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악생교과철(雅樂生敎科綴)
1941년 제작된 이왕직아악부양성소 제6기생 수업용 교재
일제강점기 이왕직아악부에서는 궁중음악 전승의 맥이 끊어질 것을 염려하여 근대식 학교제도와 같은 형태로 1919년부터 아악생을 2회를 제외하고 5년을 주기로 모집했다. 아악생교과철은 이들 아악생들이 쓰는 교과서에 해당한다. 아악생 제6기생은 1941년에 모집되었으므로 입학때부터 쓸 수 있게 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제4회 아악생교과철과 제6회 아악생교과철이 자료로 남아 알려져 있다.
○ 편찬 사항
표지에는 ‘第六會雅樂生敎科綴’ 이라는 제목이 있고 그 옆에는 ‘昭和十六年五月’이 붓글씨로 쓰여 있다. 판권지가 따로 없지만 표지에 있는 사항만으로 1941년 5월에 발행한 『제6회 아악생교과철』로 간주할 수 있다. 크기는 가로 27.8cm 세로 20.1cm이고 65쪽에 한자와 한글이 기본이고 더러 일본어가 섞여 있다. 활자본 인쇄가 아니라 필사본 등사 책으로 공식 출판서는 아니나 서문과 목차를 갖추었으며 제목에서와 같이 아악생들의 교육용 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체계가 있게 구성되어 있다. 서문에 앞의 빈 종이에는 ‘初等樂科書’(초등교과서)라는 글씨가 있다.
○ 편찬 목적
서문에는 이 책을 편찬한 이유와 성격 등이 적혀 있는데, 이 책이 ‘초등 정도의 아악입문서’라고 교육 수준을 먼저 밝히고 율명에서부터 궁중전승음악인 제례악과 연례악을 학습할 수 있게 하고 악전(기초음악이론)을 부록으로 넣어 악보를 볼 수 있도록 하여 교과용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빈약하지만 나중에 증보 정정하는 것으로 하고 우선 급하게 편찬하였다고 하였다. 아악생을 모집할 때 음악학습이 된 사람을 뽑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초 교육부터 시켜야 하고 아악부에서 행하는 의식에 참여시킬 필요성이 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 구성 및 세부내용
내지의 첫 쪽에는 ‘아악수 시간표’가 있고 다음 쪽에 서문이 있으며 그 다음 쪽에 목차(目錄)이 있고 본문으로 들어간다. 아악수 시간표에는 1940년 5월 13일이라는 날짜가 있고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는 7교시까지 토요일은 4교시까지 수업과목이 적혀 있다. 과목은 합주, 실습, 연구, 악강, 기악, 시가, 연무, 무, 가(갑, 을, 일반), 한문, 체조 11개 과목이다. 과목이 들어 있는 칸 아래에는 합주 곡목도 적어 놓았는데, 제 1, 3주와 제 2, 4주에 하는 곡목이 분리되어 있고 합주과목이 있는 월, 화, 목, 토요일 배치되어 있으므로 합주 시간에 연주하는 곡목인 것으로 보인다. 합주곡은 <승평만세지곡>, <기수영창지곡>, <서일화지곡>, <장춘불로지곡>, <태평춘지곡>, <응안지곡>, <보태평지곡>, <정대업지곡>, <어휴곡>, <정동방곡>, <일승월항지곡>, <경록무강지곡>, <만년장환지곡>, <중광지곡>, <표정만방지곡>, <동동>, <수제천>, >, <절화>, <함녕지곡>, <금전악> , <경풍년> 등 22종이다. 시간표는 다음과 같다.
토 | 금 | 목 | 수 | 화 | 월 | 아악수 시간표(소화 15년 5월 13일) | ||
합주 | 歌(甲) | 합주 | 가(일반) | 합주 | 악장 | 1 | ||
합주 | 歌(乙) | 합주 | 한문 | 합주 | 연구 | 2 | ||
연무 | 악강 | 연무 | 시가 | 舞 | 歌(乙) | 3 | ||
연구 | 연구 | 기악 | 시가 | 歌(甲) | 실습 | 4 | ||
기악 | 연구 | 歌(乙) | 연구 | 합주 | 5 | |||
기악 | 연구 | 기악 | 연구 | 합주 | 6 | |||
실습 | 실습 | 악강 | 실습 | 체조 | 7 | |||
만년장환지곡 | 응안 보태평 정대업 어휴 정동방 | 기수 태평춘 서일화 장춘 취태평 | 승평만세지곡 | 제 1,2주 | 합주곡목 | |||
동동 수제천 절화 함령 금전 경풍년 | 만년장환지곡 | 중광지곡 표정만방지곡 | 승평만세지곡 | 제 2,4주 |
목차는 25개만 제시되어 있으나 본문에는 번호가 없는 3개 항목이 더 있어서 28개 항목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항목의 차례대로 목록을 성격별로 구분하여 범주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구분 | 제6회 아악생 교과철의 목차 | 개요 | ||
---|---|---|---|---|
기초이론 | 1 | 12율명 평성 청성 중청성 | 12율명과 청성 중청성 쓰는 법, 탁성은 없음. 12율명의 약자를 합자보(당대 제작), 약자보(송대(趙) 제작), 상하일이지보(이조세조대 제작) 제시 | |
궁중 연주 악곡 목록 | 2 | 조선 악곡의 약력 | 조선악곡을 제례악과 연례악으로 나누어 각각 제례악 28곡 연례악 5곡의 창작 시기, 등헌가, 악장가사 여부 구분하여 표로 제시 | |
문묘악 | 3 | 석전제의 및 봉안신위 | 태조 4년부터 공자의 신위를 봉안하고 매년 봄 가을에 거행했다가 1937년부터 4월 10월 15일로 변경 실행했다. / 봉안신위는 공자와 안자, 자사, 증자, 맹자, 10철 6현 등 112인 56위 봉안. 문묘는 현재 지방 각도에 327개소가 있다. | |
4 | 석전제악(문묘제악) | 황종궁 이하 15궁 곡의 악보와 음계 | ||
악보: 황남임고 태고임남 응남유고 남임황태 | ||||
황남태황 응남황고 태황남유 남고태황 | ||||
음계: 황태고유임남응 | ||||
아악기의 유래와 연주법 및 조율법 | 5 | 편종의 내력 및 타법 | 4,000년 전 중국 황제 헌원씨 때 악사 윤이 제작. 고려조 공민왕 19년, 이조 태조왕 때 명에서 이입. | |
6 | 편경의 내력 및 타법 | 4,000년 전 중국 황제 헌원씨 때 경씨의 소작. 고려조에 들어옴. 고려조 공민왕 19년에 명에서 이입. 세종7년 관습도감사 박연이 명을 받고 해주에서 거서를 구하고 남양에서 경석을 얻은 후 제작. | ||
7 | 절고의 내력 및 타법 | 1,300년 전 중국 수나라 시대에 창작, 500년 전 이조 세종 때 명에서 이입. 아악 악장, 등가에 사용. | ||
8 | 박(拍)의 내력 및 격법 | 1,500년 전 중국 晋나라 송섬(宋纖)의 창작, 800년 전 고려 예종 9년 송에서 이입. 제례 및 연례에 사용. 양손으로 합쳐서 침. | ||
9 | 지(篪)의 내력 및 취법, 발음법, 조율법 | 4,000년 전 중국 황제 헌원씨 소작. 고려조 예종 9년 송에서 이입. 취법은 양 손으로 지공을 개폐하고 취구로 음을 발함. 운지법은 악학궤범과 같으나 청황 청태 부분만 빠짐. | ||
10 | 약(籥)의 내력 및 발음법, 조율법 | 4,000년 전 중국 황제 이기(伊耆)씨 소작. 제례와 연례에 사용하고 문무(文舞)에도 사용. 저취나 역취가 없고 운지법은 악학궤범과 동일하다. | ||
11 | 적(篴)의 내력 및 발음법, 조율법 | 2,900년 전 중국 주나라 문왕 때 창작. 고려 예종 9년 송에서 이입. 운지법은 12율을 내는 데는 악학궤범과 같고 4청성은 평성 운지법과 같이 하고 역취. | ||
12 | 훈(塤)의 내력 및 발음법, 조율법 | 4,000년 전 중국 제곡씨의 신하 염(염)의 창작. 고려 예종 9년 송에서 이입. 제례 및 연례에 사용. 운지법은 악학궤범과 같음. | ||
음악이론 | 13 | 계명 및 율명 | 계명에 “나, 누, 루, 너, 노” 등의 구음 계명을 붙여 읽을 수 있게 함. 부호는 절고, 박, 大金, 연음표, 접속표, 요성표, 変下표 등을 그림으로 표현 제시함. | |
14 | 율명, 구음, 음공, 발음 | 관악기의 잔가락 선율을 위한 구음표와 운지하는 음공과 발음을 적어 놓음. 예) 나니나->黃南黃 | ||
종묘악 관련 이론 | 15 | 종묘제의 및 봉안신위 | 종묘제에 대한 설명-태조 원년에 종묘를 건축, 태조 4년에 조성한 이래 이조 열성조의 신위를 봉안하여 매년 4계 4맹삭 상순 제향해 왔다가 1940년부터 6절기에 변경 실행하였으니 향사 절차를 제의라 한다. 종묘 신위실은 19실 영녕전은 15실, 공신각에 84위 봉안 연 겨울 1회 제향을 거행. | |
16 | 제례악곡의 부호 | 목록은 2개, 실제는 1개로 | 종묘악곡-청황종조 황종위치, 제3평조(황태고중임남응) 희문, 기명, 형가, 즙령, 융화, 현미, 열광정명, 대유, 역성, 진찬, 소무, 독경, 탁정, 선위, 신정, 분웅, 순응, 총유, 정세, 혁정, 영관의 율자 기보에 절고와 大金의 부호를 넣은 악보 | |
17 | 종묘악곡의 우조 및 계면조 | |||
연주악곡의 악보 | 18 | 경모궁악곡 | 경모궁제악인 어휴곡, 진색곡, 유길곡, 혁우곡, 독령곡, 휴운곡, 휘유곡의 율자 기보에 절고와 大金의 부호를 넣은 악보 | |
19 ~24 | 유황곡, 정동방곡, 경록무강지곡(만), 기수영창지곡(낙양춘), 태평춘지곡(본령), 서일화지곡(해령) | 19번에서 24번까지 5개 곡의 율자 기보에 13번에서 제시한 부호를 넣은 각각의 악보이다. 부호는 절고, 박, 大金, 연음표, 접속표, 요성표, 変下표 등의 표시이다. 경록무강지곡 이하 4곡은 모두 여민락계 음악이다. | ||
25 | 장춘불로지곡 | 장춘불로지곡은 속명이 보허자라고 소개하고 정간 율자를 넣고 장단을 표시한 정간보 악보이다. 초장, 2장,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 ||
|
||||
속악기의 유래와 연주법 및 조율법 | 당필율의 내력 및 취법, 조율법 | 2,000년 전 중국 구자에서 창작. 고려 공양왕 때 명에서 이입. 궁중 제례 및 연례에 사용. 취법은 고개를 숙이고 정좌하여 좌우 손으로 음공을 개폐함. 서(리드)를 약 4분쯤 물고 공기를 넣어 평취, 역취한다. 조율법은 『조선악기편』(1933)과 같다. | ||
대금 중금 소금의 내력 및 취법 조율법 | 1,200년 전 신라 신문왕의 창작. 궁중 제례 및 연례에 사용. 삼국사기에 삼죽은 대금 중금 소금이라. 조율법은 『조선악기편』(1933)과 같이 대금과 중금만 제시하였고 운지법도 같다. | |||
해금의 내력 및 탄안법, 조율법 |
1,100년 전 중국 당 시대의 창작. 고려 예종 9년에 중국 송에서 이입.
궁중 제례와 연례에 사용. 혹 민간에도 사용. 해금은 악기 자체에 팔음이
보존됨(금-감자비, 석-석간, 사-현, 죽-簡, 포-원산, 토-송진, 혁-활끝
상단, 목-주아) 연주법은 고개를 숙이고 정좌하여 무릎위에 올리고
왼손으로 간죽과 현을 잡고 오른 손으로 활을 긁는다. 이상은
『조선악기편』(1933)과 같으나 조율법(우조 계면조)은 새로 그린 것이다.
|
악곡명 | 곡수 | 창작시기 년대 | 용별 | 악장가사 | ||
---|---|---|---|---|---|---|
제례악 | ||||||
황종궁 | 黃鍾宮 | 1 | 이조 세종시 | 508년 | 헌가 | 악장 |
대려궁 | 大呂宮 | 1 | 이조 세종시 | 508년 | 헌가 | 악장 |
태주궁 | 太簇宮 | 1 | 이조 세종시 | 508년 | 등가 | 악장 |
협종궁 | 夾鍾宮 | 1 | 이조 세종시 | 508년 | 등가 | 악장 |
고선궁 | 姑洗宮 | 1 | 이조 세종시 | 508년 | 헌가 | 악장 |
중려궁 | 仲呂宮 | 1 | 이조 세종시 | 508년 | 등가 헌가 | 악장 |
유빈궁 | 蕤賓宮 | 1 | 이조 세종시 | 508년 | 헌가 | 악장 |
임종궁 | 林鍾宮 | 1 | 이조 세종시 | 508년 | 헌가 | 악장 |
이칙궁 | 夷則宮 | 1 | 이조 세종시 | 508년 | 등가 | 악장 |
남려궁 | 南呂宮 | 1 | 이조 세종시 | 508년 | 등가 | 악장 |
무역궁 | 無射宮 | 1 | 이조 세종시 | 508년 | 등가 | 악장 |
응종궁 | 應鍾宮 | 1 | 이조 세종시 | 508년 | 등가 헌가 | 악장 |
송신황종궁 | 送神黃鍾宮 | 1 | 이조 세종시 | 508년 | 헌가 | 악장 |
송신협종궁 | 送神夾鍾宮 | 1 | 이조 세종시 | 508년 | 헌가 | 악장 |
송신임종궁 | 送神林鍾宮 | 1 | 이조 세종시 | 508년 | 헌가 | 악장 |
보태평지악 | 保太平之樂 | 11 | 이조 세조시 | 477년 | 등가 헌가 | 악장 |
보태평지악 | 保太平之樂 | 1 | 이조 세조시 | 477년 | 등가 | 악장 |
풍안지악 | 豊安之樂 | 1 | 이조 세조시 | 477년 | 헌가 | 악장 |
정대업지악 | 定大業之樂 | 1 | 이조 세조시 | 477년 | 헌가 | 악장 |
옹안지악 | 雍安之樂 | 1 | 이조 세조시 | 477년 | 등가 | 악장 |
흥안지악 | 興安之樂 | 1 | 이조 세조시 | 477년 | 헌가 | 악장 |
유황곡 | 惟皇曲 | 1 | 이조 세조시 | 477년 | 등가 헌가 | 악장 |
정동방곡 | 靖東方曲 | 1 | 이조 세조시 | 477년 | 등가 헌가 | 악장 |
희운지악 | 熙運之樂 | 3 | 이조 정조시 | 128년 | 등가 | 악장 |
융은지악 | 隆恩之樂 | 3 | 이조 정조시 | 128년 | 헌가 | 악장 |
숙안지악 | 肅安之樂 | 1 | 이조 정조시 | 128년 | 헌가 | 악장 |
강안지악 | 康安之樂 | 1 | 이조 정조시 | 128년 | 등가 | 악장 |
경안지악 | 景安之樂 | 1 | 이조 정조시 | 128년 | 헌가 | 악장 |
연례악 | ||||||
기수영창지곡 | 其壽永昌之曲 | 1 | 고려조 | 600여년 | 헌가 | 관악 |
경록무강지곡 | 景籙無彊之曲 | 1 | 고려조 | 600여년 | 등가 헌가 | 관악 |
태평춘지곡 | 太平春之曲 | 1 | 고려조 | 600여년 | 등가 헌가 | 관악 |
서일화지곡 | 瑞日和之曲 | 1 | 고려조 | 600여년 | 등가 헌가 | 관악 |
장춘불로지곡 | 長春不老之曲 | 1 | 이조 세조시 | 477년 | 등가 헌가 | 관악 |
비고란에는 보충 설명이 있는데, 의식 절차에 대한 것도 있고 속명도 적어 놓았지만 문묘악과 종묘악의 원곡의 창작 연대를 ‘기원 2600년’ 이라고 한 것은 매우 시사하는 바가 크다. 1940년은 일본기원 2600년과 관련된 각종 행사가 있었던 때이다.
악곡명 | 비고 | |
---|---|---|
황종궁 대려궁 태주궁 협종궁 고선궁 중려궁 유빈궁 임종궁 이칙궁 남려궁 무역궁 응종궁 송신황종궁 송신협종궁 송신임종궁 |
년대는 기원 2600년에 상당 | |
보태평지악 | 세종창작, 세조 개정 | 초헌례 9장, 인입 1, 인출 1 |
보태평지악 | 전폐(희문) | |
풍안지악 | 진찬 | |
정대업지악 | 아헌례 9장 , 인입 1, 인출 1 | |
옹안지악 | 진찬 (철변두) | |
흥안지악 | 송신 (진찬) | |
유황곡 | 문소전 제악 | |
정동방곡 | ||
희운지악 | 경모궁제악 | 초헌례 악장 , 인입 1, 인출 1 |
융은지악 | 아헌례 악장 , 인입 1, 인출 1 | |
숙안지악 | 진찬 (혁우곡 1) | |
강안지악 | 철변두 (혁우곡 1) | |
경안지악 | 송신 (혁우곡 1) | |
기수영창지곡 | 속명 낙양춘 | |
경록무강지곡 | 속명 만 | |
태평춘지곡 | 용비어천가 | 속명 본령 |
서일화지곡 | 용비어천가 | 속명 해령 |
장춘불로지곡 | 속명 보허자 / 세종 창작, 세조 개작 |
구음 | 나 | 누 | 루 | 너 | 노 | 느 | 르 | 나 | 니․로 | 니․러 | 니 |
계명 | 黃 | 太․夾 | 姑 | 仲 | 林 | 南․無 | 應 | 潢 | 汰․浹 | 㳞 | 淋 |
湳 | 淋 | 㳞 | 㴌 汰 | 潢 | 應 | 南 | 林 | 仲 | 姑 | 太 | 黃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以上力吹 | 以上平吹 |
㶂 | 潕 | 湳 | 淋 | 㳞 | 浹 | 汰 | 潢 | 無 | 南 | 林 | 仲 | 夾 | 太 | 黃 | 㒇 | 㑲 | 㑣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以上力吹 | 以上平吹 | 以上低吹 |
淋 | 㳞 | 浹 | 汰 | 潢 | 無 | 南 | 林 | 仲 | 夾 | 太 | 黃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以上力吹 | 以上平吹 |
윤병천, 「『아악생 4회 교과철』 율명의 구음법 연구」, 『한국음악연구』 61, 한국국악학회, 2017.
김수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