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서(律書), 주채신서(朱蔡新書)
1187년 중국 송나라 채원정(蔡元定)이 저술한 악률 이론서.
1187년 북송대의 성리학자 채원정(蔡元定, 1135~1198)이 중국 송대(宋代)까지의 악률에 관한 논의를 심도 있게 집약하고 자신이 내세우고 있는 이론을 피력한 음악 이론서이다. 책은 「악률본원」과 「악률증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의 가장 핵심은 변율론이다. 18율(律)과 60조(調)에 관한 이론을 다루었다. 세종조에 율관을 제정하고 아악기를 제작하는 데 가장 중요한 근거 이론으로 삼았으며 『악학궤범』의 권1에서 가장 핵심적인 이론인 60조론, 12율위장도설, 변율론, 양률율려 재위도설 등에서 인용된 문헌이다.
이 책의 저자 채원정은 남송대의 악률가이며 이론가이다. 자는 계통(季通)이고 건양(建陽) 사람이다. 악서의 서문은 당시 주희(朱熹), 즉 주자가 썼고 주자의 참여가 있다고 생각하여 훗날 이를 ‘주채신서(朱蔡新書)’라고 부르기도 했다. 율려신서는 기존의 악률론이 가지고 있었던 왕이불반(往而不反)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론을 피력하고자 제작된 것이다. 이 책은 조선 초기 성리학설을 집대성한 『성리대전(性理大全)』 안에 포함되어 함께 들어왔으며 1430년부터 세종의 경연에서 교재로 사용되었고 아악 정비의 기초 사업인 율관 제작의 문헌적 근거로 사용되었다. 또 조선 후기에는 이만부(李萬敷)·황윤석(黃胤錫)·박치원(朴致遠)·유희(柳僖) 등의 학자들이 『율려신서』만을 가지고 해석 또는 번역을 시도했고, 조선 후기 악률론에서 중요한 악서로 널리 활용되었다.
○ 편찬 정보
『율려신서』는 조선 초기 『성리대전(性理大全)』에 포함되어 들어왔다. 『성리대전』은 1414년 명나라 호광(胡廣,1370~1418) 등 42명이 편찬한 총 70권의 성리학(性理學) 문집이다. 『성리대전』에 속한 저서는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설(太極圖說, 권1)』과 『통서(通書, 권2, 3)』, 장재(張載)의 『서명(西銘, 권4)』과 『정몽(正蒙, 권5, 6)』, 소옹(邵雍)의 『황극경세(皇極經世, 권7~13)』, 주희(朱熹)의 『역학계몽(易學啟蒙, 권14~17)』과 『가례(家禮, 권18~21)』, 채원정(蔡元定)의 『율려신서(律呂新書,권22, 23)』, 채침(蔡忱)의 『홍범황극내편(洪範皇極內篇, 권24, 25) 등이다. 『성리대전』 22권과 23권에 『율려신서』가 들어 있고 채원정의 아들인 채침의 『홍범황극내편』이 24권과 25권에 걸쳐 있다. 성리학의 정수라고 여겨지는 책에 채원정 부자의 저술이 다 들어간 것이다. 그만큼 채원정 일가가 성리학에 통달한 가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 동시에 『율려신서』의 성격이 성리학의 틀 안에 있음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의 1415년 판본 『성리대전』이 조선 세종 원년(1419)에 명나라에서 들어온 책을 토대로 다시 발간하여 내려오고 있다. 현재 가장 오래된 『성리대전』 판본은 세종 9년(1427) 복간본이며 목판본 70권 23책이고 변계량(卞季良, 1369~1430)의 발문이 첨부되었다. 이후 두 번째 판본은 인조 22년(1622) 70권 35책으로 복간되었으며, 현재 서울대 규장각도서관에 전한다. 정조조(1776~1800)에 세 번째로 복간된 판본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과 경북대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외에도 연대 불명 10종의 판본이 있다.
○ 구성 및 세부 내용
『율려신서』는 13개 항목으로 구성된 「율려본원」(律呂本元)과 10개 항목으로 구성된 「율려증변」(律呂證辨), 이렇게 두 편(篇)으로 나뉘어 편찬되었다. 「율려본원」은 음악이론의 원론적인 문제를 논의한 것이라면, 「율려증변」은 그 이론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내세우고 이에 대해 논증하는 방식으로 서술되었다.
律呂新書(一) 律呂本原(율려본원) | 律呂新書(二) 律呂證辨(율려증변) | ||
---|---|---|---|
第一 | 黃鐘(황종) | 第一 | 造律(조율) |
第二 | 律長短圍徑之數(율장단위경지수) | ||
第二 | 黃鐘之實(황종지실) | 第三 | 黃鐘之實(황종지실) |
第三 | 黃鐘生十一律(황종생11율) | 第四 | 三分損益上下相生(삼분손익상생) |
第四 | 十二律之實(12율지실) | ||
第五 | 變律(변율) | 第五 | 和聲(화성) |
第六 | 律生五聲圖(율생오성도) | 第六 | 五聲小大之次(오성소대지차) |
第七 | 變聲(변성) | 第七 | 變宮變徵(변궁변치) |
第八 | 八十四聲圖(84성도) | 第八 | 六十調(60조) |
第九 | 六十調圖(60조도) | ||
第十 | 候氣(후기) | 第九 | 候氣(후기) |
第十一 | 審度(심도) | 第十 | 度量權衡(도량권형) |
第十二 | 假量(가량) | ||
第十三 | 謹權衡(권근형) |
『율려신서』에서 거론하고 있는 것은 황종율관 수치, 12율관, 오성과 변성, 변율, 84성과 60조, 후기법, 도량형의 문제로 압축할 수 있는데, 먼저 황종율관의 길이와 원둘레, 원면적, 체적분 등을 다 거론하고 있다. 이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변율이론이다. 변율은 삼분손익의 마지막 율인 중려에서 다시 삼분손익을 하게 되면 처음 기준율인 황종율로 다시 돌아가지 않는다는 데에서 발생한다. 변율은 기존 정율보다 조금 높다. 채원정은 이 때문에 6변율을 쓰자는 주장을 한다.황종율을 기준으로 하여 삼분손익하는 과정에서 13번째에는 기준음인 황종으로 돌아가지 않고 조금 높은 율이 나온다. 그렇기 때문에 이를 변율이라고 한다. 이어 변황종의 율 이후 다시 삼분손익을 하게 되면 변임종이 나오고 그 다음은 변태주가, 변남려가, 변고선이, 변응종, 변유빈, 변대려, 변이칙, 변협종, 변무역, 변중려 등이 나오며 그 다음에 나오는 율도 모두 변율이다. 즉 끊임없는 변율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음계를 만들어 나갈 때에 12개의 정율만을 궁으로 삼아 음계를 만든다면, 황종에서 중려까지 궁으로 삼는 12개의 음계에는 6개의 변율만 발생한다. 이 때문에 변율은 6개, 즉 변황종, 변임종, 변태주, 변남려, 변응종, 변고선에서 그칠 수 있다.
『율려신서』는 동양악률사에 있어서도 무게를 가지는 악서이다. 악률에 관한 논의는 기원전 4~5세기 『관자』에서부터 시작하여 『사기ㆍ율서』, 『한서ㆍ율력지』 등에서 크게 논의가 되었는데, 이 중에 특히 삼분손익의 마지막 음이 끝내 애초의 음으로 돌아가지 않는다는 왕이불반(往而不返)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었다. 북송대에 나온 채원정의 『율려신서』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6변율(變律)을 제시했다. 변율론은 명대에 주재육이 계산해 낸 신법밀율, 즉 평균율로의 전환 이전의 대안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뿐만 아니라 『율려신서』는 조선시대 유교적 음악 정책과 그 실천으로 음악 부흥을 이루는 데 가장 핵심적인 문헌 근거로 사용되었다.
송방송, 「蔡元定의 『律呂新書』 해제」, 『온지논총』 10, 온지학회, 2004. 이후영 역주, 『국역 율려신서』, 도서출판 문진, 2011. 김수현, 『朝鮮時代 樂律論과 詩樂和聲』민속원, 2012. 김수현, 「『律呂新書摘解』를 통해서 본 柳僖의 악률론 연구」, 『동방학』 22, 한서대 동양고전연구소, 2012. 김병애, 「『율려신서』의 번역 교감 주석 고찰」, 『동양철학연구』 72, 동양철학연구회, 2012. 김수현, 「金謹行의 「律呂新書箚疑」에 대한 연구」, 『한국음악사학보』 54, 한국음악사학회, 2015. 『中國音樂詞典』, 중국 인민음악출판사, 1985. 김수현, 「『악학궤범』에 수용된 『율려신서』의 율론 연구」, 『조선의 악률론과 근대의 음악론』, 경인문화사, 2021.
김수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