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묘제례악》 중 제사에서 신에게 예물을 올리는 전폐(奠幣)에 연주하는 악곡의 이름
문묘제례 중 전폐의 절차에 연주하는 악곡의 이름으로 당상에서 등가가 남려궁을 연주한다. 음악의 연주와 함께 악장이 불려지고, 문무인 〈열문지무〉가 추어진다. 현재 연주되고 있는 명안지악은 『악학궤범』에 수록된 아악곡 15곡 가운데 남려궁으로서 『세종실록』 「악보」의 제사 아악 가운데 “황종궁1”의 남려궁에 해당한다. 문묘제례에 전폐의 절차가 포함되고 그 음악에 ‘명안’이란 곡이름이 처음 사용된 것은 북송 인종 경우(景祐) 원년(1034)부터이다. 악장은 북송 휘종 대관(大觀) 4년(1110)에 대성부(大晟府)에 의하여 다시 지어졌고, 임우(林宇)의 「대성악보」에 전폐악 명안지악의 악장으로 수록되었다. 곡이름과 악장은 우리나라 문묘제례의 전폐악에 그대로 채용되었지만 악보는 전혀 다르다. 우리나라 전폐악 명안지악은 임우 「대성악보」의 영신악 〈응안지악〉 황종궁에서 파생하여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명대에 곡이름이 바뀌고, 청대 이후로 전폐례가 없어지는 등의 변화가 있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여전히 송대의 곡이름과 북송 휘종대의 악장을 사용하고 있다. 명안지악 악장 자생민래 수저기성(自生民來 誰底其盛) 사람이 생겨난 뒤로 누가 그 성함을 따를손가. 유왕신명 탁월전성(惟王神明 度越前聖) 오직 문선왕만이 신명하시니 이전의 성인들을 뛰어넘으시도다. 자폐구성 예용사칭(粢幣俱成 禮容斯稱) 서직과 폐백이 다 갖추어졌고, 예의와 용모가 절차에 알맞으니 서직비형 유신지청(黍稷非馨 惟神之聽) 서직이 향기롭지 못하오나 신께서는 흠향하시옵소서.
번역 출처: 국립국악원 발행, 『국악전집 9』, 《문묘제례악》(1981)
정화순(鄭花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