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경토리(南道京토리), 성주풀이토리
경기도 남부, 충청남도와 전라남북도 지역에 전승되는 음악 양식.
남부경토리는 논농사소리를 비롯한 노동요에서 집중적으로 사용된다. 여러 사람이 힘을 모아 부르는 민요에 남부경토리가 많다는 것은 이 음악 양식의 역사가 길고 지역 기반이 탄탄하다는 의미이다. 남부경토리라는 명칭때문에 경토리가 남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있지만 실제로는 남도에서 자생한 고유의 토리로 보아야 한다.
남부경토리의 이칭으로 성주풀이토리라는 이름이 있을 정도로 남부경토리의 대표 악곡으로 <성주풀이>를 꼽는다. <성주풀이>는 남도 잡가의 일종으로 기원을 담는 고사소리에 포함되기도 하고, 씻김굿의 무가로도 노래되고 있다. 씻김굿에서 성주풀이는 성주굿의 본풀이 기능을 하기도 하고 여러 굿거리의 마무리에서 풀이와 오신의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특히 풀이와 오신을 위한 <성주풀이>는 노래보다 삼현이 강조되어 노래는 짧게 끝내고 삼현을 길게 연주하여 무녀의 춤 반주 역할을 하며, 이때는 <성주풀이>라 하지 않고 <에라만수>라고 한다. <성주풀이>는 ‘솔라도레미’구조에 ‘솔’로 종지하며 굿거리장단으로 반주한다. <성주풀이>를 관현악으로 반주할 때에는 남도삼현 굿거리 가락을 연주한다. 즉 <성주풀이>는 일반적인 민요가 아니라 삼현육각의 기악곡 기반으로 만들어진 성악곡으로서 남부경토리라는 독특한 토리를 사용하게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성주풀이>는 잡가꾼이나 무녀 등 직업음악인들의 노래이므로 중반에 전조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성주풀이>와 달리 전라도에 널리 전승되는 민요 가운데에 남부경토리를 사용하는 사례들이 있다. 주로 남자들이 단체로 일하며 부르는 노동요에서 이와 같은 남부경토리가 많이 발견된다. 힘을 내서 일해야 하는 노래에서는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것이 좋으므로 ‘미라시도’의 육자배기토리 중 ‘도-시’의 반음을 조금 넓게 쓰거나, ‘도’와 ‘시’의 독립성을 강화하는 형태를 선호하게 되는 것이다. ‘도-시’의 반음이 넓어지면서 음계는 ‘솔도레미’의 형태와 같아져 경토리와 유사해지지만, 육자배기토리의 고유한 시김새인 떠는목과 꺾는목의 하행 특성이 남아 있으므로 남부경토리라 하는 것이다.
전남의 서부 지역에서 불리는 긴소리권 농요들에 남부경토리가 많이 발견되는데 ‘솔라도레미’의 음계 가운데 ‘라’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솔도레미’를 중심으로 음계가 형성되며, ‘도’로 종지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남부경토리의 남부는 경기지역 이남 지역을 이르는 말이다. 해당 지역이 넓기 때문에 남부경토리의 양상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경기도의 남부에서 충청남도 북부에 이르는 권에서는 경토리에 가까운 남부경토리 형태가 나타난다. 음계가 ‘솔라도레미’이며 시김새의 사용도 진경토리와 유사한 순차진행을 보이지만 종지는 ‘도’로 하는 사례들이다. 남부경토리는 시김새가 육자배기토리의 시김새적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경토리 시김새를 가진 곡들과 구별되어야 한다. 그러나 ‘신경토리’가 서양음악 영향으로 새롭게 생겨난 토리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는 점에서 농요에서의 ‘도’종지 ‘솔라도레미’음계를 신경토리가 아닌 남부경토리로 묶어 보기도 한다.
남부경토리는 ‘솔라도레미’음계에 ‘도’종지라는 구성으로 규정되나, 시김새와 선율 진행의 특성을 고려하면 더 많은 유형으로 세분된다. 육자배기토리 시김새가 반영된 전라도 농요의 남부경토리, 기악곡 영향이 있는 성주풀이형 남부경토리, 경토리 시김새가 반영된 경기남부와 충남의 남부경토리 등이 대표적이다.
김영운, 「한국 민요 선법의 특징」, 『한국음악연구』 28, 2000.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20. 김혜정, 『민요의 채보와 해석』, 민속원, 2013. 김혜정, 「경기민요의 장르적 구분과 음악적 특성」, 『기전문화연구』37, 2016. 신은주, 「한국 민요 선법(토리)의 연구 성과 검토 및 논점」, 『한국민요학』 46, 2016. 이보형, 「토리의 개념과 유용론」, 『소암권오성박사화갑기념음악학논총』, 2000. 이보형, 「경서토리 음구조 유형에 관한 연구」, 문화재연구소, 1992. 전지영. 「경토리의 개념과 범주 재고(再考)」. 『국악교육』 36, 2013.
김혜정(金惠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