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44년(헌종 10)에 한산거사가 한양의 지세를 찬미하고 풍속ㆍ문물ㆍ경관 등에 대해 기록한 국문 가사.
한양가는 19세기 초ㆍ중반 ‘한양’이라는 공간과 한양의 문화를 입체적으로 살필 수 있는 가사이다. 한양의 공간은 물론 그 공간에서 펼쳐지고 있는 여러 의례ㆍ행사ㆍ놀이ㆍ공연 등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하여 19세기 당시 한양의 음악 문화를 알려주는 가사 작품이다.
한양가에는 여러 이본들이 있는데 대체로 한양을 노래한 유형, 조선 왕조를 상징한 나라를 노래한 유형으로 나뉜다. 한양을 노래한 유형의 한양가는 1949년의 송신용 교주본이 대표적이다.
○ 체재 및 규격
1책 36장. 28cm×22.5cm
○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편찬 연대 및 편저자 사항
1844년(헌종 10)에 한산거사(漢山居士)가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산거사의 실명은 알 수 없다.
○ 구성 및 내용
한양가는 1603구의 장편 가사이다. 19세기 초 중반 한양이라는 지역에 기반을 두고 있는 궁중 중심의 음악 문화와 그 주변 현실을 상세하게 기록해 놓았다. 국가 음악 기관인 장악원 풍경의 일단을 알 수 있고, 당시 한양에서 활동하고 있던 여러 음악인들의 명단도 알려 주고 있으며, 사람들이 좋아하는 공연예술의 종류가 무엇인지, 애호하는 연주 곡목은 무엇인지, 당시 연주되는 악기들의 특징은 어떠한지, 별감들을 중심으로 한 승전놀음, 당시 유행하는 춤과 반주음악, 능행 때 수반하는 음악인 취타대의 연주 모습까지 아우르고 있다. 또 18~19세기에 대두된 ‘상업의 발달과 시정 문화의 성장’이라는 사회적 변화를 구체적 사실로 담아내고 있어서 이 시기의 문화를 다양하게 조망할 수 있다.
가사체 문학 작품으로서 한양가만큼 19세기 초ㆍ중반 한양의 음악 문화를 상세하게 그려 내고 있는 문헌은 찾기 어렵다. 한양가의 저자 한산거사라는 존재에 대해서는 대개 ‘별감’ 신분일 것이라는 추정 정도에 그치고 있지만, 기록 내용상으로 볼 때 궁 안과 밖에서 두루 펼쳐지고 있는 여러 상황에 대한 상당한 안목으로 묘사한 것으로 보아 그 이상의 신분일 가능성도 추정해 볼 수 있다.
송신용 교주 『한양가』 『대전통편』 『대전회통』
강명관, 『한양가』, 신구문화사, 2008. 강명관, 「조선후기 서울의 중간계층과 유흥의 발달」, 『민족문학사연구』 2, 1992. 강명관, 「18, 19세기 경아전과 예술활동의 양상」, 『벽사이우성교수정년퇴직기념논총-민족사의전개와그문화(상)(하)』, 1990. 송지원, 「조선후기 음악의 문화담론 탐색-19세기 궁중음악과 관련하여」, 『무용예술학연구』 17, 2006. 이병기, 「한양가에 나타난 서울의 모습」, 『향토서울』 1, 1957. 이우성, 「18세기 서울의 도시적 양상」, 『향토서울』 17. 1963.
송지원(宋芝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