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전기 악학궤범(1493)이 출판되기 이전부터 거문고와 해금에 사용되었던 연주기법으로 조선 후기에는 역안법과 함께 사용되었다. 악학궤범 해금의 산형에는 태(太)를 장지로 짚고, 중(仲)을 무명지로 짚을 때 간격이 넓게 제시되었던 점에서 중(仲) 음을 경안법으로 연주하였음을 알 수 있다.
거문고를 연주할 때 왼손의 무명지, 장지, 식지, 모지를 사용하여 유현과 대현을 괘에 닿도록 가볍게 눌러 집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거문고로 중려(仲呂) 음을 낼 때, 유현 4괘를 무명지로 짚은 후, 모지로 유현 7괘를 가볍게 눌러(경안) 소리내는 방법이다. 역안법(力按法)에 대비되는 연주법이다.
해금을 연주할 때 왼손의 식지로 황(黃) 음을 내도록 위치한 후, 장지로 줄을 가볍게 짚어, 태(太) 음을 소리내는 방법이다.
송방송, 『증보한국음악통사』, 민속원, 2007. 장사훈, 『국악기연주법』, 한국국악학회, 1963. 김우진, 『거문고산조』, 민속원, 2013. 성현, 『악학궤범』, 1493. 안상, 『금합자보』, 1572.
김우진(金宇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