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가락정읍[三指井邑]
고려 속요 동동(動動)에서 기원한 관악 합주곡
동동(動動)은 고려 시대 월령체(月令體)의 고려 속요이자, 이 노래를 부르며 추는 향악정재(鄕樂呈才)였다. 조선 시대에는 향악 정재 〈아박〉을 연행할 때 동동을 불렀다. 현재는 노랫말 없이 관악 합주곡으로 연주하며, 일명 〈세가락정읍[三指井邑]〉이라고도 불린다.
동동은 월령체의 고려 속요 곡명이면서, 이 노래를 부르며 추는 고려 시대 향악 정재의 이름이었다. 고려 시대 향악 정재 동동은 조선 시대에는 <아박>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이 〈아박〉을 연행할 때 동동을 불렀다. 관악 합주곡 동동을 일명 <세가락정읍>이라고도 일컫는데, 이는 같은 고려 속요이면서 〈수제천(壽齊天)〉의 원 곡명인 〈정읍(井邑)>(일명 〈빗가락정읍[橫指井邑]〉)과의 음악적 연관성을 짐작하게 한다.
○역사 변천 과정
동동은 월령체로 된 고려 속요이자,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와 『악학궤범(樂學軌範)』에 수록된 고려 향악 정재의 이름이기도 하다. 조선 시대에는 동동이 《아박(牙拍)》 정재에서 불렀는데, 『악학궤범』 〈아박〉조에 전하는 노랫말이 유일본이다. 조선 후기 『대악후보(大樂後譜)』의 동동 악보에는 가사가 탈락되어 있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동동은 느린 ‘만기(慢機)’와 더 빠른 ‘중기(中機)’가 있었으나 현재는 여덟 장단의 짧은 관악 합주로 연주한다.
○음악적 특징
동동은 대금ㆍ소금ㆍ향피리ㆍ해금ㆍ아쟁ㆍ장구ㆍ좌고ㆍ박의 관악 합주 편성으로 연주한다.
동동에는 황(黃:E♭)ㆍ태(太:F)ㆍ협(夾:G♭)ㆍ중(仲:A♭)ㆍ임(林:B♭)ㆍ남(南:c)ㆍ무(無:d♭)의 일곱 음이 사용되나, 협종과 남려를 경과음 등 부수적인 음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악조(樂調)는 임종계면조 혹은 임종계면조와 황종계면조가 혼합된 형태로 파악되기도 하지만, 임종계면조로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있다. 불규칙 장단에 각 음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은 자유 리듬으로 되어 있다.
사설은 열세 연으로 긴 데 비해 악곡은 여덟 장단이고 그 종지도 미완결형이라는 점 때문에, 현재 전하는 여덟 장단 악곡이 동동의 한 련(聯)에 해당할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다음은 『악학궤범』 《아박》조에 기록된 〈동동〉의 유일본 노랫말이다.
덕(德)으란 곰예 받고 복(福)으란 림예 받고 덕(德)이여 복(福)이라호 나라 오소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덕을란 뒷배에 받자옵고 복을란 앞배에 받자옵고 덕이여 복이라 한 것을 드리려 오소이다 아으 동동다리 |
정월(正月)ㅅ 나릿므른 아으 어져녹져 논 누릿가온 나곤 몸 올로 녈셔 아으 동동(動動)다리 |
정월 냇물은 아으 얼려 녹으려 하는데 세상 가운데 나고는 이 몸은 홀로 살아가네 아으 동동다리 |
이월(二月)ㅅ 보로매 아으 노피 현 등(燈)ㅅ불 다호라 먼인(萬人) 비취실 즈샷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이월 보름에 아으 높이 켠 등불 같아라 만인 비추실 얼굴이시도다 아으 동동다리 |
삼월(三月)나며 개(開) 아으 만춘(滿春) 욋고지여 브를즈 디녀나샸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삼월 나며 핀 아으 한봄 달래꽃이여 남이 부러워할 모습을 지니고 태어나시도다 아으 동동다리 |
사월(四月) 아니 니저 아으 오실셔 곳고리새여 므슴다 녹사(綠事) 니 녯 나 닛고신뎌 아으 동동(動動)다리 |
사월 잊지 않아 아으 오실사 꾀꼬리 새여 무슨 까닭인가 녹사님은 옛 나를 잊고 계시도다 아으 동동다리 |
오월오일(五月五日)애 아으 수릿날 아 약(藥)은 즈믄힐 장존(長存)샬 약(藥)이라 받노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오월 오일에 아으 단옷날 아침 약은 천년을 오래 사실 약이라 바치나이다 아으 동동다리 |
유월(六月)ㅅ 보로매 아으 별해 론빗 다호라 도라보실 니믈 젹곰 좃노이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유월 보름에 아으 벼랑에 버린 빗 같아라 돌아보실 임을 조금이라도 좇아갑니다 아으 동동다리 |
칠월(七月)ㅅ보로매 아으 백종(百種) 배(排)야두고 니믈 녀가져 원(願)을 비노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칠월 보름에 아으 백종 차려 놓고 임과 함께 가고자 원을 비옵나이다 아으 동동다리 |
팔월(八月)ㅅ 보로 아으 가배(嘉俳)니리마 니믈 뫼셔녀곤 오낤 가배(嘉俳)샷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팔월 보름은 아의 가윗날이지만 임을 모셔 있어야 오늘의 가윗날이로다 아으 동동다리 |
구월구일(九月九日)애 아으 약(藥)이라 먹논 고지 안해 드니 새셔 가만얘라 아으 동동(動動)다리 |
구월 구일에 아으 약이라 먹는 국화 꽃이 안에 드니 쉬어서 까매라 아으 동동다리 |
시월(十月)애 아으 져미연 다호라 것거 리신 후(後)에 디니실 부니 업스샷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시월에 아으 저민 보리수 같아라 꺾어 버리신 후에 지니실 한 분이 없으시도다 아으 동동다리 |
십일월(十一月)ㅅ 봉당 자리예 아으 한삼(汗衫) 두퍼 누어 슬라온뎌 고우닐 스쉬옴 녈셔 아으 동동(動動)다리 |
십일월 봉당자리에 아으 한삼 덮고 누워 슬픈 일이로다 고운 이를 여의고 지내다니 아으 동동다리 |
십이월(十二月)ㅅ 분디남로 갓곤 아으 나 반(盤)잇져 다호라 니믜 알 드러얼이노니 소니 가재다 므노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십이월 분지나무로 깎은 아으 올리는 소반의 젓가락 같구나 님의 앞에 가지런히 놓았더니 손님이 가져다 뭅니다 아으 동동다리 |
『고려사』「악지」 『대악후보』 『악학궤범』 『이왕직아악부 악보』
곽태천, 『한국전통음악의 악조 시론』, 갑우문화원, 2013.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이혜구,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구슬기, 「〈동동〉의 음악분석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임병옥, 「현행 수제천과 동동의 음악적 관계에 대한 탐색」, 『한국음악사학보』 42, 한국음악사학회, 2009.
이숙희(李淑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