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7년 이왕직아악대에서 편찬한 고려시대부터 당대까지 음악의 역사와 제도를 다룬 기록적 성격의 책
『조선악개요』는 대정 6년(1917) 12월, 이왕직아악대에서 편찬한 필사본이다. 당시 궁중음악계가 어려움에 처하자 일본 궁내성에 헌납하여 위기를 극복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이 책은 조선 궁중으로 내려온 음악과 제도를 현재의 이왕직아악대 현황까지 자세하게 서술하고 악현, 악기의 그림까지 그려 넣은 기록물적 성격의 책이다. 현재 한국에는 필사자가 다른 214쪽 분량의 원본 2책이 국립국악원과 장서각에 각각 1책씩 남아 있다. 일본 궁내성에 헌납했다고 하는 책은 일본에 남아 있는지 확인되지 않는다. 국립국악원에 또 하나의 다른 글씨체에 그림이 없는 167쪽 분량의 필사본 1종이 있는데, 이는 다나베 히사오(田辺尙雄)가 원본을 보고 베낀 것이다.
이왕직아악대에서 아악사 지위에 있었던 함화진(咸和鎭, 1884~1949)은 아악부가 폐지될 위기에 조선의 고악을 기록으로라도 남기고자 이 책을 만들어 하나는 이왕직아악부에 남기고 하나는 궁내성에 헌납했다고 한다. 이 책은 1921년 조선의 아악을 조사하기 위해 조선을 방문한 다나베 히사오(田辺尙雄)가 조사 직전에 이를 베껴 씀으로 해서 한 권이 더 생기게 된 것이었고 그의 사후에 그의 아들 다나베히데오가 국악원에 기증하였다. 다나베 히사오는 이 책을 통해 조선음악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고 동양의 고대 음악의 전통이 조선으로 내려오고 있음에 관심을 가지고 조선음악을 조사하고 돌아갔다. 이 책은 1933년 『조선악기편』, 1942년 『조선악대요』, 1943년 『조선음악소고』, 1948년 『조선음악통론』 등 함화진 저서나 이왕직아악부 소개 책자, 이왕직 아악생 교과서 등을 서술하는데, 토대 자료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현대에 학계에서 이 책의 존재는 1990년 『이왕직아악부와 음악인들』에 처음 소개가 되었으며 1998년 「다나베히사오의 조선음악조사의 비판적 검토」라는 연구 이후 주목을 받게 되었다.
○ 편찬정보
현재 유물로 남아 있는 『조선악개요』는 국립국악원에 2종,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1종이 소장되어 있다. 국립국악원 소장 1종의 표지 제목은 ‘朝鮮樂槪要’(조선악개요)이고 편찬은 ‘李王職雅樂隊’(이왕직아악대)이며 편찬시기는 1917년 12월(대정육년십이월)이다. 필사본이고 분량은 400여 쪽이며 크기는 가로 21.8cm 세로 14.9cm이다. 다른 1종은 다나베히사오(田辺尙雄)가 원본을 보고 필사한 167쪽 분량의 책이다. 장서각 소장 『조선악개요』의 표지 제목도 ‘朝鮮樂槪要’(조선악개요)이고 편찬도 ‘李王職雅樂隊’(이왕직아악대)라고 쓰여있다. 표지의 오른쪽 위에 ‘舊皇室保管秘藏’(구황실보관비장) 아래에 ‘共一百九十九枚’(모두 199매)이라고 쓰여 있다. 장서각 청구기호는 K3-591, MF16-330이다. 이중 국악원 1종과 장서각 1종은 필체는 다르나 내용과 분량은 같은 책이다. 이외에 1918년 함화진이 일본 궁내성에 1부 제출했으므로 궁내성에도 1부 소장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내용 개요
이 책은 목차에서 알 수 있듯이 전반부에 고려악과 조선악에 국한하여 악가무의 역사에 대해, 후반부에는 당대인 1917년 현재 이왕직아악부에서 쓰고 있는 악가무를 배치하였다. 전반부는 고려악과 조선악의 樂(음악), 歌(노래), 舞(춤)으로 크게 분류하여 각 명칭과 그에 속하는 종목과 각각 어떤 것인지 서술하였다. 고려악은 고려시대의 명칭을 소개하고, 고려시대 아악의 악현을 등가와 헌가로 구분하여 용도를 기록하고 도식으로 설명하였다.
조선악의 樂은 용도에 따라 아악(雅樂), 속악(俗樂), 연악(宴樂), 군악(軍樂)으로 분류하였다. 아악과 속악은 제악(祭樂)과 연악(宴樂)으로 구분하고, 연악에 아악이 쓰이지 않는 점, 관왕묘제향(關王廟祭享)에 군악이 쓰이지 않는다는 점을 명시했다. 歌는 악가(樂歌), 창사(唱詞), 가곡(歌曲)으로 분류하여 조선후기 새로 창작한 정재의 창사와 가곡, 가사, 시조까지 포함하여 정리하였다. 舞는 일무(佾舞), 법무(法舞), 속무(俗舞)로 구분하였다. 이 책에서 사용하는 법(法樂)과 법무(法舞)는 궁중 연례 음악과 춤을 가리킨다. 이 외에 종묘, 환구단, 사직 등 각 제례에서 쓰이는 속악과 아악의 악곡명과 제례절차 등을 도식으로 설명하고, 악기 연혁과 의물, 관복 등을 도면으로 자세히 설명하였다.
역대 악가무 | ||||
고려악 | 고려악명 | |||
고려가명 | ||||
고려무명 | ||||
고려제례주악도식 | ||||
조선악 | 조선악명 | |||
조선가명 | 제례악장, 창사, 가곡 | |||
조선무명 | ||||
악기명칭 | ||||
조선제례악의 | ||||
조선제례주악도식 | ||||
조선일무도식 | ||||
조선연례주악도식 | 부, 민간악 | |||
악기연혁 | 부, 도면 | |||
의물부 | 부, 도면 | |||
관복도면 | 악사 복식, 악공 복식, 오방처용무 복식. | |||
당대 이왕직아악부 악가무 | ||||
樂別 (악곡) |
아악 | 제악 | 문선왕묘 현용 | |
연악 | 지금 폐지 | |||
속악 | 제악 | 종묘 영녕전 경효전 의효전 현용 | ||
법악 | 궁중연례용 | |||
연악 | 公私用 | |||
군악 | |
궁중악 | ||
관왕묘제향시 사용 (지금 폐지) | ||||
歌別 (노래) |
악가 | 제례악장 | ||
궁중 연례악장 | 임시 제정 | |||
창사 | 궁중 정재무 | 궁중 정재무 때 사용 | ||
가곡 | 우조 계면조 가사 시조 | |||
舞別 (무용) |
일무 | 문무 | 제례용 | 종묘 영녕전 경효전 의효전 문선왕묘 현용 |
무무 | ||||
법무 | 정재무 | 궁중연례용 | ||
속무 | 항장무 외 4종 |
公私 연례 통용 |
○ 세부 내용
< 고려악 >
樂名 | 곡파 만 령 낙양춘 취태평 환궁악 수룡음 영선악 | |
歌名 |
서경곡 대동강 오관산 양주 월정화 장단 벌곡조 원흥 금강성 동백목 한송정 정과정 풍입송 야심사 한림별곡 삼장 장생포 총석정 거사련 처용가 사리화 장엄 제위보 안동자청 송산 예성강 사룡 자하동 궁수분 서호곡 대분곡 연양가 동경곡 목주가 여나산 장한성 이견대 선운산 무등산 방등산 정읍 지리산 내원성 연양가 명주 (45곡) |
|
舞名 |
답사행가무 신전포구락 구장기 별기포구라 왕무대가무 문무 무무 헌선도 수연장 오양선 포구락 무고 동동 무애 처용무 (15곡) |
|
제례주악도식 | 아악등가 |
원구 사직 태묘 선농 선잠 문선왕 제례시 진설하고 음복례 전옥폐 작헌 철변두 등의 절차에서 연주 |
아악헌가 |
원구 사직 태묘 선농 선잠 문선왕에서 진설하고 입문 영신 송신 조두 아종헌 공악 등에서 연주 |
樂名 | 세종시 작 | 보태평 정대업 취태평 치화평 봉황음 여민락만 보허자 낙양춘 전인자 후인자 여민락(현) 여민락(관) 환환곡 수룡음 만취소 하운봉 소포구락 오운개서조 보허자(관) 회팔선 천년만세 절화 중선회 발상 정대업 보태평 | |
세조시 작 | 원구악 창수곡 보태평(11성) 정대업(11성) 유황곡 정동방곡 취풍형 취화평 봉황음 진작 이상곡 만전춘 납씨가 횡살문 감군은 서경별곡 만대엽 한림별곡 쌍화점 보허자 영산회상 북전 동동 정읍 자하동 령 가곡 (53곡) | ||
歌名 | 제례악장 | 종묘악장 경효전악장 의효전악장 경모궁악장 원구단악장 사직악장 선농악장 선잠악장 우사악장 풍운뇌우악장 문선왕묘악장 대보단악장 관왕묘악장 숭의묘악장 둑소악장(납씨가) (15) | |
창사 | 봉래의 몽금척 경풍도 헌선도 헌천화 만수무 침향춘 제수창 수연장 무고 보상무 가인전목단 포구락 연백복지무 장생보연지무 첨승무 향령무 춘앵전 오양선 무산향 연화무 연화대무 육화대 봉접무 아박무 향발무 망선무 최화무 춘대옥촉 영지무 춘광호 고구려무 (계 32종) | ||
(원래 한국시대 사용, 지금 폐지) | |||
가곡 | 우조 | 초수대엽 이수대엽 중거 평거 두거 삼수대엽 소용 우롱 우락 언락 우편 | |
계면조 | 초수대엽 이수대엽 중거 평거 두거 삼수대엽 소용 언롱 평롱 계락 편수대엽 언편 歌詞 | ||
시조 | 중거시조 평거시조 삼삭시조 농시조 | ||
舞名 | 일무 | 문무 무무 보태평지무 정대업지무 | |
(제례용) | |||
|
법무 | 몽금척 수보록 근천정 수명명 하황은 하성명 성택 문덕곡 봉래의 정대업지무 보태평지무 발상 헌선도 수연장 오양선 연화대무 포구락 육화대 곡파 아박 향발 오방처용무 동동 무애 교방가요 제수창 경풍도 광수무 초무 헌천화 침향춘 보상무 가인전목단 만수무 연백복지무 사선무 장생보연지무 첩승무 춘앵전 무산향 향령무 최화무 최화무(죽간자 있음) 춘광호 첨수무 공막무 항장무 선유락 연화무 승무 검기무 학무 사자무 (63종) | |
(궁중연례용) | |||
|
속무 | 항장무 승무 검무 남무 사자무 | |
(公私宴用) | |||
악기 | 명칭 | 편종 大金 小金 특종 양금 방향 편경 특경 금 슬 당비파 향비파 현금 가야금 해금 월금 대쟁 아쟁 소 약 관 적 지 당적 대금 퉁소 당피리 향피리 태평소 단소 생 우 화 훈 부 진고 뇌고 영고 노고 뇌도 영도 노도 건고 절고 장고 갈고 삭고 응고 교방고 좌고 축 어 박 | |
군악용악기 |
나발 나각 자바라 호적 용고 정 라 |
종묘 (영녕전 같음) | 영신악 | 희문장 9주 |
전폐악 | 희문장 정해진 숫자 없음 | |
진찬악 | 진찬장 정해진 숫자 없음 | |
초헌악 | 引入희문장 헌례장 기명 귀인 형가 즙령 융화 현미 열광 정명 중광 대유 9장, 引出역성 1장 | |
아헌악 | 引入소무 1장. 헌례 독경 탁정 선위 신정 분웅 순응 총유 정세 혁정 합 9장, 引出영관 1장 | |
종헌악 | 위와 같음 | |
철변두악 | 진찬 1장 | |
송신악 | 진찬 1장 | |
경효전 | 영신악 | 희문장 9주 |
전폐악 | 희문장 정해진 숫자 없음 | |
진찬악 | 진찬장 정해진 숫자 없음 | |
초헌악 | 引入희문 1장. 헌례 기명 1장. 引出역성 1장 | |
아헌악 | 引入소무 1장. 헌례 독경 1장. 引出영관 1장 | |
종헌악 | 위와 같음 | |
철변두악 | 진찬 1장 | |
송신악 | 위와 같음 | |
경모궁(장헌세자 광무 원년 附 태묘 후 폐지) | 영신악 | 어휴곡 9장 |
전폐악 | 어휴곡 정해진 숫자 없음 | |
진찬악 | 혁우곡 정해진 숫자 없음 | |
초헌악 | 引入제춘곡 1장. 헌례, 진색곡 1장, 引出유길곡 1장. | |
아헌악 | 引入독경곡 1장. 헌례, 휴운곡 1장, 引出휘유곡 1장. | |
종헌악 | 위와 같음 | |
철변두악 | 유분곡 | |
송신악 | 아례곡 | |
원구단 아악 | 영신악 | 협종궁 3성, 고선궁 1성, 남려궁 1성, 대려궁 1성 |
전폐악 | 대려궁, 정해진 수 없음 | |
진찬악 | 협종궁, 정해진 수 없음 | |
초헌악 | 대려궁, 정해진 수 없음 | |
공악(空樂) | 황종궁 1성, 문무 물러남 무무지지악 | |
아헌악 | 황종궁 정해진 수 없음 | |
종헌악 | 위와 같음 | |
철변두악 | 대려궁 1성 | |
송신악 | 송신협종궁 1성 | |
망료악 | 송신협종궁 | |
사직 | 영신악 | 임종궁, 유빈궁, 응종궁, 유빈궁 각 2성, 모두 8성 |
전폐악 | 응종궁, 정해진 수 없음 | |
진찬악 | 태주궁, 정해진 수 없음 | |
초헌악 | 응종궁, 정해진 수 없음 | |
공악 | 태주궁 1성 | |
아헌악 | 태주궁, 정해진 수 없음. | |
종헌악 | 위와 같음 | |
철변두악 | 대려궁 1성 | |
송신악 | 응종궁 1성 | |
망료악 | 임종궁 1성 | |
선농 (선잠, 우사, 숭의묘, 대보단묘 같음) | 영신악 | 황종궁 3성, 중려궁 2성, 남려궁 2성, 이치궁 2성 |
전폐악 | 남려궁, 정해진 수 없음. | |
초헌악 | 위와 같음 | |
아헌악 | 고선궁, 정해진 수 없음. | |
종헌악 | 위와 같음 | |
철변두악 | 남려궁 1성 | |
송신악 | 황종궁 1성 | |
문선왕묘 | 영신악 | 황종궁 3성, 중려궁 2성, 남려궁 2성, 이칙궁 2성 |
전폐악 | 남려궁, 정해진 수 없음. | |
초헌악 | 남려궁, 정해진 수 없음. | |
공악 | 고선궁 1성 | |
아헌악 | 고선궁, 정해진 수 없음. | |
종헌악 | 위와 같음 | |
철변두악 | 남려궁 1성 | |
송신악 | 송신협종궁 1성. | |
망료악 | 위와 같음 | |
관왕묘(일무 없음) | 영신악 | 제좌(帝座)장 3장 |
전폐악 | 강리(降釐)장 2성 | |
초헌악 | 성공(聖功)장 1성 | |
아헌악 | 순하(純嘏)장 1성 | |
종헌악 | 위와 같음 | |
철변두악 | 현상(顯相)장 1성 | |
송신악 | 영우(靈佑)장 1성 | |
둑소 | 영신 이하 | 전폐, 초헌 - 모두 납씨가 사용 |
아헌 이하 | 종헌, 철변두, 송신- 모두 정동방곡 사용 |
제사악 종류 | 진설 연주 악기 | 악인 | |
세종조 |
아악 헌가도식(일명 악현) 당하지악- 종묘 사직 풍운뇌우 선농 선잠 우사 문선왕에 진설. |
타: 편종, 편경, 9개율의 종과 경, 축, 어, 부, 고와 도 (천신은 즉 뇌고 뇌도, 지신은 영고 영도, 인신은 노고 노도를 사용) 관: 관, 약, 화, 생, 우, 소, 훈, 지, 적 |
악생 121인 |
아악 등가(당상악)- 주악절차는 헌가와 같다. |
가: 24인 타: 편종, 편경, 특종, 특경, 절고, 강, 갈 관: 관, 약, 생, 우, 화, 소, 훈, 지, 적 현: 금, 슬 |
악생 62인 | |
종묘 영녕전 속악 헌가 도식 |
가: 6인 타: 편종 편경, 방향, 노고, 노도, 축, 어, 진고, 장고, 교방고 관: 관, 생, 우, 화, 훈, 지, 필율, 당적, 퉁소, 태평소, 대금, 중금, 소금 현: 현금, 가야금, 당비파, 향비파, 월금, 해금 |
악공 72인 | |
종묘 영녕전 속악 등가 도식 |
가: 6인 타: 특종, 특경, 방향, 축, 어, 박, 절고, 장고 관: 생, 화, 훈, 지, 필율, 당적, 퉁소, 대금 현: 현금, 가야금, 당비파, 향비파, 월금, 해금, 대쟁, 아쟁 |
악공 32인 | |
세조조 | 속악 헌가-원구 종묘 영녕전에 진설. 영신 진찬 아헌 종헌 송신에서 연주 |
가: 8인 타: 편종 편경, 방향, 박, 노고, 노도, 장고, 관: 생, 우, 화, 훈, 지, 필율, 당적, 퉁소, 태평소, 대금, 중금, 소금 현: 현금, 가야금, 당비파, 향비파, 월금 |
악공 58인 |
속악 등가 | 세종조 속악 등가와 같음 | ||
성종조 | 아악 헌가-사직 풍운뇌우 산천 성황 선농 선잠 우사 문선왕묘에 진설 |
타: 편종과 편경 9세트, 축, 어, 영도 7, 영고 2, 부 관: 관, 약, 화, 생, 우, 소, 훈, 지, 적 |
악생 124인, |
아악 등가-헌가와 같이 진설, 편종 편경은 서서, 나머지는 앉아서 연주 |
가: 24인 도창 2인 타: 종, 편경, 특종, 특경, 절고, 강, 갈 관: 관, 약, 생, 우, 화, 봉소, 훈, 지, 적 현: 금, 슬 |
악공 62인 | |
속악 헌가(당하악)-종묘 영녕전 진설, 영신 진찬 초헌 종헌 송신에 연주 |
가: 8인 타: 편종 편경, 방향, 박, 노고, 노도, 장고, 교방고 관: 관, 화, 우, 훈, 지, 필율, 당적, 퉁소, 태평소, 대금, 중금, 소금 현: 현금, 가야금, 당비파, 향비파, 월금, 해금 (종헌에서 음악이 그치면 大金 10통을 친다. 대금 10통이라는 것은 곧 정대업의 마침이다). |
악공 72인 | |
성종조 속악 등가(당상악)-전폐 초헌 철변두에서 연주 |
가: 6인 타: 편종 편경, 특종, 특경, 방향, 박, 축, 어 관: 생, 화, 훈, 지, 필율, 당적, 퉁소, 대금 현: 현금, 가야금, 당비파, 향비파, 월금, 해금, 대쟁, 아쟁 (친경적전 시는 특종, 특경, 축, 어, 생, 화, 훈, 지는 제외하고 가 4인 추가). |
악공 32인 | |
둑제 배열도 |
깃발: 황룡대기, 청룡기, 백룡기, 적룡기 의물: 간 척, 궁 시, 검, 창 악기: 大金, 中鼓, 小金 |
악생 23인 | |
인조조 | 아악 헌가-사직 풍운뇌우 산천 성황 선농 선잠 우사 문선왕묘에 진설 |
가: 2인, 도창 2인 타: 편종, 편경, 노도, 진고, 축, 어, 부 관: 관, 약, 소, 훈, 지, 적 |
악공 22인 |
아악 등가 |
가: 2인, 도창 2인 타: 편종, 편경, 강, 갈, 노도, 절고 관: 약, 봉소, 훈, 지, 적 현: 금, 슬 |
악생 20인 | |
속악 헌가-종묘 영녕전에 진설 |
가: 2인 타: 편종 편경, 방향, 박, 축, 어, 노도, 진고, 장고, 大金, 小金 관: 생, 훈, 지, 필율(태평소 겸), 당적, 대금 현: 비파, 해금 |
악공 22인 | |
속악 등가 |
가: 2인 타: 편종 편경, 방향, 축, 어, 절고, 장고 관: 생, 화, 훈, 지, 필율, 당적, 퉁소, 대금 현: 현금, 가야금, 당비파, 향비파, 대쟁, 아쟁 |
악공 23인 | |
이태왕 | 아악 헌가-악주절차는 인조조와 같다. 융희 4년(1910) 실행 |
가: 2인 도창 2인 타: 편종, 편경, 축, 어, 노도, 노고, 진고, 부 관: 관, 약, 소, 훈, 지, 적 |
악생 24인 |
아악 등가 |
가: 2인 도창 2인 타: 편종, 편경, 특종, 특경, 강, 갈, 절고 관: 관, 약, 화, 생, 우, 봉소, 훈, 지, 적 현: 금, 슬 |
악생 27인 | |
속악 헌가-악주절차는 인조조와 같다. 융희4년 실행. |
가: 2인 타: 편종 편경, 방향, 박, 축, 어, 노고, 노도, 진고, 장고, 大金, 小金 관: 관, 생, 우, 훈, 지, 필율(태평소 겸), 당적, 대금, 중금, 소금, 현: 당비파, 해금 |
악생 30인 | |
속악 등가 |
가: 2인 타: 편종 편경, 특종, 특경, 방향, 축, 어, 절고, 장고 관: 생, 화, 훈, 필율, 당적, 퉁소, 대금 현: 현금, 가야금, 향비파, 대쟁, 아쟁, 월금 |
악공 27인 | |
대정 6년 | 현행(1917) 종묘 헌가 |
가: 2인 타: 편종 편경, 방향, 박, 축, 진고, 장고 관: 필율(태평소 겸), 당적, 대금 현: 해금 |
樂手 14인 |
현행(1917) 종묘 등가 |
가: 2인 타: 편종 편경, 방향, 축, 절고, 장고 관: 필율, 대금 현: 아쟁 |
악수 14인 |
|
시기 | 대열 | 무원 |
세종조 문무(文舞) | 행: 6인 열: 8인 둑: 2인 | 둑악생 2인, 무악생 48인 |
세종조 무무(武舞) |
행: 6인 열: 8인 정: 2인 순 탁 요 탁 응 아 상 독 |
정악생 2인, 무악생 48인 |
세종조 보태평지무 | 행: 6인 열: 6인 둑: 2인 | 무악생 36인, 둑악생 2인 |
세종조 정대업지무 |
행: 6인 열: 6인 각, 둑, 고, 금, 청기, 황룡대기, 적기, 백기, 흑기, 고, 금, 대고, 대금, 라대각, 홍대둑 |
악공 71인, 앞 2열 12인 검, 가운데 2열 12인 창, 뒤 2열 12인 궁시 |
이태왕 광무원년 개정 문무 무무 도식 |
행: 8인 열: 8인 둑: 2인 보태평, 정대업지무에도 인원과 관복을 동일. |
악공 66인 |
대정 6년 현행 보태화지무(保太和之舞) |
행: 6인 열: 6인 향만년지무(享萬年之舞) 무원은 동일하나 궁시 사용 |
무 36인 영녕전 경효전 의효전 무원 동일 |
구분 | 제목 | 악기배치 | 악인 | |
궁중악 | 세종조 회례연 등가 | 階上 | 가 20인, 도창 2인 /편종, 편경, 특종, 특경, 축, 어, 절고 /금, 슬 | 악공 62인 |
階下 | 관, 약, 화, 생, 우, 봉소, 소, 지, 훈 | |||
세종조 회례연 헌가 | 편종과 편경 9세트, 축, 어, 건고, 삭고, 응고 / 금, 가, 관, 약, 생, 화, 우, 봉소, 소, 지, 부, 훈 | 악공 139인 | ||
세종조 전정헌가 | 편종, 편경, 방향, 축, 어, 건고, 삭고, 응고, 진고, 장고, 교방고/ 관, 화, 생, 우, 훈, 지, 필율, 당적, 퉁소, 태평소, 대금, 중금, 소금/ 가야금, 현금, 당비파, 향비파, 월금, 해금 | 악공 69인 | ||
세종조 고취 | 1열: 방향, 화, 생, 방향 2조 /2열: 가 8인/3열: 비파 8인 /4열: 필율3 우1 2조 /5열: 당적3 월금2 대금3/ 6열:대쟁 아쟁 가야금 현금 2조 /7열: 향필율 퉁소 퉁소 향비파 2조 / 8열:대금 3 해금 2조 / 9열: 장고 10 / 10열: 장고4 교방고1 2조 | 악공 84인 | ||
성종조 전상등가(속악) | 월대 위: 대쟁, 아쟁, 방향, 당비파, 필율, 현금, 향비파, 가야금, 월금, 해금, 당적, 퉁소, 장고, 대금/ 中階: 대고 | 악공 42인 | ||
성종조 전정헌가 | 편종, 편경, 박, 축, 어, 건고, 응고, 삭고, 방향, 장고/ 필율, 당적, 퉁소, 대금/ 가야금, 현금, 당비파, 향비파, 대쟁, 아쟁, 월금, 해금 | 악공 59인 | ||
성종조 전정고취 | 박, 방향, 장고, 대고/ 필율, 당적, 퉁소, 대금/ 가야금, 현금, 당비파, 향비파, 대쟁, 아쟁, 월금, 해금 | 악공 50인 | ||
성종조 전후고취 | 박, 방향, 장고, 대고/ 필율, 당적, 퉁소, 대금/ 당비파 | 악공 18인 | ||
성종조 전부고취 | 공수6, 담6/ 방향, 교방고, 장고/ 필율, 당적, 퉁소, 대금/ 당비파 | 악공 50인 | ||
성종조 후부고취 | 청선2, 공수8, 담6/ 박, 방향, 교방고, 장고/ 필율, 당적, 퉁소, 대금/ 당비파 | 악공 50인 | ||
민간악(公宴통용) | 관악(속칭 육악) | 필율2, 대금1, 해금1, 장고1, 좌고1, | 6인 | |
현악 | 현금1, 가야금1, 양금1 | 3인 | ||
관현합악 | 현금1, 가야금1, 양금1, 생1, 단소1, 필율1, 대금1, 해금1, 장고1, | 9인 |
소개 악기 | 수 | ||
팔음구분 | 금지속 | 편종, 大金, 小金, 특종, 양금, 방향 | 6종 |
석지속 | 편경, 특경 | 2종 | |
사지속 | 금, 슬, 당비파, 향비파, 현금, 가야금, 해금, 월금, 대쟁, 아쟁 | 10종 | |
죽지속 | 소, 약, 관, 적, 지, 당적, 대금, 퉁소, 당필율, 향필율, 태평소, 단소 | 12종 | |
포지속 | 생, 우, 화 | 3종 | |
토지속 | 훈, 부 | 2종 | |
혁지속 | 진고, 뇌고, 영고, 노고, 뇌도, 영도, 노도, 건고, 절고, 장고, 갈고, 삭고, 응고, 교방고, 좌고 | 15종 | |
목지속 | 축, 어, 박 | 3종 | |
구군용악기 | 나발, 나각, 자바라, 호적(태평소와 같다), 용고, 鉦, 鑼, | 7종 | |
의물부 | 휘, 조촉, 정, 둑(纛), 무약(舞籥), 무적(舞翟), 간(干), 척(戚), 궁(宮), 시(矢), 검(劒), 창(槍), | 12종 |
구분 | 명칭 | |
악사복식 | 모라복두(帽羅幞頭) | 모자 |
녹초삼(綠綃衫) | 상의 | |
오정대(烏鞓帶) | 띠 | |
목화(木靴) | 신발 | |
악공복식 | 화화복두(畵花幞頭) | 모자 |
남주의(藍紬衣) | 상의 | |
홍주의(紅紬衣) | 상의 | |
남혁대(藍革帶) | 띠 | |
오방처용무복식 | 가면사모(假面紗帽) | 가면 |
단의(團衣) | 상의- 청 황 홍 백 흑 | |
천의(天衣) | 상의 위 장식 | |
길경(吉慶) | 장식 위 띠 | |
상(裳) | 치마 | |
군(裙) | 바지 | |
한삼(汗衫) | 상의 | |
대(帶) | 띠 | |
혜(鞋) | 신발 |
조선시대 역대 제례악현과 1917년 당시까지의 악현의 변천과정을 도식으로 정리하였을 뿐 아니라 당대 직전까지 종묘, 원구단, 사직, 선농, 선잠, 우사, 경모궁, 경효전, 관제묘 등 제사음악의 절차와 음악이 기록되어 있어 근대음악사 연구의 중요한 사료이자 당시의 시대 상황을 잘 반영한 음악서로 평가된다. 특히 1897년(고종 34) 대한제국으로 황제국을 선포하면서 조선 초에 폐지되었던 제천행사를 위해 설치한 환구단 제례에 연주되었던 아악의 명칭과 절차를 설명한 것이 주목된다. 또한 관제묘악의 경우에도 『증보문헌비고』에는 소무, 분웅, 영관 등의 4곡만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절차에 따른 악장명까지 기록되어 있다. 무엇보다도 당대의 연주인 현행 종묘 악현은 얼마나 열악한 악현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또한 보태평을 보태화로 정대업을 향만년으로 바꾼 명칭도 볼 수 있다.
국립국악원, 『국립국악원 개원 마흔돌기념 근대음악사 사진 자료집-이왕직아악부와 음악인들』, 국립국악원, 1991. 김수현, 「다나베 히사오(田辺尙雄)의 조선음악조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음악사학보』 22, 1998.
김수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