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井邑), 빗가락정읍(―井邑), 횡지정읍(橫指井邑), 중명지곡(重明之曲)
수제천(壽齊天)
백제 노래에서 기원한 관악 합주곡 〈정읍(井邑)〉의 아명(雅名)
수제천(壽齊天)은 백제 노래 「정읍사(井邑詞)」를 노래하는 악곡이었다. 본래 곡명은 〈정읍(井邑)〉이었고, 〈빗가락정읍(횡지정읍[橫指井邑])〉이라고도 불린다. 현재는 노랫말을 잃고 기악곡화하였고, 〈정읍〉이라는 원 곡명보다 아명인 〈수제천〉으로 불리며 정재(呈才) 《처용무(處容舞)》의 반주음악으로도 쓰인다.
수제천의 원곡인 〈정읍〉은 백제 노래라는 것이 통설이나, 고려시대에 지어진 노래라는 견해도 있다. 고려 시대부터 조선 전기까지는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인 《무고(舞鼓)》에서 노래하던 음악이었다.
○역사 변천 과정
수제천의 원래 곡명은 〈정읍〉이다. 〈정읍〉은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 ‘삼국 속악(三國俗樂)’조에 백제악으로 소개되어 있고, 같은 책의 ‘고려 속악(高麗俗樂)’조에 향악 정재 《무고》의 음악으로 쓰인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 전기 『악학궤범(樂學軌範)』에도 《무고》 정재의 반주음악으로 쓰인 〈정읍〉이 기록되어 있는데, 다른 문헌에서는 볼 수 없는 〈정읍사〉의 노랫말이 여기에 전한다. 『악학궤범』의 〈정읍〉은 빠르기에 따라 〈정읍만기(井邑慢機)〉ㆍ〈정읍중기(井邑中機)〉ㆍ〈정읍급기(井邑急機)로 구별되어 있다.
고려 시대부터 조선 전기까지 〈정읍〉은 《무고》 정재에만 쓰였으므로 《무고》가 〈정읍〉 전승의 중요한 기반이었으나, 조선 후기에 이르러 〈정읍〉이 노래로 불리지 않고 기악곡으로만 연주되면서 〈정읍〉과 《무고》 정재의 결합 구조가 유지되지 못하였다. 〈정읍〉은 조선 후기에 노랫말을 잃고 기악곡화 하였고, 노랫말 없는 〈정읍〉의 악보가 『대악후보(大樂後譜)』에 수록되어 있다.
19세기 초부터 궁중음악 악곡명을 아명으로 부르는 관행이 생겼는데 〈정읍〉은 〈중명지곡(重明之曲)〉, 〈수제천〉 등의 아명을 얻었고, 일제강점기부터는 원 곡명인 〈정읍〉 대신 아명인 수제천으로 통용되어 유서 깊은 〈정읍(사)〉의 역사성이 퇴색하였다.
수제천은 현재 정재 《처용무》의 반주음악으로도 쓰인다.
○악대와 악기 편성
고려 시대부터 조선 전기까지는 향악과 당악의 구분이 분명했으므로, 각 음악을 연주하는 악기 편성에도 차이가 뚜렷했다. 향악인 〈정읍〉을 연주하는 악기 편성은 시대에 따라 변화가 있었다. 조선 후기까지 〈정읍〉이 정재의 반주음악으로 쓰였기 때문에 정재 반주를 담당한 악대인 전상악에 의해 연주되었는데, 이 악대는 조선시대 내내 관현 합주 형태였다. 이러한 연주 관행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삼현육각(三絃六角) 편성에 몇몇 악기를 추가하여 향피리ㆍ대금ㆍ소금ㆍ해금ㆍ아쟁ㆍ장구ㆍ좌고 등으로 연주하고 있다.
○음악 형식, 선법 및 음계, 장단
〈정읍〉은 전강(前腔)ㆍ소엽(小葉)ㆍ후강(後腔)ㆍ과편(過篇)ㆍ금선조(金善調) 등의 도막으로 나누이는 강엽(腔葉)형식의 성악곡이었으나, 노랫말을 잃고 기악곡화하면서 오늘날과 같이 선율을 중심으로 장(章) 구분이 생겼다. 이러한 장 구분은 고악보에는 없던 것이다. 이뿐 아니라 선율ㆍ리듬ㆍ장단도 변화하여 오늘날 수제천의 음악은 고악보의 〈정읍〉과 많은 차이를 지닌다.
현행 〈수제천〉은 네 장으로 되어 있고, 제1~3장의 마지막 장단에서는 피리가 쉴 때 대금ㆍ소금ㆍ해금ㆍ아쟁 등이 가락을 이어 주는 연음(連音)기법으로 연주한다.
『대악후보』에 오음약보(五音略譜)로 기록된 〈정읍〉은 5음 음계 음악이었으며, 중심음인 (宮)이 현재의 〈수제천〉과 같이 남려로 고정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현행 〈수제천〉의 제1~2장 선율은 남려계면조가 뚜렷한 데 비해 제3장 이후는 남려계면조에 없는 출현음이 나타난다. 장단은 쌍편고요ㆍ쌍요의 두 가지 형태가 교차된다.
다음은 『악학궤범』 《무고》조에 기록된 〈정읍〉의 유일본 노랫말이다.
전강(前腔) | ᄃᆞᆯ하 노피곰 도ᄃᆞ샤 어긔야 머리곰 비취오시라 어긔야 어강됴리 |
달이시여 높이 돋으시어 어기야차 멀리멀리 비치게 하시라 어기야차 어강됴리 |
소엽(小葉) | 아으 다롱디리 | 아으 다롱디리 |
후강(後腔) | 전(全)1져재 녀러신고요 어긔야 즌ᄃᆞㅣᄅᆞᆯ 디ᄃᆞㅣ욜세아 어긔야 어강됴리 |
저자(시장)에 가 계신가요 어기야차 진 곳을 디딜세라 어기야차 어강됴리 |
과편(過篇) | 어느이다 노코시라 | 어느 것에 다 놓고 계시는가 |
금선조(金善調)2 | 어긔야 내가논ᄃᆞㅣ 졈그ᄅᆞᆯ세라 어긔야 어강됴리 |
어기야차 나의 가는 곳에 저물세라 어기야차 어강됴리 |
소엽(小葉) | 아으 다롱디리 | 아으 다롱디리 |
1) ‘전’을 ‘후강’에 붙여 ‘후강전(後腔全)’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이 견해에 따르면 ‘전주 저자’가 아니라 그냥 ‘저자(시장)’가 된다. 2) ‘김선조’로 읽어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정읍〉은 고려와 조선시대에 주로 정재에서 불렸다. 조선 후기에는 《무고》 대신 다른 정재의 반주음악으로 쓰였으나 조선 시대 내내 정재 반주 음악이라는 용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였다. 본래 관현 합주 편성으로 연주되던 〈정읍〉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삼현육각(三絃六角) 편성에 몇몇 악기를 추가한 관악 합주로 변하였으며, 곡명도 〈정읍〉 대신 아명인 수제천이 통용되고 있다.
본래 「정읍사」를 노래하던 성악곡의 원 곡명은 〈정읍〉이고, ‘수제천’이라는 명칭은 20세기에 들어 사용하기 시작했다.
『고려사』 「악지」 『대악후보』 『악학궤범』
조재선, 『수제천』, 수서원, 1999. 김영운, 「정읍고」, 『전국대학생학술연구발표대회 논문집』, 1976. 김영운, 「정읍에서 수제천으로, 그 곡명의 변천 과정」, 『한국음악연구』 67, 2020. 문숙희, 「정읍과 수제천의 음악적인 관계에 대한 고찰」, 『한국음악연구』 40, 2006. 이혜구, 「수제천의 조와 형식」, 『한국음악논총』, 수문당, 1976. 임미선, 「정읍의 창작시기와 전승과정」, 『한국음악연구』 42, 2007.
임미선(林美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