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학궤범에 산형이 처음 보이며, 관악기의 지공과 음, 현악기의 현.괘와 음을 알기 쉽게 보여주며, 편종,편경·방향 등의 타악기와 지공이 없는 관악기 소(簫)에는 산형이란 용어 없이 율자만 기록하였다.
산형이 제시된 관악기는 관(管)·약(籥)·화(和)·생(笙)·우(竽)·적(篴)·훈(塤)·지(篪)·당적(唐笛)·당피리(唐觱篥)·통소(洞簫)·대금(大笒)·소관자(小管子)· 향피리(鄕觱篥)이며, 현악기는 금(琴)·슬(瑟)·월금(月琴)·당비파(唐琵琶)·해금(奚琴)·대쟁(大箏)·아쟁(牙箏)·현금(玄琴)·향비파(鄕琵琶)·가야금(伽倻琴)이다. 향악을 연주할 때 악조에 따라 조현이나 운지법이 달라야 하는 당비파·해금·아쟁·현금·향비파·가야금·대금에서는 각각의 악조에 따른 산형을 구분하여 수록하고 있다. 가장 다양한 악조의 산형을 수록한 악기는 거문고이며, 낙시조평조, 우조평조, 낙시조계면조, 우조계면조, 최자조, 탁목조, 궁조, 상조, 각조, 청풍체 이상 10종의 산형을 수록하고 있다.
송방송, 『악학궤범용어총람』, 보고사, 2010.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11. 김기수, 『대금정악』, 은하출판사,1984. 『금합자보』 『양금신보』 『유예지』
김우진(金宇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