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시기 환구단(圜丘壇)에 제례를 올릴 때 사용된 제례악의 명칭
예화지곡은 대한제국 시기 환구제례의 아헌(亞獻)의 절차에서 사용된 제례악의 명칭이다. 음악은 “황종궁(黃鍾宮)” 선율로 구성되었고, 궁가(宮架) 악대로 연주되었다. 음악과 노래에 맞춰 예순네 명으로 구성된[八佾舞] 문무(文舞)도 함께 연행되었다.
대한제국 선포와 고종(高宗)의 황제(皇帝) 즉위를 준비하면서 천자국(天子國)의 예제에 맞게 하늘 제사[祭天禮]를 준비하였고, 이에 수반되는 제례악도 정립하였다. 예화지곡은 황제국으로서의 대한제국이 새로 제정한 환구제례에 사용되었다.
○ 역사 변천과정
환구제례의 아헌곡으로 연주된 예화지곡은 대한제국기인 1897년부터 1910년까지 존속하였다. 1910년 경술국치(庚戌國恥)와 동시에 환구단 제사가 폐지되면서 《환구제례악》의 일부인 예화지곡의 연주 전통도 단절되었다.
○ 음악형식, 음계
예화지곡은 『악학궤범』 「시용아부제악」 “황종궁”으로 연주되고, 이 선율은 『세종실록』 악보 제례악보 가운데 “황종궁 1”의 “황종궁”과 동일하다.
아악의 특징을 반영하여 시작 음과 끝 음을 같게 하고[起調畢曲], 음 한 개에 가사 한 자를 배치하며, 각 음의 길이가 같다. 이러한 음악 진행은 단조로운 느낌을 주는 반면 가사 전달이 잘 되는 장점이 있다. ○ 악대와 악기편성 예화지곡은 관악기, 타악기, 노래로 구성된 궁가로 연주되었다. 『대한예전』에 의하면, 관악기가 지(篪) 5, 관(管) 2, 소(簫) 1, 약(籥) 2, 적(篴) 2, 훈(壎) 2, 부(缶) 2 이상 일곱 종이었고, 지의 수량이 다섯으로 가장 많았다. 타악기는 뇌도(雷鼗) 2, 뇌고(雷鼓) 1, 축(柷) 1, 어(敔) 1, 편종(編鐘) 1, 편경(編磬) 1, 진고(晉鼓) 1 이상 일곱 종이었고, 하늘 제사에만 배치되는 북인 뇌도와 뇌고가 포함되어 있었다. 도창(導唱) 2, 노래[歌] 2 이상 네 명은 악장을 불렀다.
『대한예전』에 기록된 노랫말은 김영수(金永壽, 1829~1899)가 지은 것으로, 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례절차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 노랫말은 4언 4구의 열여섯 글자로 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다. 의공금판(儀供金版) 예물로 금판을 바치고 가등죽궁(歌登竹宮) 노래를 죽궁에 올리도다 아관시장(亞祼是將) 두 번째 술잔 올리니 힐향사통(肹蠁斯通) 향기가 사방으로 성하게 펴저 통하도다
대한제국의 탄생과 함께 설행(設行)된 환구제례가 1910년 경술국치와 동시에 폐지되어 예화지곡은 불과 열세 해 동안 연주되었을 뿐이지만, 천자(天子)만 가능했던 환구제례에 수반되어 황제국의 위상을 드러내는 데 일조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대한예전』 『주례』 『증보문헌비고』「악고」
김문식ㆍ김지영ㆍ박례경ㆍ송지원ㆍ심승구ㆍ이은주,『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이정희, 『대한제국 황실음악』, 민속원, 2019. 김문식ㆍ송지원, 「국가제례의 변천과 복원」, 『서울 20세기 생활․문화변천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이정희(李丁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