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스갯소리, 우스운 이야기
재치 있는 말로 재미있게 꾸며진 이야기.
재담이 언어 사용의 유희성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때 그 시원은 매우 오래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문헌으로 전하는 패설(稗說), 소화(笑話) 등이 재담과 관련이 있으며 구비전승되어 온 설화와 민요에 재담이 포함된 경우가 많아 그 전통이 면면히 이어져 왔음이 드러난다. 고려시대의 연등회와 팔관회, 나례 등에서 연행되었던 백희가무에서도 재담이 행해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조선시대 제야의 궁중 행사인 나례(儺禮)에서 웃음을 목적으로 하는 창우희를 소학지희(笑謔之戱)라 하여 탈춤이나 사자춤, 땅재주 등 격식 있는 공연인 규식지희(規式之戲)과 구별한 바 있다. 소학지희의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으나 재담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은 분명해 보인다. 조선 후기를 거쳐 오늘날 전승되어 온 재담은 탈춤, 사자춤, 땅재주 등은 물론 줄타기, 판소리, 잡가에 이르기까지 전통공연예술의 광범위한 영역에 수용되어 있다.
○ 재담의 영역
재담의 영역은 매우 광범위하여 재치와 해학의 수법이나 표현이 담긴 사설을 가리키기도 하고 웃기는 이야기 전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일상적 언어 생활에서 구전되어 오기도 하지만 전문예능인의 줄타기, 탈춤, 땅재주, 무당굿놀이, 판소리, 잡가 등에도 두루 수용되어 발달해 왔다.
○ 재담의 기교
재담에 쓰이는 말의 기교는 동음어의 중복(예: 히끗히끗, 고분고분), 유사음어의 중복(예: 바위 틈틈이 모래 짬짬이), 동음이의어(同音異議語)의 사용(“난 지금 막 나왔다.” “지금 막 나온 놈이 저렁 늙었어?”), 이어동의(異語同義)의 말을 사용하는 방식 등으로 구사된다. 반어적 표현이나 곁말의 사용, 욕(辱)이나 비속어(卑俗語)를 사용하여 친밀감을 드러내는 방식도 종종 사용된다. 이 밖에 과장의 수법, 자명한 것을 모르는 척 응대하는 수법, 하찮고 사소한 주제를 진지하고 장황스럽게 다루는 요설의 방식 등이 있다. 재담은 전통 예술의 다양한 영역에 수용되어 감정을 이완하고 흥미를 돋우며 정서적 쾌감을 불러일으키는 역할을 해왔다.
○ 재담의 사례
재담은 말하기와 이야기를 두루 가리키지만 전문 예인들이 담당한 종목에는 춤과 노래, 음악이 곁들여져 연행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판소리에서 재담은 소리꾼이 고수와 재담을 주는 방식으로도 전개되지만 사설 자체에 이미 많은 재담이 용해되어 있기도 하다. 판소리의 재담은 대체로 아니리로 처리되는데 재담의 묘미는 말로 전달되는 편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줄타기나 땅재주의 경우 줄을 타거나 재주를 넘는 사이 광대와 매호씨(어릿광대)가 주고받는 재담이 놀이를 이끄는 주요 매개가 된다.
무당굿놀이에서 재담은 대체로 무당과 악사가 각각 등장인물을 맡아 극의 형태로 진행된다. 이와 같은 재담의 전통은 20세기 유성기 음반에 취입된 박춘재의 소리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경복궁타령>을 부른 후
문영수) 뭔 양반이오?
박춘재) 조그마하니까 토막을 낸 줄 아오.
문) 어디 사는 양반이오?
박) 요모냥 하늘에 살겠소. 땅에 사오.
문) 땅에 산다지만 고향이 어디요?
박) 고향이 쥐 약요리 잡숫는 데요
문) 사는 본향 말이오.
박) 본향은 광주요.
문) 좋은 곳 살오.
박) 언짢진 않소.
문) 광주면 몇 리요?
박) 한 리요.
문) 한 리라니?
박) 이 수를 모르니까 되는대로 헌 말이요.
문) 그럼 며칠에 왔소?
박) 사지가 성허믄 보행을 해서 날짜를 알지마는 체면이 똥그래 말똥구리 새끼쿠로 떼가루루루루루 굴러왔소.
문) 잘 굴렀소.
박) 못 굴렀겠소?
문) 뉘 댁이오?
박) 홀애비 댁이요.
문) 뉘시라우?
박) 내시라우.
(이하 생략)
위의 <병신재담>은 박춘재와 문영수가 등장하여 본뜻과 무관한 엉뚱한 대답을 하거나 동음가를 이용하여 익살스러운 말로 대화를 이어간다. 20세기 유성기음반에 취입된 박춘재의 재담에는 노래(잡가)가 두루 활용되고 있는데 이는 전통 재담과 음악의 결합 양상을 보여 주는 좋은 사례다.
재담의 전통은 1930년대 일본 만자이(漫才)의 영향을 받은 근대적 만담(漫談)이 등장하면서 점차 자취를 감추기 시작했다. 전통 재담은 겨우 명맥을 이어오기는 했으나 시대적 변모나 언어 현실을 담아내지 못한 채 과거에 머무른 상태로 남게 되었다. 이에 비해 만담으로 전개된 재담의 또 다른 흐름은 이후 서구 감각의 코미디(Comedy), 개그(Gag)로 변모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재담은 문자 언어보다는 소리를 통해 청각적으로 전달되는 구술문화의 속성이 강하다. 재담에는 당대의 현실을 반영하며 언어의 묘미를 맛볼 수 있고 언어의 속성을 이해할 수 있는 여러 요소가 깃들어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 재담은 농경사회 특유의 정서적 유대감에서 날카로운 풍자나 유머, 비판의 정신은 약하다는 평이다. 재담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형태나 내용, 표현 등이 변모하게 마련이나 오늘날 전통 공연예술 속 재담은 보존과 전승에 치우쳐 세태를 담아내는 역할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문종실록』 강은해, 「한국재담의 지속성과 변화」, 『한국학논집』 28, 2001. 사진실, 「배우의 전통과 재담의 전승」, 『한국음반학』 10, 2000. 서대석, 『한국구비문학에 수용된 재담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임석재, 「재담」, 『한국민속대관』 6, 1982. 손태도, 「조선시대 화극의 전통과 그 역사」, 『공연문화연구』 12, 2006. 최동현・김만수, 「1930년대 유성기 음반에 수록된 만담・넌센스・스케치 연구」, 『한국극예술연구』 7, 1997.
김인숙(金仁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