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시기 환구단(圜丘壇)에 제례를 올릴 때 사용된 제례악의 명칭
희화지곡은 대한제국 시기 환구제례의 종헌(終獻)의 절차에서 사용된 제례악의 명칭이다. 음악은 “황종궁(黃鍾宮)” 선율로 구성되었고, 궁가(宮架) 악대로 연주되었다. 음악과 노래에 맞춰 예순네 명으로 구성된[八佾舞] 문무(文舞)도 함께 연행되었다.
대한제국 선포와 고종(高宗)의 황제(皇帝) 즉위를 준비하면서 천자국(天子國)의 예제에 맞게 하늘 제사[祭天禮]를 준비하였고, 이에 수반되는 제례악도 정립하였다. 희화지곡은 황제국으로서의 대한제국이 새로 제정한 환구제례에 사용되었다.
○ 역사 변천과정
환구제례의 종헌곡으로 연주된 희화지곡은 대한제국기인 1897년부터 1910년까지 존속하였다. 1910년 경술국치(庚戌國恥)와 동시에 환구단 제사가 폐지되면서 《환구제례악》의 일부인 희화지곡의 연주 전통도 단절되었다.
○ 음악형식, 음계
희화지곡은 『악학궤범』 「시용아부제악」 “황종궁”으로 연주되는데, 이 선율은 『세종실록』악보 제례악보 가운데 “황종궁 1”의 “황종궁”과 동일하다.
아악의 특징을 반영하여 시작 음과 끝 음을 같게 하고[起調畢曲], 음 한 개에 가사 한 자를 배치하며, 각 음의 길이가 같다. 이러한 음악 진행은 단조로운 느낌을 주는 반면 가사 전달이 잘 되는 장점이 있다. ○ 악대와 악기편성 희화지곡은 관악기, 타악기, 노래로 구성된 궁가로 연주되었다. 『대한예전』에 의하면 관악기가 지(篪) 5, 관(管) 2, 소(簫) 1, 약(籥) 2, 적(篴) 2, 훈(壎) 2, 부(缶) 2 이상 일곱 종이었고, 지의 수량이 다섯으로 가장 많았다. 타악기는 뇌도(雷鼗) 2, 뇌고(雷鼓) 1, 축(柷) 1, 어(敔) 1, 편종(編鐘) 1, 편경(編磬) 1, 진고(晉鼓) 1 이상 일곱 종이었고, 하늘 제사에만 배치되는 북인 뇌도와 뇌고가 포함되어 있었다. 도창(導唱) 2, 노래[歌] 2 이상 네 명은 궁가의 연주에 맞춰 한자로 쓰여진 노랫말[樂章]을 불렀다.
『대한예전』에 기록된 노랫말은 김영수(金永壽, 1829~1899)가 지은 것으로, 마지막 술잔을 올리는 의례절차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 노랫말은 4언 4구의 열여섯 글자로 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다. 단예헌활(端倪軒豁) 일의 처음과 끝이 헌활하니, 명령감림(明靈監臨) 밝으신 신령께서 감림하셨도다 삼헌례종(三獻禮終) 삼헌례를 마치어 공전성침(恭展誠忱) 공손히 정성을 드리도다
대한제국의 탄생과 함께 설행된 환구제례가 1910년 경술국치와 동시에 폐지되어 희화지곡은 불과 열세 해 동안 연주되었을 뿐이지만, 천자(天子)만 가능했던 환구제례에 수반되어 황제국의 위상을 드러내는 데 일조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대한예전』 『주례』 『증보문헌비고』「악고」
김문식ㆍ김지영ㆍ박례경ㆍ송지원ㆍ심승구ㆍ이은주,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이정희, 『대한제국 황실음악』, 민속원, 2019. 김문식ㆍ송지원, 「국가제례의 변천과 복원」, 『서울 20세기 생활․문화변천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이정희(李丁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