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각종 연희를 직업으로 삼던 전문가
주로 무당의 남편인 무부(巫夫)를 일컫는다. 무속 의례인 굿에서 음악을 연주했고, 이외에도 지방 감영에 소속되어 각종 의식과 행사에서 음악을 연주하기도 했다.
재인의 유래는 매우 오래 되었다. 재인은 굿에서 음악을 연주했기에 굿이 있었던 시기에 재인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미루어 알 수 있다. 재인을 화랭이라 칭하기도 하는데, 이는 신라시대 ‘화랑((花郞)’에서 유래된 말이다. 공인이라는 말은 고려시대 궁중음악인을 일컫는 용어이다.
재인은 각종 연희를 직업으로 삼던 전문가를 일컫는다. 이들은 주로 무당 집안 출신의 무부로서, 피리, 젓대, 해금 등의 각종 악기를 연주한다. 『경기도창재도청안(京畿道唱才都廳案)』에 의하면 재인의 조직체인 재인청의 계원은 세습무당 집안 출신으로, 전적으로 무악(巫樂)을 연주하는 화랑, 줄타기나 물구나무서기 등의 곡예를 하면서도 무악을 연주하는 재인, 가무예능인이며 무악을 연주하는 광대로 구분하기도 했다. 지방에 따라 무부를 일컫는 용어가 다르기도 한데, 서울에서는 ‘전악(典樂)’, 전라도에서는 ‘고인[工人]’, 동해안에서는 양중(兩中)이라고 한다. 남성 악사를 화랭이 또는 산이(사니)라고도 한다.
서울과 한강 이남의 전문적 연희자들은 주로 세습무계의 무부(巫夫)인 재인, 북방 민족 계통의 수척과 반인(泮人) 등이었다. 그러나 세습무가 없는 황해도와 평안도에서는 재인촌의 재인들이 전문적 연희자로 활동하고 있었는데, 이들은 북방 민족의 후예였다. 중국 사신이 왔을 때 평양, 황주, 개성 등 북쪽 지역에서도 산대와 채붕을 가설하고 산대희를 연행했는데, 이때 연희자와 악사들은 바로 재인촌의 재인이었다.
재인은 각종 연희를 직업으로 삼던 전문가로서 주로 무속 집안 출신의 남성들이다. 이들은 굿판의 음악을 익혀서, 조선 후기 이후 판소리와 기악 음악의 명인이 되기도 했다.
이용식, 『한국음악의 뿌리 팔도 굿음악』, 서울대학 교출판부, 2009. 전경욱, 『한국전통연희사』, 학고재, 2020,
이용식(李庸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