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류, 풍류악
풍류는 선비들이 인격 수양을 위한 수단으로 글을 짓고 시를 노래하던 데에서 비롯되었다.
○역사 변천과정
풍류는 선비들이 즐겼던 시·서·화와 음악을 통칭하는 의미로 쓰이는데, 음악을 의미하는 풍류는 대체로 조선조 민간에서 선비들이 즐긴 음악을 말한다.
풍류음악의 구체적인 내용은 조선 후기에 나타난다. 조선전기에도 풍류음악이 있었을 것이나,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는 거의 없다. 다만, 임진왜란 이전 시기의 악보인 안상(安瑺, ?~?)의 『금합자보』(1572)에 〈여민락〉, 〈보허자〉, 〈가곡〉 등의 다양한 악곡이 보이므로 이 곡들은 조선 후기 이전에 민간에서 풍류로 연주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연주되는 풍류음악은 실내악 형태의 《줄풍류》와 삼현육각으로 연주되는 《대풍류》, 《가곡》 등 다양한 악곡이 있는데, 고악보에는 대부분 영산회상으로 일컫는 줄풍류를 비롯해 〈여민락〉, 〈보허사〉 등의 기악곡 그리고 《가곡》, 《시조》, 《가사》 등의 성악곡이 전한다.
《영산회상》은 본래 ‘영산회상불보살(靈山會上佛菩薩)’을 노래했던 음악이고, 〈보허자〉는 송사(宋詞) ‘벽연농효(碧煙籠曉)’를 노래했던 음악이다.
〈여민락〉은 〈용비어천가〉를 노래했던 음악이다. 이들 음악은 조선전기에는 성악곡 형태를 띠었으나 조선 후기에 기악곡화 되었다. 따라서 조선 후기 풍류방에서 이들 음악은 모두 기악곡 형태를 띠었다. 풍류음악 중 성악곡으로 가장 널리 연주된 음악은 《가곡》이다. 《가곡》은 전문가가 부르는 노래였으므로 풍류방의 연주자들은 그 반주음악을 연주하였다. 18세기에 화폐의 유통과 상업의 발달로 풍류의 향유층이 중인층으로까지 확대되면서 풍류음악은 크게 발달하였다. 풍류 향유층이 확대됨에 따라 새로운 악곡이 생겨나고 기존의 곡을 변주하는 형태도 늘어났다. 20세기 전반기까지도 지방에서 풍류 모임을 조직해서 음악을 연주하고 즐기는 조선 후기 풍류방 문화가 전승되었으나, 오늘날에는 특정 지역에만 남게 되었다. 줄풍류의 경우에는 전승 지역을 서울 중심의 경제와 지방에서 연주되는 향제로 구분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향제풍류》는 《영산회상》을 연주하는 악곡을 말하는데, 경제와 달리 본 곡에 앞서 〈다스름〉을 연주하고 〈잔도드리〉와 《천년만세(계면가락환입ㆍ양청환입ㆍ우조가락환입)》를 추가해서 연주한다. 호남풍류에서는 굿거리를 맨 끝에 덧붙여 연주한다.
○ 악대와 악기편성
《영산회상》은 거문고 중심의 편성으로 연주하기 때문에 거문고회상이라 부르기도 한다. 반주의 골격선율이 거문고 가락에 담겨 있으며 선비들이 주로 거문고를 즐겨 타기도 하였기 때문이다. 《영산회상》을 비롯해 〈여민락〉, 〈보허사〉와 그 파생곡 연주에 정형화된 악기편성은 없었다. 거문고 독주로 연주하기도 했고, 가야금, 양금, 해금, 대금, 피리, 장구, 단소 등의 악기와 더불어 연주하기도 했다.
《가곡》의 경우도 《영산회상》과 다르지 않다. 오늘날에는 《가곡》 반주형태가 정형화되어 있는데, 이것은 풍류방에서 모든 악기를 갖추어 연주하였던 관행이 굳어진 것이다. 《가곡》은 기악 반주가 필수적이었으나, 《시조》와 《가사》는 필수적이지 않았다. 때때로 양금, 장고, 생황 등의 악기로 연주되었지만, 오늘날에 시조 전문가들의 경우에는 대금, 장구 등의 악기 반주가 곁들이기도 한다.
한편 《대풍류》는 선비들이 연주하지 않고 세악수와 관아에 소속된 악공들이 연주했다. 《대풍류》는 잔치에서 상을 올리기 전에, 또는 민간에서 춤을 추고 연희를 행할 때도 연주되었다. 《대풍류》는 삼현육각 편성(피리2, 대금1, 해금1, 장구1, 북1)을 기본으로 하는데, 편성을 추가하거나 아쟁 등의 악기를 추가해 연주되는데, 삼현육각을 반드시 다 갖추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다만 관악기 중심의 연주 형태가 기본을 이룬다. 따라서 줄풍류와 대풍류의 악기편성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다.
○ 음악 형식, 선법 및 음계, 장단 풍류음악 중 형식이 뚜렷한 것은 《가곡》과 《시조》이다. 《가곡》은 5장 형식으로 되어있으며 대여음(大餘音)과 중여음(中餘音)이 들어간다. 《시조》는 3장 형식으로 되어있는데, 기악 반주가 필수적이지 않았기 때문에 대여음이나 중여음도 없다. 《영산회상》은 본래 5음 음계 계면조였으나 조선 후기에 3∼4음 음계로 변하였고, 19세기 무렵에는 본래 계면조를 구성하는 음에 태주(太) 음이 쓰이면서 불분명한 계면조로 변하였다. 〈여민락〉과 〈보허사〉는 5음 음계 평조로 되어있다. 《가곡》은 우조(즉, 평조 선법)와 계면조 두 가지 선법으로 되어있고, 《시조》는 황(黃:E♭4), 중(仲:A♭4), 임(林:B♭4) 세 음을 골격으로 하되 곡에 따라 다른 음이 추가되기도 한다. 《영산회상》은 전체 아홉 곡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악곡별로 장단이 다르다. 〈상령산〉과 〈중령산〉은 한 장단이 20박이고, 〈세령산〉과 〈가락덜이〉는 10박, 〈삼현도드리〉, 〈하현도드리〉, 〈염불도드리〉는 6박, 〈타령〉과 〈군악〉은 12박이다. 〈보허사〉는 한 장단이 20박이고, 그 파생곡은 대부분 한 장단이 6박인 도드리장단으로 되어있다. 〈여민락〉은 제 1-3장은 20박, 제 4-7장은 10박이다. 《가곡》에는 한 장단 단위가 16박인 곡과 10박인 곡이 있는데, 후자에 해당하는 장단을 편(編) 장단이라고 한다. 《시조》는 다섯 박 장단과 여덟 박 장단이 한 곡 내에서 교차해서 쓰이며, 《가사》에는 다섯 박 장단 또는 여섯 박 장단이 많이 쓰인다.
풍류음악에는 다양한 악곡이 있는데, 그 각각의 악곡에 해당하는 노랫말은 세부 항목을 참조하기 바란다.
풍류음악은 궁중음악에서 전파된 음악과 민간에서 생성된 음악을 아우르는 큰 범주의 개념이다. 현재 다양한 풍류음악이 연주되고 있으며, 이 곡들이 전승되는 과정에서 여러 변화를 겪었으나 조선시대 풍류음악 향유의 면면이 그 속에 담겨 있다.
구례 향제줄풍류: 국가지정문화재(1985) 이리 향제줄풍류: 국가지정문화재(1985)
『향제풍류(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85. 남상숙ㆍ임미선, 『이리향제줄풍류 제83-나호(국립문화재연구소 편)』, 민속원, 2006. 이보형ㆍ서인화ㆍ이주영, 『구례향제줄풍류 제83-가호(국립문화재연구소편)』, 민속원, 2007. 신은경, 「풍류방예술과 풍류집단」, 『문학과 사회집단』, 1995. 이숙희, 「줄풍류의 성립 배경과 시기」, 『국립민속국악원논문집』 5, 2005. 임미선, 「20세기 풍류방 문화의 지형과 역사적 변동」, 『한국음악연구』 80, 2016. 임미선, 「계면조 선법의 변화와 탈계면조화-정악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연구』 62, 2017.
임미선(林美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