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조가락환입(羽調加樂還入), 우조가락제이(羽調加樂除耳), 우조가락도들이
양청도드리의 변주곡이자 《천년만세》 중 세 번째 악곡
우조가락도드리는 《천년만세》의 마지막 곡으로, 〈웃도드리〉 두 장단의 선율을 한 장단 길이의 타령장단으로 변주한 것이다. 모두 일곱 장으로 구성되며 황종평조(黃鍾平調)로 된 선율을 줄풍류 편성으로 연주한다.
○역사 변천 과정 『삼죽금보』에도 기록되어 있듯이 우조가락도드리는 〈웃도드리〉를 변주한 곡이다. 우조가락도드리 한 장단은 〈웃도드리〉 두 장단에 상응한다. 〈웃도드리〉 두 장단에서 주요음을 추출하고 거문고의 첫째 줄인 문현음(文絃, 㣴≒E♭2)을 주요음들 사이에 삽입하여 변주하는 방식으로 우조가락도드리 한 장단을 구성하였다. 우조가락도드리 한 장단의 선율은 주로 ‘주요음+문현+주요음+주요음+문현+주요음’의 형태를 띤다. 이렇게 주요음을 먼저 내고 나서 문현음을 내는 우조가락도드리의 변주 방식은 문현음을 먼저 내고 나서 그 뒤에 주요음을 내는 〈양청도드리〉의 변주 방식과 대비된다.
○음악적 특징 우조가락도드리라는 곡명은 ‘우조 선율로 연주하는 도드리’라는 뜻이다. 〈가곡(歌曲)〉에서 우조평조(羽調平調)를 ‘우조’, 우조계면조(羽調界面調)를 ‘계면조’로 줄여 부르는 것처럼 우조가락도드리에서 ‘우조’는 우조평조를 줄여 말한 것이다. 따라서 우조가락도드리의 악조는 우조평조, 즉 황종평조(黃鍾平調)이며, 선율은 황(黃:E♭4)ㆍ태(太:F4)ㆍ중(仲:A♭4)ㆍ임(林:B♭4)ㆍ남(南:C5)의 5음 음계로 구성된다. 우조가락도드리는〈웃도드리〉나 〈양청도드리〉처럼 일곱 장으로 구성되고, 제1장의 선율이 제4장에서 반복된다. 장단은 타령장단을 쓰며 〈계면가락도드리〉와 비슷한 빠르기로 연주한다.
○악곡 구성 우조가락도드리는 단독으로도 연주하나 주로 〈계면가락도드리〉와 〈양청도드리〉에 뒤이어 연주하며, 이 세 곡을 이어 연주하는 것을 《천년만세》라 한다. 『삼죽금보』에는 우조가락도드리 끝에서 제1장으로 돌아가 우조가락도드리를 반복해서 연주하는 방식, 우조가락도드리 끝에서 〈계면가락도드리〉로 돌아가 《천년만세》를 반복 연주하는 방식 등이 기록되어 있다.
○악기편성 거문고ㆍ가야금ㆍ해금ㆍ세피리ㆍ대금ㆍ장구로 된 줄풍류(세악) 편성이며 양금과 단소를 추가하기도 한다.
조선 후기 풍류객들은 기존 악곡을 변주하여 새로운 악곡을 만들고, 이 곡들을 모아 모음곡의 형태로 이어 연주하면서 줄풍류의 새로운 갈래를 형성하였다. 우조가락도드리는 〈보허사〉의 파생곡이자 《천년만세》의 구성곡으로서, 조선 후기 풍류방의 음악 창작 방식과 연주 문화를 잘 보여준다.
『삼죽금보』
이혜구, 『한국음악논집』, 세광음악출판사, 1985. 장사훈, 『국악논고』, 서울대학교출판부, 1966. 장사훈, 『최신국악총론』, 세광음악출판사, 1985. 이혜구, 「가곡의 우조」, 『증보한국음악연구』, 도서출판 민속원, 1996.
임란경(林爛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