곱노리
원래의 선율보다 높은 음으로 연주하는 변주 방식.
‘갑탄’의 ‘갑’은 순우리말로 ‘곱’이고 ‘탄’은 ‘노리’에 해당하여 ‘곱노리’는 말 그대로 곱절로 올려서 연주하는 것을 의미한다.
18세기 거문고 악보인 『어은보』(1779)의 〈영산회상갑탄〉에서 ‘갑탄’이라는 용어가 나온다. 〈영산회상갑탄〉은 거문고 4괘법으로 연주하는 <영산회상>에 이어 이를 7괘로 올려 연주하여 변주한 곡이다. 『어은보』와 거의 동시대의 가집인 『악학습령(樂學拾零)』, 일명 『병와가곡집』에서는 〈영산회상〉에 이어 〈영산갑탄(靈山甲彈)〉이 나오는데, “속칭(俗稱) 영산(靈山)곱노리”라는 설명이 있어서 갑탄이 곱노리임을 알 수 있다.
〈영산회상〉 모음곡의 형성 과정에서 『어은보』에 이르러 최초로 〈영산회상〉의 원곡에서 변주된 제2곡이 출현하는데, 그 곡의 이름이 〈영산회상갑탄〉이다. 〈영산회상〉은 거문고 4괘법으로 연주하는데 반복하여 연주하다가 7괘법으로 완전4도 올려서 연주하며 변주하였기 때문에 〈영산회상갑탄〉이라고 한 것이다. 『악학습령』에서는 해당 곡을 〈영산회상〉과 〈영산갑탄〉이라고 하였다. 이 두 곡은 현행의 〈상령산〉과 〈중령산〉에 해당한다. 이처럼 갑탄은 원래의 선율보다 높은 음역으로 올려 변주하는 연주 방식을 뜻하는 용어이다. 갑탄과 같이 전통적인 변주 방식을 지칭하는 용어로는 현행 〈여민락〉 등 곡에서 피리가 옥타브, 완전 5도 등 위로 올려 변주하는 ‘쇠는 가락’을 들 수 있다.
갑탄은 국악의 전통적인 변주 방식을 설명하는 용어의 하나이다.
『어은보』 『악학습령』
국립국악원, 『한국음악학자료총서 제17집 : 역양아운, 희유, 금보(단), 고대금보A, 고대금보B, 하바드대금보, 어은보』, 국립국악원, 1985. 이형상ㆍ이학의 편저, 이상규ㆍ이정옥 주해, 『한국음악학학술총서 제9집 : 악학습령』, 국립국악원, 2013. 임병옥, 「『한금신보』 영산회상환입과 『어은보』 영산회상갑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국악원논문집』 25, 2012. 홍선례, 「어은보의 영산회상 갑탄」, 『한국음악연구』 10, 1980.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ory.go.kr/front/km/view.do?levelId=km_025_0030_0010)
서인화(徐仁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