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선도(尹善道, 1587~1671) 생가의 윤형식(尹亨植)이 소장한 악보로, 현재 원본은 고산 윤선도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영인본은 1989년에 국립국악원에서 『한국음악학자료총서』(14)의 일부로 간행되었다.
○ 체재 및 규격
필사본 1책 25장. 세로 25.0cm×가로 18.0cm
○ 소장처
고산 윤선도 박물관
○ 편찬 연대 및 편저자 사항
책의 앞표지 겉면에 악보명 ‘낭옹신보(浪翁新譜)’가 보인다.
낭옹(浪翁)은 조선 숙종에서 영조 연간의 음악인인 김성기(金聖起)의 호로, 1728년 가을 최탁지가 쓴 이 악보의 서문에 의해서 김성기가 세상을 떠나자 아들과 제자 남원군(南原君) 이설 등이 전수받았던 거문고 가락을 정리하여 악보를 만들고 그의 호를 따서 악보 이름을 『낭옹신보』라 한 것이다. 김성기는 거문고 외에도 퉁소, 비파의 명인으로 유명하였다. 젊어서 활을 만드는 조궁장(造弓匠)이었으나 거문고를 배워 뛰어난 기량을 보여 노년에는 서호에 배를 띄우고 소일하면서 제자들에게 거문고를 가르쳤다고 한다.
○ 구성 및 내용
가장 먼저 『낭옹신보』 상(上)에 서문과 목록이 기록되어 있다.
이어서 합자와 구음에 대한 설명이 나오는데 특별히 연주 기호 ‘艮’(은축(磤蹴), 즉 비 내리는 하늘에 섬광처럼 우레 치는 법)과 ‘想’(줄에 닿을 듯 말 듯 겨우 스치는 법)은 이 악보에서 처음 나온 거문고 연주법을 표기한 것이라 주목된다. 대체로 합자와 구음에 대한 설명은 『한금신보(韓琴新譜)』(1724)와 『어은보(漁隱譜)』(1779)와 유사하다.
『낭옹신보』 상(上)에 수록된 악곡은 다음과 같다.
〈평조 고조 심방곡〉ㆍ〈북전(北殿) 속칭 후정화 단 삼편 평조(後庭花 但三編 平調〉(“누은들”)ㆍ〈중대엽(中大葉) 제1(第一) 속칭 심방곡〉(“黃河水”)ㆍ〈제2(第二)〉(“碧海”)ㆍ〈제3(第三)〉(“부헙코”)ㆍ〈삭대엽(數大葉) 평조 제1〉ㆍ〈제2〉ㆍ〈제3〉ㆍ〈제4〉ㆍ〈평조 조음(調音) 다ᄉᆞ임〉ㆍ〈평조계면조 조음 다ᄉᆞ임〉ㆍ〈평계조 북전〉ㆍ〈계면 중대엽 제1〉(“어제”)ㆍ〈제2〉(“百川이”)ㆍ〈제3〉(“三冬의”)ㆍ〈삭대엽 평계 제1〉(“올나이다”)ㆍ〈제2〉ㆍ〈제4〉ㆍ〈보허자(步虛子) 8편(八篇) 평조〉 총 19곡의 평조 음악만이 수록돼 있다. 목록에 보이는 〈여민락〉과 〈환입〉ㆍ〈대현환입〉ㆍ〈지제〉ㆍ〈영산회상〉ㆍ〈영산환입〉ㆍ〈삼현환입〉의 악보는 하(下)에 수록된 악곡으로 보이는데 『낭옹신보』 하편은 누락되어 전하지 않는다.
특별히 악곡에 전승 내력과 입수 경위까지 세세히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어 첫 곡인 〈평조 고조 심방곡〉에 “요즘은 이 곡을 노래하지 않는다.”는 설명이 붙어 있다. 대부분의 악곡은 “원태(原台)가 전하여 기록한다.”는 설명이 붙어 있다.
모든 악곡은 거문고의 합자와 한글 육보로 음의 높이와 연주법을 표기하였다.
음악은 평조와 평조계면조로 나누어져 있고, 각 조에 〈북전〉ㆍ〈중대엽〉 1ㆍ2ㆍ3, 〈삭대엽〉 1ㆍ2ㆍ3ㆍ4, 〈조음〉이 있다. 이전의 악보에 항상 등장하던 〈만대엽〉이 보이지 않고, 〈북전 평조〉의 노랫말 “누은들”은 연세대학교 소장 『금보』의 것과 같으나 음표가 더 많다.
[악보 차례]
평조 고조 심방곡(平調 古調 心方曲)
북전 속칭 후정화 단 삼편 평조(北殿 俗稱 後庭花 但三編 平調)(“누은들”)
중대엽 제1 속칭 심방곡(中大葉 第一 俗稱 心方曲)(“黃河水”)
제2(第二)(“碧海”)
제3(第三)(“부헙코”)
삭대엽(數大葉) 평조 제1ㆍ제2ㆍ제3ㆍ제4
평조 조음(調音) 다ᄉᆞ임
평조계면조 조음 다ᄉᆞ임
평계조 북전
계면 중대엽 제1(“어제”)ㆍ제2(“百川이”)ㆍ제3(“三冬의”)
삭대엽 평계 제1(“올나이다”)ㆍ제2ㆍ제4
보허자(步虛子) 8편(八篇) 평조
『낭옹신보』는 거문고 명인 김성기의 거문고 가락을 모아서 아들과 제자들이 전수받았던 곡을 정리하여 편찬한 거문고 악보집으로 17세기 후반 18세기 초반의 김성기 명인의 거문고 가락을 연구하는 데 기초 자료가 된다. 이 악보를 통해 18세기 전반 거문고 명인과 조선의 지식인을 중심으로 한 한강 서호(서강)에서 향유되었던 거문고 음악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현재 『낭옹신보』의 원본 소장 정보는 고산 윤선도 박물관에서 제공되고 있다. 영인본은 국립국악원 홈페이지 ‘연구/자료-학술연구-영인ㆍ번역’ 섹션에서 원문 DB 서비스로 제공된다.
『낭옹신보』 『어은보』 연세대학교 소장 『금보』 『한금신보』
강명관 외, 『역주 고악보』 2, 민속원, 2021. 김영운, 「낭옹신보 소재 평조삭대엽 및 평조계면조 삭대엽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이혜구, 「현존 거문고보의 연대고」, 『국악원논문집』 1, 국립국악원, 1989; 「현존 거문고보의 연대고」, 『한국음악논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5 재수록. 장사훈, 「7. 낭옹신보(浪翁新譜)」, 『한국음악학자료총서』 14, 국립국악원, 1989. 최선아, 「조선후기 금론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조선후기 금론연구』, 민속원, 2017 재수록.
최선아(崔仙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