있다. 거문고ㆍ가야금ㆍ양금ㆍ장구를 편성해 연주한다.
보허사는 모두 일곱 장으로 구성된다. 제1~4장은 한 장단 20박으로 느리게 연주하고, 제5~7장은 한 장단 10박으로 비교적 빠르게 연주하여 한배의 변화를 보이는데, 이를 ‘급박(急迫)’이라 한다.
현재 연주되는 〈보허사〉는 노랫말 없는 기악곡이다. 다음은 《오양선》 정재에서 〈보허자령〉에 맞추어 불렀던 〈벽연농효사〉 노랫말이다.
원문 | 해석 | |
미전사 (전단) |
벽연농효해파한(碧烟籠曉海波閑) 강상수봉한(江上數峯寒). 패환성리이향(佩環聲裏異香), 표락인간(飄落人間), 미강절오운단(弭絳節五雲端). |
푸른 연기 새벽하늘에 자욱한데 바다 물결 한가롭고 강가의 두어 봉우리 차갑도다 패환 소리 속의 기이한 향기는 인간 세상에 나부껴 떨어지는데 강절이 오색 구름 끝에 멈추도다. |
미후사 (후단) |
완연공지가화서(宛然共指嘉禾瑞), 개일소파주한(開一笑破朱顔). 구중요궐망중(九重嶢闕望中), 삼축고천(三祝高天), 만만재대남산(萬萬載對南山). |
완연히 함께 아름다운 좋은 벼의 상서 가리키며 한 차례 웃어 붉은 얼굴 웃음 띠고 구중의 높은 궁궐 바라보는 가운데 하늘을 향해서 빌도다 축원하나니 만만년 남산을 대하소서 |
고려 시대 당악정재 《오양선》에서 창사로 불렸던 사악 〈보허자〉가 조선 선조대 이후 향악화하는 동시에, 궁중음악 〈보허자(관악보허자)〉와 민간 풍류방의 보허사(현악보허자)로 분화하였다. 보허사는 현재 자주 연주되는 음악은 아니지만, 이 곡으로부터 〈도드리(밑도드리)〉ㆍ〈웃도드리〉ㆍ〈양청도드리〉ㆍ〈우조가락도드리〉 등 다양한 변주곡이 파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고려사』「악지」 『금합자보』 『삼죽금보』 『악학궤범』 『유예지』 『한금신보』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이혜구,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장사훈, 『최신 국악총론』, 세광음악출판사, 1985. 장사훈, 「보허자논고」, 『국악논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3.
한영숙(韓英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