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악장(海東樂章)
8세기 중엽, 국가전례 때 쓰이는 역대 악장을 모아 엮은 악장모음집
『국조악장』은 영조가 해동(海東), 즉 우리나라의 악장을 편집할 것을 명함에 따라 구상되었고 서명응ㆍ홍계희ㆍ김치양 등을 중심으로 편찬되었다.
1765년(영조 41) 4월 7일 영조가 자경전에서 “우리 열조(列朝)에도 모두 악장이 있으니, 한 질의 책으로 만들어서 『해동악장(海東樂章)』이라 이름하려고 한다”는 구상을 밝히고 그 일에 적임자를 찾자 ‘서명응ㆍ홍계희ㆍ구상ㆍ김치양’이 추천되었고, 그들을 중심으로 『해동악장』, 즉 『국조악장』이 편찬되었다. 책의 제목이 『해동악장』이 아닌, 『국조악장』으로 채택된 사실은 책의 끝부분에 「어제국조악장발문」이란 글에서 알 수 있다. 전체 11편의 본문이 있고 권말(卷末)에는 영조가 짓고 구상이 기록한 「어제국조악장발문」이 적혀 있다. 영조는 『국조악장』이 완성되자 이를 “『시경』 가운데 주(周)의 아(雅)ㆍ송(頌)과 표리를 이룬다”라고 평가할 만큼 자부심을 가졌다.
○ 체재 및 규격 1책 44면. 33.8cm×22.1cm ○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편찬연대 및 편저자 사항 1765년(영조 41)에 4월에 영조의 명을 받아 편찬했다. 당시 서명응이 홍문관 제학으로 있으면서 『국조악장』의 편찬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서명응 외에도 홍계희, 구상, 김치양이 일정 역할을 하였다. ○ 구성 및 내용 『국조악장』은 본문 11편과 영조의 발문(跋文)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묘악장(宗廟樂章) 문소전악장(文昭殿樂章) 열조악장(列朝樂章) 열조상존호악장(列朝上尊號樂章) 열조추상존호악장(列朝追上尊號樂章) 진풍정악장(進豊呈樂章) 조회례연의통용악장(朝會禮宴儀通用樂章) 친경악장(親耕樂章) 관예악장(觀刈樂章) 친잠악장(親蠶樂章) 대사례악장(大射禮樂章) 어제국조악장발문(御製國朝樂章跋文) 위 11편의 상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종묘악장(宗廟樂章) - 初獻: 凞文(迎神)ㆍ凞文(尊幣)ㆍ執爨(進饌)ㆍ凞文(引入)ㆍ基命(稼祖)ㆍ歸仁(翼祖)ㆍ亨嘉(度祖)ㆍ輯寧(桓祖)ㆍ隆化(太祖)ㆍ顯美(太宗)ㆍ龍光貞明(太宗ㆍ元敬王后)ㆍ重光(宣祖ㆍ仁祖補)ㆍ大猷(自基命至大猷爲九成)ㆍ繹成(引出) - 終獻: 昭武(引入), 篤慶(穆祖), 濯征(桓祖), 宣威(太祖), 神定(太祖), 奮雄(太祖), 順應(太祖), 寵綏(太祖), 靖世(太宗), 赫整(自篤慶至赫整爲九成), 永觀(引出), 印盛(徹籩豆雍安之樂), 禋祀(送神與安之樂) 2) 문소전악장(文昭殿樂章) - 初獻: 桓桓(太祖), 亹亹(太宗), 穆穆(世宗) 於赫(世祖), 皇矣(睿宗) - 亞獻: 維皇(太祖), 維天(太宗), 於皇(世宗), 維上(世祖), 維我(睿宗) - 終獻: 靖東方 3) 열조악장(列朝樂章):緝凞(翼祖), 嗟嗟(度祖), 嗚呼(桓祖), 嗟嗟(太祖祔廟), 噫嘻(定宗祔廟), 仁明(太宗祔廟), 欽明(世宗祔廟), 思齋(昭憲王后), 於皇(顯德王后)의 9장, 德宗樂章, 恭惠王后樂章, 懿仁王后樂章, 仁顯王后樂章 4) 열조상존호악장(列朝上尊號樂章) 聖德神功(太宗尊號樂章), 於皇(太宗太上王號樂章), 思齋(元敬王后尊號), 於顯(昭憲王后尊號), 天生(昭憲王后封王妃樂章), 應天(世祖尊號樂章), 維上(貞熹王后尊號樂章), 思齋(加上貞熹王后尊號), 思齋(昭惠王后王大妃號), 於皇(安順王后尊號樂章), 恭惠王后封王妃樂章, 貞惠王后封王妃樂章, 明明(文定王后尊號樂章), 於皇(宣祖尊號樂章), 俔天(仁穆王后尊號樂章), 淸寧(仁穆王后尊號樂章), 惟我(仁烈王后封王妃樂章), 猗歟(莊烈王后尊號), 皇矣, 有煌, 壽康, 敭徽(仁宣王后封王妃樂章), 思齋, 俔天ㆍ思齋(明聖王后樂章), 維天(肅宗尊號樂章), 思齋(仁元王后尊號樂章), 於昭ㆍ思皇ㆍ於皇ㆍ於顯ㆍ維皇ㆍ猗我ㆍ猗赫ㆍ猗皇ㆍ於皇(仁元王后尊號樂章), 顯猗(宣懿王后尊號樂章), 維聖ㆍ維天ㆍ皇矣(英祖尊號樂章), 猗與ㆍ黃裳(貞聖王后尊號樂章), 5) 열조추상존호악장(列朝追上尊號樂章) 於顯ㆍ維上ㆍ維皇(德宗追號), 思文ㆍ於皇ㆍ惟我(德宗謚號), 順成(仁敬王后의 追號), 永範(仁顯王后 追號) 6) 진풍정악장(進豊呈樂章) 海東ㆍ根深ㆍ昔周ㆍ狄人ㆍ漆沮ㆍ商德ㆍ赤爵ㆍ維周ㆍ奉天ㆍ一夫ㆍ虞芮ㆍ五年ㆍ獻言ㆍ聖詩ㆍ揚子ㆍ恃命 等 16篇(龍飛御天歌), 惟皇, 聖澤, 開言路, 保功臣ㆍ正經界ㆍ定禮樂(文德曲) 7) 조회례연의통용악장(朝會禮宴儀通用樂章) 亹亹(隆安之樂), 於皇(休妄之樂), 彼高(受寶籙之樂), 振振(覲天庭之樂), 於皇(文明之曲), 赫赫(荷皇思之樂), 桓桓(武烈之曲), 亹觀(受明命之樂), 善養(耆英會投壺) 8) 친경악장(親耕樂章) 天粒(殿下出大次), 念我(殿下耕籍), 日旣(殿下陞觀耕臺), 有儼(王世子耕籍) 9) 관예악장(觀刈樂章) 時雨(殿下出大次), 籍田(殿下觀刈) 10) 친잠악장(親蠶樂章) 維蠶(五妃出大次), 威儀(王妃還大次) 11) 대사례악장(大射禮樂章) 思樂(御射), 於樂(侍射)
『국조악장(國朝樂章)』 『국조시악(國朝詩樂)』 『보만재연보(保晩齋年譜)』
송지원, 「서명응의 음악관계저술 연구」, 『한국음악연구』 27, 1999.
송지원(宋芝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