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영산회상(管樂靈山會相), 대풍류
표정만방지곡(表正萬方之曲)
관악기 위주로 편성해 연주하는 《영산회상》의 한 종류
영산회상은 『악학궤범』(1493년) 권 5에 최초로 언급되었다. 향악정재인 〈학연화대처용무합설(鶴蓮花臺處容舞合說)〉 시 음악이 〈영산회상만(靈山會相慢)〉을 연주하면 여기와 악공이 일제히 소리 내어 가사 ‘영산회상불보살(靈山會相佛菩薩)’을 부르며 춤추고 박과 대고를 치면 〈영산회상령(靈山會相令)〉을 연주한다는 것이 그 내용이다.
○ 악곡 구성 〈상령산〉ㆍ〈중령산〉ㆍ〈세령산〉ㆍ〈가락덜이〉ㆍ〈삼현도드리〉ㆍ〈염불도드리〉ㆍ〈타령〉ㆍ〈군악〉 등 여덟 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곡을 모두 연주하는 경우도 있으나 몇 곡만을 따로 연주하기도 한다. 특히 〈삼현도드리〉 첫 두 장단의 가락을 다르게 연주하고 〈염불도드리〉ㆍ〈타령〉ㆍ〈군악〉까지 연주하는 것을 《함녕지곡(咸寧之曲)》이라고 하며, 〈상령산〉의 불규칙적인 스무 박 장단을 규칙적인 열 박 장단으로 변주하여 정재반주로 활용하는 것을 〈향당교주(鄕唐交奏)〉라고 한다. ○ 용도 연음기법을 활용하므로 독주보다는 기악합주로 연주하며 주로 정재 반주 음악으로 활용한다. ○ 악기편성 합주 시 박ㆍ향피리ㆍ대금ㆍ해금ㆍ아쟁ㆍ장구ㆍ좌고를 편성하며, 소금을 추가하기도 한다. 정재를 반주할 때는 삼현육각 편성으로 한다. ○ 장단
돌장 | 제1장 | 제2장 | 제3장 | 제4장 | 제5장 | 장단형 | |
상령상 | 4장단 | 4장단 | 3장단 | 3장단 | 불규칙한 빠르기의 20박자 | ||
중령산 | 4장단 | 4장단 | 3장단 | 3장단 | 4장단 | 불규칙한 빠르기의 20박자 | |
세령산 | 4장단 | 3장단 | 3장단 | 4장단 | 3소박 10박자 | ||
가락덜이 | 4장단 | 3장단 | 3장단 | 3소박 10박자 3소박 8박자(제3장 제3각) |
|||
삼현 도드리 |
1장단 | 8장단 | 11장단 | 6장단 | 9장단 | 3소박 6박자 | |
염불 도드리 |
22장단 | 16장단 | 6장단 | 7장단 | 3소박 6박자 2소박 6박자(제2장 제10각부터) |
||
타령 | 8장단 | 7장단 | 6장단 | 5장단 | 3소박 4박자 | ||
군악 | 10장단 | 9장단 | 23장단 | 6장단 | 3소박 4박자 | ||
○ 음계 〈상령산〉의 구성음은 황종(黃:E♭4)ㆍ태주(太:F4)ㆍ 중려(仲:A♭4)ㆍ임종(林:B♭4)ㆍ무역(無:D♭5) 5음이며 〈중령산〉부터 〈타령〉까지의 음계는 황종(黃:E♭4)ㆍ협종(夾:G♭4)ㆍ중려(仲:A♭4)ㆍ임종(林:B♭4)ㆍ무역(無:D♭5) 5음이고 〈군악〉의 제1장단~제2장단은 임종(㑣:B♭3)ㆍ남려(㑲:C4)ㆍ황종(黃:E♭4)ㆍ태주(太:F4)ㆍ 중려(仲:A♭4) 5음이며 〈군악〉 제3장단부터남려(㑲:C4)ㆍ황종(黃:E♭4)ㆍ태주(太:F4)ㆍ고선(姑:G4)ㆍ임종(林:B♭4) 5음이 사용된다. ○ 특징 1분에 총 20~25정간(井間) 정도를 연주하는 매우 느린 악곡 〈상령산〉으로부터 점점 빨라져서 마지막 곡인 〈군악〉은 1분에 모두 120~140정간을 연주하는 빠르기가 된다. 전체를 연주하는 데에 총 35~40분 정도가 걸린다. 합주 시 〈상령산〉 제1장단의 첫 열 정간은 타악기만 연주하며 제11정간부터 제14정간까지 피리선율이 나오고 다른 악기들은 제15정간부터 연주한다. 〈상령산〉과 〈중령산〉은 불규칙한 스무 박 장단으로 연주하며, 악기들 간 가락을 주고받는 ‘연음기법’을 사용하므로, 연주자들이 다른 악기의 가락을 잘 알고 있어야 제대로 연주할 수 있다. 따라서 세 종류의 《영산회상》 중 삼현영산회상이 연주 난이도가 가장 높은 악곡에 해당한다.
성현 외 지음, 이혜구ㆍ정연탁ㆍ정일태 옮김,『국역 악학궤범Ⅱ』, 민족문화추진회, 1967. 국립국악원,『한국음악 제2집 : 표정만방지곡』, 국립국악원, 1969. 김기동 외 지음, 『해금 정악보』, 국립국악원, 2015. 김인애 외 지음, 『아쟁 정악보』, 국립국악원, 2016. 이영 외 지음, 『피리 정악보』, 국립국악원, 2015. 최성호 외 지음, 『대금 정악보』, 국립국악원, 2016.
정경조(鄭慶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