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서북부 지역에 전승되는 민요에 사용되는 음악 양식.
반경토리의 분포 지역으로 경기도 서북부를 꼽는데, 이 지역은 황해도와 경기도의 접경 지역이다. 황해도의 대표적 음악 양식인 반수심가토리가 ‘라도레미솔’음계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반경토리와 반수심가토리가 연관이 있을 것으로 본다. 즉 황해도 반수심가토리와 동일한 ‘라도레미솔’음계와 경기 지역 진경토리의 시김새적 특성이 만나 만들어진 토리가 반경토리라 할 수 있다.
반경토리는 ‘라도레미솔’ 구조로 되어 있고 주로 ‘라’로 종지한다. 간혹 ‘레’로 종지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를 구분하여 별도의 토리로 해석하지는 않는다. 종지음으로 사용되는 ‘라’와 ‘레’, 그리고 그 위의 ‘미’음을 더해 ‘라-레-미’의 세 음을 주요음으로 본다. 반경토리의 시김새가 진경토리와 유사하지만 반수심가토리의 특성이 약간 남아 있어 일부 음에서 요성이 사용되거나 흘러내리는 시김새도 나타난다. 요성은 주로 높은 음에서 형성되는 일이 많아 ‘레’, ‘미’, ‘솔’에서 나타나는데, 이 역시 반수심가토리의 요성 위치와 관련이 있다. 흘러내리는 음은 두 음의 간격이 넓을 때, 높은 음이 길게 지속되다가 하행할 때 더 유효하기 때문에 ‘솔-미’, ‘도-라’와 같은 진행에서 나타난다. 서도의 수심가토리와 반수심가토리, 경기도의 경토리 계열이 대체로 음역대를 높이 사용하는 특성이 있어 음계보다 아래쪽 음으로 확대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나타난다. 따라서 ‘라도레미솔’음계의 ‘라’보다 완전4도 아래쪽의 ‘미’음을 짧게 툭 치고 올라오는 ‘라-미-라’진행이 간혹 사용된다.
반경토리로 된 통속민요에는 <한강수타령>, <베틀가>, <천안삼거리>, <경복궁타령>, <오봉산타령>, <오돌독>, <훨훨이> 등이 있다.
<한강수타령>은 ‘라도레미솔’음계 내에서 선율이 만들어지며 다만 받는소리 초반에 ‘라-미’의 진행을 2회 사용하고 있다. ‘라’로 종지하여 반경토리의 특성이 잘 드러나는 곡이다. <베틀가>는 ‘라도레미솔라도’로 옥타브 위쪽으로 확장되어 있고 ‘라’로 종지하지만 ‘라레미’가 주요음이 아니라 ‘라도미’음을 주요음으로 사용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천안삼거리>도 한강수타령과 같이 아래쪽 ‘미’음을 짧게 사용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반경토리 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라’로 종지한다.
<오돌독>은 제주도 민요로 알려져 있으나 본래 사당패소리 계열의 악곡이다. ‘라도레미솔’음계를 사용하며 ‘레’로 종지한다. ‘라도레미솔라도(시)’의 넓은 음역을 사용하면서 메기는소리 전반부에는 ‘미솔라도’ 중심으로 선율이 형성되고 후반부에는 ‘라도레미솔’ 중심으로 선율이 형성된다. 이는 마치 메나리토리에서 반경토리로 조를 바꾼 것과 같은 효과를 만든다. 이런 점은 민요보다는 직업음악가들의 음악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음악적 기법이다.
반경토리의 구성음을 가진 향토민요는 경기도뿐 아니라 황해도, 함경도, 강원도 등 넓은 지역에 흩뿌려져 나타난다. 그러나 핵심 전승지역은 경기도와 황해도로 압축될 수 있다. 반경토리 악곡에는 농요를 비롯한 노동요, 상여소리와 같은 의식요 등에 두루 전승되며 타 지역에서 진경토리로 부르던 곡을 반경토리로 부르는 경우도 다수 발견된다. 즉 동일곡이라도 지역에 따라 토리가 달라지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향토민요 가운데 <우야훨훨>은 경기 서북부 지역에서 논맬 때 부르는 일노래로 ‘라도레미’의 네 음만 사용하는 곡이다. 새를 쫓는 노래이므로 ‘훨훨’을 높이 질러 내는 곡이어서 종지음은 ‘레’음으로 높다. <우야훨훨> 이외에도 반경토리 민요곡은 더 많다.
경기지역 민요 가운데에는 진경토리로 노래하던 곡을 반경토리로 부르거나 난봉가토리로 부르는 곡을 반경토리로 바꾸어 부르는 등 토리 활용이 매우 유연하다.
반경토리는 경기 서북 지역 음악어법으로‘라도레미솔’음계에 ‘라’, 또는 ‘미’로 종지하며 진경토리 시김새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으나 실제 악곡에서는 더 다양한 특징들로 세분할 수 있다. 경기 서북 지역 향토민요에서 소박하게 사용되는 반경토리가 있는가 하면 통속민요 반경토리에서는 음계 아래쪽이나 옥타브 위쪽으로 음역이 확대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신민요 계열에서는 서양음악 단조의 특성이 섞이면서 주요음이 ‘라레미’가 아닌 ‘라도미’의 형태로 변화되기도 하고, 사당패소리 <오돌독>처럼 여러 지역 토리의 특성이 섞이는 경우도 나타난다.
김영운, 「한국 민요 선법의 특징」, 『한국음악연구』 28, 2000.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20. 김혜정, 『민요의 채보와 해석』, 민속원, 2013. 김혜정, 「경기민요의 장르적 구분과 음악적 특성」, 『기전문화연구』 37, 2016. 이소영, 「일제강점기 신민요의 혼종성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7. 이윤정, 「경기 논농사소리의 음악적 정체성」,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7. 신은주, 「한국 민요 선법(토리)의 연구 성과 검토 및 논점」, 『한국민요학』 46, 2016. 이보형, 「토리의 개념과 유용론」, 『소암권오성박사화갑기념음악학논총』, 2000. 이보형, 「경서토리 음구조 유형에 관한 연구」, 문화재연구소, 1992. 전지영, 「경토리의 개념과 범주 재고」, 『국악교육』 36, 2013.
김혜정(金惠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