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금신보 전』(『韓琴新譜 全』)
1724년 응천 후인이 한립의 거문고 악보를 토대로 편찬한 거문고 악보집
1724년 응천 후인(凝川后人)이 스승인 한립의 거문고 악보를 토대로 편찬한 거문고 악보집으로, 민간에서 연주되던 대엽류 가곡, 〈여민락〉, 《보허자》, 《영산회상》 계통 음악 등의 풍류 음악의 거문고 선율과 고금 및 거문고의 금론 등을 기록하고 있다.
○ 체재 및 규격
필사본 1책 54장. 세로 29.0cm × 가로 22.5cm
○ 소장처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도서관
○ 편찬연대 및 편저자 사항
책의 앞표지에 악보명 ‘한금신보 전(韓琴新譜 全)’이 보인다
책의 발문에는 편찬연도 ‘갑진년(甲辰年)’이란 필사기가 적혀 있으며, 선율과 기보법을 비교하여 『한금신보』의 편찬연도가 『금보신증가령(琴譜新證假令)』(1680년)과 『유예지(遊藝志)』(1806~1813년 추정) 사이인 1724년(경종 4)에 완성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편저자로 보이는 응천 후인(밀양 박씨 후손)이 쓴 발문이 실려 있다.
이 악보의 발문에 의하면 응천 후인은 어릴 적에 마포 강가의 수명정(水明亭)에서 살았으며, 거문고에 대한 관심을 가졌으나 정식으로 거문고 스승을 만나지 못했다. 수명정은 많은 풍류객들이 찾았던 풍류의 장소였기 때문에 어린 시절부터 거문고 음악을 듣고 자란 응천 후인은 거문고를 애호했다. 후에 용호(龍湖)에 사는 양헌(梁巘)에게 한 해 정도 거문고를 배웠으며, 장악원 소속의 유명한 거문고 연주자 한립(韓立 또는 韓笠, ?∼?)에게도 거문고를 배웠다. 응천 후인은 한립이 제공한 거문고 악보를 통해 거문고를 연주했으나 중년 이후 상고가 잇따라 겹쳐서 거문고를 그만두게 되었고 악보도 잃어버렸다. 그러나 늙어 한가하게 되어서야 다른 이가 소장한 스승의 악보를 찾아 빠진 부분을 보충하여 1724년에 이 책을 편찬하게 되었다 한다.
현재 한립의 악보로 이 악보 외에 『운몽금보(雲夢琴譜)』(1707년)가 전한다.
응천 후인이 정확히 누구인지는 알려진 바가 없지만, 수명정의 창건자로 알려진 박이서(朴彛叙, 1561~1621)의 본관이 밀양이고, 밀양의 옛 이름이 응천이라는 점에서 응천 후인은 박이서의 후손으로 추정되었다. 응천 후인은 발문에 중국의 고금(古琴)과 우리나라의 거문고, 그리고 악(樂)을 대상으로 한 이론적 내용인 금론(琴論) 및 악론(樂論)을 기록하였다. 『한금신보』는 응천 후인과 같은 문인 음악 애호가들의 거문고 실기를 발전시키고, 거문고 음악의 정신과 상징, 그리고 음악의 본질을 이론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가의 음악을 주관했던 유생들 대부분은 음악을 이론적으로 알고 있었지만, 실제로 음악을 듣는 귀가 없는 경우가 많았기에 『문헌통고(文獻通考)』를 지은 송(宋)의 마단림(馬端臨, 1254~1323)이 쓴 ‘논유생부지악(論儒生不知樂)’이란 글을 실어 개인적인 음악 교육뿐만 아니라 국가의 음악 담당자들을 위한 음악 이해의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 구성 및 내용
이 책의 서문에는 중국의 고금, 악(樂), 한국의 거문고 등에 대한 음악 이론 내용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 부분에는 거문고의 유래, 연주 규범, 연주 방법, 그리고 기보법 등에 대한 내용이 다루어져 있어서 거문고 이론을 공부하고 실제 거문고 연주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이 악보집은 거문고로 연주하는 〈만대엽〉, 〈중대엽〉, 〈북전〉, 〈삭대엽〉, 〈여민락〉, 〈조음〉, 그리고 《보허자》, 《영산회상》 계통 음악이 수록되어 있다. 모든 악곡에서는 거문고 합자보와 한글 육보를 병기하여 음의 높이와 연주법을 기보한다.
우선 대엽류 가곡은 〈만대엽(慢大葉) 평조(平調) 속칭(俗稱) 느ᄌᆞᆫ한닙〉ㆍ〈평조 중대엽(中大葉) 제1ㆍ2ㆍ3〉ㆍ〈평조 북전(北殿) 속칭 뒤뎐, 혹칭 후정화(後庭花) 제1ㆍ2〉ㆍ〈평조 삭대엽(數大葉) 제1ㆍ2ㆍ3〉ㆍ〈우조(羽調) 중대엽 제1ㆍ2ㆍ3〉ㆍ〈우조 북전 제1ㆍ2〉ㆍ〈우조 삭대엽 제1ㆍ2ㆍ3ㆍ4〉ㆍ〈평조계면조 중대엽 제1 按絃皆力按ㆍ2ㆍ3〉ㆍ〈평조계면조 북전 제1ㆍ2〉ㆍ〈평조계면조 삭대엽 제1ㆍ2ㆍ3〉ㆍ〈우조계면조 중대엽 제1ㆍ2ㆍ3〉ㆍ〈우조계면조 북전 제1ㆍ2〉ㆍ〈우조계면조 삭대엽 제1ㆍ2ㆍ3ㆍ4〉ㆍ〈평조계면조 역괘법(易棵法)〉ㆍ〈평조 삭대엽 이호선보(李好善譜)〉 등이 수록돼 있다.
이 악보집에 수록된 〈우조 삭대엽〉은 제1~4로 분화되었는데, 각각 현행 가곡의 변주곡에 해당한다. 특히 〈우조 삭대엽〉 제1은 거문고의 유현 4괘로 연주되었지만 〈우조 삭대엽〉 제4는 거문고의 유현 7괘로 연주되는 변주곡으로, 조선 후기 음악의 고음화 현상을 보여주는 악곡 중 하나로 소개되기도 한다.
다음으로 기악곡으로 《보허자》 계통 음악은 〈보허자(步虛子) 우조 팔편(八篇)〉ㆍ〈보허자 본환입(本還入) 속칭 밋도드리〉ㆍ〈보허자 삭환입(數還入) 속칭 ᄌᆞᆫ도드리〉, 그리고 〈보허자 제지(除指) 속칭 ᄀᆞ락더리〉 총 4곡이 수록돼 있다. 이 중 〈보허자 본환입〉은 거문고의 유현 4괘를 중심으로 연주되는 현행 〈밑도드리〉, 즉 〈본환입〉에 해당한다. 〈보허자 삭환입〉은 거문고의 유현 7괘를 중심으로 연주되는 현행 〈웃도드리〉, 즉 〈세환입〉에 해당한다. 그리고 〈보허자 제지〉에서 ‘제지’는 ‘가락더리’라는 뜻으로 현행 〈우조 가락환입〉에 해당한다.
이어서 《영산회상》 계통 음악은 〈영산회상(靈山會上) 우조계면조〉ㆍ〈영산회상환입(靈山會上還入) 再三還入可也 도드리〉ㆍ〈영산회상제지(靈山會上除指) 가락더리〉 총 3곡이 수록돼 있다. 이 중 〈영산회상 환입〉과 〈영산회상 제지〉는 《영산회상》의 가장 이른 시기의 변주곡들로 추정되었다.
끝으로 〈여민락〉은 〈여민락(與民樂) 제1장 우조〉ㆍ〈여민락 우조 제2장〉이, 〈조음〉은 〈조음(調音) 속칭 다ᄉᆞ림〉ㆍ〈조음 우조〉ㆍ〈조음 우조〉ㆍ〈조음 우조〉이 수록돼 있다.
[악보 차례]
만대엽 평조 속칭 느ᄌᆞᆫ한닙(慢大葉 平調 俗稱 느ᄌᆞᆫ한닙)
평조 중대엽 제1(平調中大葉 第一)
평조 중대엽 제2(平調中大葉 第二)
평조 중대엽 제3(平調中大葉 第三)
평조 북전 속칭 뒤뎐, 혹칭 후정화 제1(平調北殿 俗稱 뒤뎐, 或稱 後庭花 第一)
평조 북전 제2(平調北殿 第二)
평조 삭대엽 제1(平調數大葉 第一)
평조 삭대엽 제2(平調數大葉 第二)
평조 삭대엽 제3(平調數大葉 第三)
우조 중대엽 제1(羽調中大葉 第一)
우조 중대엽 제2(羽調中大葉 第二)
우조 중대엽 제3(羽調中大葉 第三)
우조 북전 제1(羽調北殿 第一)
우조 북전 제2(羽調北殿 第二)
우조 삭대엽 제1(羽調數大葉 第一)
우조 삭대엽 제2(羽調數大葉 第二)
우조 삭대엽 제3(羽調數大葉 第三)
우조 삭대엽 제4(羽調數大葉 第四)
평조계면조 중대엽 제1(平調界面調中大葉 第一 按絃皆力按)
평조계면조 중대엽 제2(平調界面調中大葉 第二)
평조계면조 중대엽 제3(平調界面調中大葉 第三)
평조계면조 북전 제1(平調界面調北殿 第一)
평조계면조 북전 제2(平調界面調北殿 第二)
평조계면조 삭대엽 제1(平調界面調數大葉 第一)
평조계면조 삭대엽 제2(平調界面調數大葉 第二)
평조계면조 삭대엽 제3(平調界面調數大葉 第三)
우조계면조 중대엽 제1(羽調界面調中大葉 第一)
우조계면조 중대엽 제2(羽調界面調中大葉 第二)
우조계면조 중대엽 제3(羽調界面調中大葉 第三)
우조계면조 북전 제1(羽調界面調北殿 第一)
우조계면조 북전 제2(羽調界面調北殿 第二)
우조계면조 삭대엽 제1(羽調界面調數大葉 第一)
우조계면조 삭대엽 제2(羽調界面調數大葉 第二)
우조계면조 삭대엽 제3(羽調界面調數大葉 第三)
우조계면조 삭대엽 제4(羽調界面調數大葉 第四)
평조계면조 역괘법(平調界面調 易棵法)
평조 삭대엽 이호선보(平調數大葉 李好善譜)
보허자 우조 팔편(步虛子 羽調八篇)
보허자 본환입 속칭 밋도드리(步虛子 本還入 俗稱 밋도드리)
보허자 삭환입 속칭 ᄌᆞᆫ도드리(步虛子 數還入 俗稱 ᄌᆞᆫ도드리)
보허자 제지 속칭 ᄀᆞ락더리(步虛子 除指 俗稱 ᄀᆞ락더리)
영산회상 우조계면조(靈山會上 羽調界面調)
영산회상환입 재삼환입가야 도드리(靈山會上還入 再三還入可也 도드리)
영산회상제지 가락더리(靈山會上除指 가락더리)
여민락 제1장 우조(與民樂 第一章 羽調)
여민락 우조 제2장(與民樂 羽調 第二章)
조음 속칭 다ᄉᆞ림(調音 俗稱 다ᄉᆞ림)
조음 우조(調音 羽調)
조음 우조(調音 羽調)
조음 우조(調音 羽調)
『한금신보』는 『금보신증가령』(1680년)과 『유예지』(1806~1813년 추정) 사이의 거문고 음악의 변천과 18세기 전반 양반과 중인이 중심이 된 풍류방 음악의 일면을 밝히는데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책에는 편저자의 발문 및 거문고와 음악 이론, 그리고 〈만대엽〉, 〈중대엽〉, 〈북전〉, 〈삭대엽〉, 〈여민락〉, 〈조음〉, 그리고 《보허자》, 《영산회상》 계통 음악 등의 다양한 거문고 음악이 수록되어 있어, 당시의 거문고를 중심으로 한 음악 사회를 이해하고 거문고 이론 및 실기 내용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현재 『한금신보』의 영인본은 국립국악원 홈페이지 ‘연구/자료-학술연구-영인ㆍ번역’ 섹션에서 원문 DB 서비스로 제공된다.
『금보신증가령』 『운몽금보』 『유예지』
강명관 외, 『역주 고악보』 2, 민속원, 2021. 최선아, 『지음을 기다리며』, 민속원, 2021. 김지연, 「한금신보 본환입 박자고」,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성유진, 「한금신보의 영산회상환입과 유예지의 삼현회입」,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손태룡, 「한금신보의 보허자제지 고」, 『한국음악사학보』 11, 한국음악사학회, 1993. 송방송ㆍ김형동, 「한금신보의 영산회상ㆍ환입ㆍ제지에 대한 비교 고찰」, 『음악연구』 6, 한국음악학회, 1988. 신현남, 「한금신보의 보허자 본환입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이혜구, 「한금신보의 우조삭대엽」, 『장사훈박사 회갑기념 동양음악논총』, 한국국악학회, 1977. 임병옥, 「한금신보 우조삭대엽의 재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최선아, 「『한금신보』 (1724) 편찬자의 음악적 배경」, 『한국음악사학보』 51, 한국음악사학회, 2013. 최선아, 「『한금신보』의 금론 및 악론 연구」, 『동양음악』 36,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2014. 한명희, 「한금신보해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68.
최선아(崔仙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