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최자조(嗺子調), ②청풍체(淸風體), 잉(剩)
조선 전기에 전하던 최자조(嗺子調)와 청풍체(淸風體)의 다른 이름
하림조는 눈죽조(嫩竹調)와 함께 본래 신라의 가야금 음악에 쓰이던 악조 이름으로, 1430년(세종 12) 당시 옛 악곡들은 이미 다 유실되었고 하림조와 눈죽조는 단지 악조의 이름으로만 남아있었을 뿐이었다. 그런데 조선조 성종대의 문헌인 『악학궤범』에는 당시 하림조로도 불리었던 2종의 악조가 전하고 있다. 하나는 「현금」 조에 수록되어 전하는 최자조이고, 다른 하나는 「현금」, 「향비파」, 「가야금」 조에 전하는 청풍체이다.
최자조는 조선 전기의 거문고곡 《최자》와 《우식》에 쓰인 악조로 속칭 하림조이다. 1435년(세종 18)에 당시 조선조의 고악(古樂)으로서 《최자》ㆍ《우식》ㆍ《탁목》 등의 거문고곡들이 장차 폐절될 위기에 처하게 되자 그 악곡들을 이습하게 하자는 건의가 받아들여졌다. 그 결과, 『악학궤범』 권1 「악조총의(樂調總義)」에 조선 전기의 향악조 가운데 하나로 자리할 수 있었고, 「현금」 조에 도설(圖說)이 수록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반면, 하림조와 이명동조(異名同調)인 청풍체는 1430년(세종 12) 당시 하림조의 모든 곡들이 없어진 상황에서 진행된 옛 악곡의 수집 사업에서 옛 하림궁 인근을 중심으로 충청지역의 음악이 수집되자 그것들을 하림조, 혹은 “그 지역의 음악 스타일”의 의미를 지닌 청풍체라는 조이름이 붙여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
하림조는 본래 신라의 가야금 음악에 쓰이던 악조 이름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신라시대에는 185곡에 달하는 가야금 음악이 있었으며, 이러한 악곡들에 하림조와 눈죽조(嫩竹調) 두 악조가 활용되었다고 한다. 1430년(세종 12)에 이르러 옛 하림조와 눈죽조의 악곡들은 이미 다 유실되었고 단지 악조의 이름으로만 남아있었을 뿐이다. 그런데 조선조 성종대의 문헌인 『악학궤범』에는 당시 하림조로도 불리었던 2종의 악조가 전하고 있어 주목된다. 하나는 「현금(玄琴)」 조에 수록되어 전하는 최자조(嗺子調)이고, 다른 하나는 「현금」, 「향비파」, 「가야금」 조에 전하는 청풍체(淸風體)이다.
『악학궤범』 권7 「현금」 조에 수록되어 전하는 최자조는 태주궁계면조(太簇宮界面調)로서 속칭 하림조(河臨調)이다. 최자조라는 악조명은 《최자》라는 곡이름에서 왔는데, 함께 명시된 산형(散形)을 통하여 《최자》를 연주할 때의 거문고 조현법과 사용 음위(音位)를 알 수 있다. 그 최자조의 조현법과 음위는 《우식(憂息)》의 연주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는데, 본래 《우식악(憂息樂)》은 신라 눌지왕(訥祗王, 417~458) 때 지은 것으로 《최자》와 함께 오랜 역사를 지닌 악곡이다. 이 두 곡은 1430년(세종 12)까지만 해도 《탁목(啄木)》ㆍ《다수희(多手喜)》ㆍ《청평(淸平)》ㆍ《거사연(居士戀)》등과 함께 거문고곡으로 연주법이 전해지고 있었다. 이후 1435년(세종 18)에 당시 조선조의 고악(古樂)으로서 《최자》ㆍ《우식》ㆍ《탁목》 등의 거문고곡들이 장차 폐절될 위기에 처하게 되자 그 악곡들을 이습하게 하자는 건의가 받아들여졌다. 그 결과, 『악학궤범』 권1 「악조총의(樂調總義)」에 조선 전기의 향악조 가운데 하나로 자리할 수 있었고, 「현금」 조에 산형(散形)이 수록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최자》와 《우식》의 악조인 태주궁계면조(太簇宮界面調)는 <宮[태]
조선조 성종대의 문헌인 『악학궤범』에 당시 하림조로도 불리던 최자조와 청풍체 2종 악조의 명칭과 산형이 수록되어 전해지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나라 옛 음악의 단면을 파악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현재 많은 향악곡이 대체로 우조평조와 우조계면조의 악곡으로 편중되어있고, 평조계면조와 태주평조의 악곡이 소수 연주되고 있는 상황에서 역사에 묻힌 옛 악조의 실체를 파악하고, 그 조현법과 음위를 통하여 새로운 악곡을 창출하는 작업은 현행 음악의 폭을 넓힐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신라의 하림조가 단지 악조 이름으로만 전해지고 있었던 상황에서 후대에 어떻게 계면조의 최자조와 평조의 청풍체를 하림조라 칭하게 되었는지, 그 두 악조가 과연 신라의 하림조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여전히 의문으로 남아있지만, 그것들을 밝히는 작업 역시 한국음악이론분야의 지평을 넓히는 중요한 관건이 될 것이다.
『三國史記』 『世宗實錄』 『樂學軌範』
정화순(鄭花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