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화평은 세종 27년에 〈용비어천가〉 노랫말이 제작된 이후 세종 29년 무렵, 〈용비어천가〉를 관현반주에 올려 부르는 〈봉래의〉를 구성하는 악무로 만들어졌다. 치화평과 〈취풍형〉은 국한문 혼용체의 〈용비어천가〉를 노래하지만, 선율 및 리듬이 다르게 작곡되었다.
○ 역사 변천 과정
치화평은 『세종실록악보』에 〈봉래의〉를 구성하는 악보 중에 전한다. 〈여민락〉과 〈취풍형〉 사이에 위치한 치화평은 가사붙임과 선율 등 곡태가 다른 3종의 악보가 있다. 치화평상(1)ㆍ치화평중(2)ㆍ치화평하(3)은 모두 국한문 혼용체의 〈용비어천가〉 125장을 노래하고, 선율의 흐름은 비슷하지만, 제1기가 제2기, 제3기에 비해 한 행에 들어 있는 음이 많으며, 말을 짧게 붙이고 소리를 길게 끄는 어단성장(語短聲長)의 가사붙임이 특징적이다.
『세종실록악보』에는 치화평의 춤에 대한 내용은 없고, 『악학궤범』에 향악정재 중 하나로 소개된 〈봉래의〉 절차에 따른 치화평의 음악과 춤 내용이 있다. 〈봉래의〉 정재에서는 〈여민락〉이 『세종실록악보』에 수록된 초장부터 4장까지와 졸장 전체(음악상으로는 10장)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치화평은 〈용비어천가〉 125장이 모두가 포함된 제1기ㆍ제2기ㆍ제3기 중 제3기만 연주하고, 그 3기 중에서도 초장부터 16장까지와 졸장(125장)만을 연주한다.
『대악후보』중에도 치화평의 악보가 전하는데, 『세종실록악보』의 정간보에 율명을 기보한 방식과 달리 오음약보를 사용하였으며, 『세종실록악보』에 실린 곡 중 일부 선율만이 전한다. 또한 제1기와 제2기에는 노랫말이 없고, 제3기에만 노랫말이 있다. 제1기와 제2기는 악보가 매우 짧은데 비해, 치화평은 졸장을 제외하고 제1장부터 16장(逃亡章)까지의 악보가 있다. 이는 『악학궤범』에서 치화평 제1과 2는 쓰지 않고, 3기만을 사용하던 관행이 반영된 것이라 하겠다. 『세종실록악보』에는 1기ㆍ2기ㆍ3기 각 곡의 기악대강(起樂大綱) 즉, 음악이 시작하는 대강의 차이가 드러나지 않지만, 『대악후보』에는 1기와 2기는 제2대강에서 시작하고, 3기는 3대강에서 시작하는 차이가 잘 나타나 있다.
○ 음악적 특징
치화평은 〈취풍형〉과 마찬가지로 국한문 혼용체의 〈용비어천가〉 125장을 모두 노래하지만, 가사붙임과 선율 등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다. 치화평에서 2행을 차지하는 노랫말이 〈취풍형〉에서는 1행에 촘촘히 붙어 있고, 박(拍)이 매 행에 한 번 들어간다. 가사붙임새와 1행에 박이 2번 들어가는 〈취풍형〉에 비해 치화평이 더 늦은 한배로 연주된 것으로 추측된다. 치화평의 선율은 남려(南姑: C4)가 중심음이 되는 평조로 되어 있다.
○ 형식과 구성
치화평은 전인자ㆍ진구호ㆍ여민락ㆍ치화평ㆍ취풍형ㆍ후인자ㆍ튀구호로 구성되는 〈봉래의〉 중 한 부분이다. 국한문 혼용체의 〈용비어천가〉 125장 전체를 노래하는 음악이면서 악(樂)ㆍ가(歌)ㆍ무(舞) 종합적 형태를 띠는 정재이다. 『세종실록악보』에 치화평은 1기(機)ㆍ2기(機)ㆍ3기(機) 세 가지 형태로 전하는데, 노랫말의 붙임새와 리듬에 차이가 있다.
치화평은 국한문 혼용체의 〈용비어천가〉를 노래한다. 노랫말 중 그 일부에 해당하는 제1장, 2장, 125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장 : 海東六龍이 샤 일마다 天福이시니 古聖이 同符시니
2장: 불휘〮 기픈〮 남ᄀᆞᆫ〮 ᄇᆞᄅᆞ매〮 아니〮뮐ᄊᆡ 곶됴〯코〮 여름하〮ᄂᆞ니〮
ᄉᆞㅣ미기픈 므른 ᄀᆞᄆᆞ래 아니그츨ᄊᆡ
내히이러 바ᄅᆞ래 가ᄂᆞ니
125장 : 千世 우희 미리 定ᄒᆞ샨 漢水北에 累仁開國ᄒᆞ샤 卜年이 ᄀᆞᇫ 업스시니 聖神이 니ᅀᆞ샤도 敬天勤民ᄒᆞ샤ᅀᅡ 더욱 구드시리이다 님금하 아ᄅᆞ쇼셔 洛水예 山行 가 이셔 하나빌 미드니ᅌᅵᆺ가
(원문 출처: 『세종실록악보』, 『악학궤범』)
치화평은 세종대왕이 창제한 〈봉래의〉 중 한 부분으로 국한문체의 〈용비어천가〉를 노래하던 음악이라는 점에서 순한문체의 〈용비어천가〉를 노래하던 〈여민락〉과 비교된다. 동일한 노랫말을 사용하면서 말붙임새와 리듬에 차이를 둔 3가지 형태의 곡을 통해 세종 창제 당시 향악의 변주 방식을 엿볼 수 있다.
『세종실록악보』 『시용향악보』 『여령정재무도홀기』
조규익ㆍ문숙희ㆍ손선숙, 『세종대왕의 봉래의, 그 복원과 해석』, 민속원, 2015. 강혜진, 「〈진작3〉과 〈치화평3〉의 선율과 형식」, 『국악원논문집』9, 국립국악원, 2020. 김종수, 「세종조 신악의 전승 연구」, 『온지논총』 3, 온지학회. 변계원, 「치화평1ㆍ2ㆍ3과 취풍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손선숙, 「『악학궤범』 〈봉래의〉 치화평무의 복원 및 재현을 위한 고무고(古舞譜) 고찰」,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5, 2012. 이혜구, 「치화평과 진작」, 『동방학지』, 54ㆍ55ㆍ56 합본집, 동방학회, 1987; 『한국음악논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5 재수록. 정화순, 「치화평 배자 방법에 관하여, 『청예논총』 9, 청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1995.
임미선(林美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