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휘차비(擧麾差備), 조촉차비(照燭差備)
궁중 의례에서 휘(麾)를 들거나 눕혀서 음악의 연주와 정지 시점을 신호하던 직책
협률랑은 궁중 의례의 진행에 따라 음악의 연주와 정지를 지시하던 관원이다. 휘를 사용하여 신호했는데, 어두울 때는 조촉(照燭)으로 대신하였고 상황에 따라 금고기(金鼓旗)도 활용하였다. 의례 절차에 맞게 음악이 들어가거나 멈추어야 하는 상황을 악인(樂人)들에게 알려줌으로써, 예와 악을 조화롭게 구현할 수 있게 중재하는 역할을 하였다.
협률랑은 고려시대부터 궁중의 다양한 의례 즉 제례(祭禮), 책봉(冊封), 조하(朝賀), 조회(朝會), 중동팔관회(仲冬八關會) 등에서 나타난다. 협률랑이 신호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는 휘였다. 휘는 본래 깃발의 하나로, 성곽ㆍ영토ㆍ지역 등을 표시하던 시각 장치였다. 이후 사냥할 때 활용되거나 군대의 진퇴를 알리는 신호로도 쓰이다가 의례와 음악을 조율하는 용도로 확장되었다.
대성아악(大晟雅樂) 유입 시 전래된 ‘휘번 1수(麾幡一首)’가 협률랑과 관련된 의물로 보인다. 보통 협률랑은 1명인데, 등가(登歌)와 헌가(軒架)에 각각 1명씩 총 2명이 배치된 사례가 고려시대의 원구제례, 태묘제례, 선농제례 등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협률랑은 조선시대 궁중 의례에 존속하면서 제례, 연향 등에서 음악이 적절하게 연주되거나 멈출 수 있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 신분 및 위상
협률랑은 조선시대에 봉상시(奉常寺)에서 전담하다가 세조대에 전악(典樂)에게 일임하기도 했지만, 성종대에 장악원(掌樂院) 관원이 맡는 것으로 정해졌다. 장악원 관원에게 협률랑을 일임한 이유는 예(禮)를 학습함과 동시에 악(樂)을 파악하는 자로 선출하기 위함이었다. 주로 장악원 정(掌樂院 正, 정3품)이 그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장악원 첨정(僉正, 종4품)과 장악원 주부(主簿, 종6품)도 상황에 따라 차출하곤 하였다. 장악원 정, 첨정, 주부를 비롯한 역대 협률랑 역임자들의 공통 사항은 모두 당하관(堂下官)이었다는 점이다. 당하관은 정책 결정에 참여하지 못하는 관료였고 권한이 미약했던 실무자였다. 이는 협률랑이 궁중 의례에서 점하던 위상이 높지 않았음을 드러낸다.
의례의 집행 여건이나 그 성격에 따라 장악원 관원이 아닌 이들로 대치하는 경우도 있었다. 1795년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에서는 화성(華城) 행차에 동원된 인력으로 충당하기 위해 계라선전관(啓螺宣傳官)이 협률랑을 대행하였고, 무신(武神) 제사의 성격을 지닌 관왕묘제례(關王廟祭禮)의 경우 무신겸선전관(武臣兼宣傳官)이 그 역할을 담당하였다. 내연(內宴)에서는 여집사(女執事)가 그 일을 맡기도 하였다. 장악원 관원 외에도 상황에 따라 무신(武臣), 궁녀(宮女) 등도 협률랑의 직임을 행하게 하여, 의례와 음악 집행에 흠결사항이 없도록 조치하였다.
○ 역할 및 활동
협률랑의 활동은 악대가 수반된 대부분의 의례에서 휘를 세우거나 눕히는 행동으로 압축된다. 휘를 세우면[擧麾] 음악 연주를 시작했고, 휘를 눕히면[偃麾] 음악을 정지했다. 밤에는 휘가 보이지 않으므로 조촉(照燭)으로 대신하거나 때로는 금고기(金鼓旗)를 대용품으로 쓰기도 하였다. 그리고 의물의 명칭에 의거하여 협률랑을 거휘차비, 조촉차비로 기록한 경우가 있다. 협률랑은 서계(西階) 위 서쪽 가까운 곳에 서서 동향(東向)하였는데, 이곳은 의례 집행 장면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위치였으며 악대와 가까운 지점이었다. 의례와 음악의 동향을 파악 가능한 장소에 협률랑을 배치했던 것이다.
그밖에 행사를 대비한 예행 연습, 습악(習樂), 악대 배치, 음악 연주 속도 조절, 악곡(樂曲) 누락 방지 등 궁중 의례와 연계된 음악적 부분까지 관여하고, 그 직무를 책임지는 역할도 하였다. 이 과정에서 악인(樂人) 중 품계가 가장 높은 전악(典樂)과 자연스럽게 협업하며, 장악원의 순조로운 운영을 위해 노력하였다.
협률랑의 행동양식은 단순하다. 그러나 의례 절차와 연주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음악을 통제하는 기능을 하였다. 이렇듯 협률랑은 궁중의 의례와 음악을 연결해주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국조오례서례』 『국조오례의』 『고려사』 『사직서의궤』 『세종실록』 「오례의」 『순조기축진찬의궤』 『악학궤범』 『원행을묘정리의궤』 『종묘의궤』 『춘관통고』 『헌종무신진찬의궤』
이정희, 「궁중의 의례와 음악의 중개자, 協律郎」, 『공연문화연구』 33, 공연문화학회, 2016. 최선아, 「길례 의식에서의 협률랑 운용 방식 연구」, 『동양음악』 39,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2016. 최선아, 「협률랑(協律郞)의 관제(官制)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사학보』 55, 한국음악사학회, 2015.
이정희(李丁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