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궁중 장악(掌樂) 기관의 맥을 이어온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전통공연예술기관
조선 시대 장악원 악인(樂人)들은 일제강점기에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로 명맥을 이어오다가 광복 이후 구왕궁아악부라는 단체명으로 활동했다. 구왕궁아악부는 구왕궁사무청에 소속되어 시조강습회와 서울중앙방송국을 통한 라디오 국악해설 등의 활동을 이어오다가 경제적 어려움으로 단절 위기에 처하게 되자 아악사장 이주환(李珠煥, 1909~1972)을 중심으로 국회에 아악부 국영에 관한 청원서를 제출했다. 그 결과, 1950년 1월 대통령령으로 국립국악원 직제가 공포되었다. 그러나 국악원 개원을 위한 행정적인 후속 조치 중에 한국전쟁이 발발했다. 이에 임시 육군 군예대가 창설되었고, 국악 분야는 제3소대 국악소대로 편성되어 평양 공연 등 전시에 따른 활동을 했다. 이후 임시 수도인 부산에 피란 중 1951년 4월 20일 국립국악원의 개원을 맞이하게 되었다.
○ 설립 목적
1950년 국무회의의 의결을 거쳐 제정한 국립국악원 직제가 대통령령 제271호로 공포되었다. 이에 따르면, 국립국악원은 “민족음악의 보존과 발전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의 소속기관 직제 제10장에 따르면, 국립국악원은 지금도 이와 같이 “민족음악을 보존・전승하고, 그 보급 및 발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고 있다.
○ 조직 체계와 구성원
2024년 1월 현재를 기준으로 국립국악원은 고위공무원 가급인 원장 이하에 기획운영단(기획관리과, 장악과, 국악진흥과, 무대과로 구성)과 국악연구실 및 세 곳의 지방국악원, 국악연주단이 있다. 국악연주단에는 정악단, 민속악단, 무용단, 창작악단의 네 개 단체가 있다. 정원 전체 870명 중에 공무원은 160여 명이며 행정직, 연구직, 방송무대직 등 일반직공무원으로 구성되고, 국악연주단 정단원 약 500명, 공무직 200여 명, 정원 외 기획단원 40여 명 등이 있다. 기획관리과는 주요사업계획수립, 인사, 예산, 시설을 담당하고, 장악과는 공연을 담당하는데, 장악과의 명칭은 조선 시대 장악원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 국악진흥과는 국악 진흥 보급, 홍보, 마케팅을 담당하고, 무대과는 음향, 조명, 기계, 장치, 의상, 소품, 악기 등을 담당하며, 국악연구실은 국악 자료 조사 및 수집, 정책·교육·악기 연구, 국악 유물 관리, 자료 제공, 정보화 사업 및 전산 운영 등을 담당하고 있다.
국악연주단 중 정악단은 조선 시대 장악원에서 연주하던 궁중악, 그리고 풍류악을 연주하고, 민속악단은 판소리와 산조, 민요 등 민속악과 판굿 등 연희를 연행한다. 무용단은 전통 무용 전반을, 창작악단은 전통 국악에 기초한 창작음악을 담당한다.
현재 소속 지방국악원으로 전북 남원 소재 국립민속국악원, 전남 진도 소재 국립남도국악원, 부산 소재 국립부산국악원이 있으며, 해당 지역에서 국악의 보존 및 진흥 활동을 하고 있다.
○ 역사 변천 과정
1951년 초대 원장으로 구왕궁아악부 아악사장이었던 이주환이 임명되었다. 이때 13명의 연주자들이 예술사로 임명되었는데, 이들은 1953년 주사(主事)로 공무원 정원에 포함되었고 1954년 공무원 직종으로 국악사가 신설되자 1955년에 모두 국악사가 되었다.
1953년 정부의 서울 환도와 함께 국악원은 기존의 구왕궁아악부 청사를 미군이 사용하는 등의 사정으로 몇 곳을 전전하다가 1955년 종로구 운니동에 정착하였으며 이때 국악사양성소가 국악원 부설로 개소되었다. 1967년 종합민족문화센터 1차 계획에 따라 국악사양성소와 함께 남산으로 이전하였다. 이후 1972년 국악사양성소는 국립국악고등학교로 승격되면서 문교부로 이관되었는데, 당시 국립국악원은 문화공보부 소속이었다. 1982년 예술의전당 서초동 건립이 결정되었고, 국립국악원도 1987년 서초동으로 이전했다.
국립국악원 조직과 구성원은 공무원 직종 개편에 따라 일련의 변화 과정을 거쳤으며, 부서별 업무도 여러 차례 바뀌었다. 전체적으로 인원은 점차 증원되었고, 조직은 확대되었다. 1979년 <중요무형문화재 상설극장> 공연을 위해 민속악 연주자들을 대거 채용하였고 민속악단이 만들어졌다. 1981년부터 정악 중심의 연주자와 무용수를 제1계열, 민속악 연주자를 제2계열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1993년에는 정악단, 민속악단, 무용단에 각 예술감독 제도를 두고 분리 운영 했다. 2004년에 창작악단이 창단되었다. 국립국악원은 2001년 국악FM방송국 (FM99.1 MHz) 개국을 추진하여 운영하기도 했으나, 방송국은 2007년 상암동으로 이전했다. 지방에서는 1991년 국립민속국악원을 시작으로, 2004년 국립남도국악원, 2008년 국립부산국악원이 개원했다.
○ 활동
국립국악원은 ‘민족음악의 보존・전승과 보급 및 발전’을 위해서 공연, 교육, 연구, 전시를 포함한 다방면의 활동을 하고 있다. 공연시설로는 대극장 예악당과 자연음향 기반의 우면당, 그리고 신발을 벗고 좌식 의자에 앉아 공연을 감상할 수 있는 풍류사랑방이 있다. 또한 야외에는 연희마당이 있어 4개 국악연주단의 자체 공연과 대관 공연 등을 하고 있다. 대관 공연은 개인과 단체의 신청을 받아 계획서 심사를 거쳐 이루어진다.
자체 공연으로는 1999년 처음으로 제례 절차와 음악과 일무(佾舞) 연행의 무대화를 시도한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등을 대규모 ‘대표공연’으로 제작하여 국내외로 순회공연 하고 있으며, 일찍이 1964년 일본 요미우리신문사 초청공연을 시작으로 전 세계 많은 국가에서 다양한 공연을 펼치며 해외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이외에도 1974년 관악영산회상 전곡 완주 공연을 비롯한 연주단별 정기 공연, 1988년부터 지속해 온 ‘토요상설공연’, 1996년 ‘세종 32년’으로 시작된 대형 국악극 혹은 음악극을 비롯해서 계기별, 절기별, 대상별 상설 및 기획공연 등을 하고 있으며, 궁궐, 서원 등 다양한 문화 공간과 소외지역에서 공연을 펼치고 있다.
국악 전승과 저변확대를 위한 국악 교육도 국악원 주요 사업 중 하나이다. 1951년 부산에서 국악강습회를 시작한 이래 1967년 교원직무연수, 1984년 청소년 대상 국악강습, 1991년 외국인을 위한 국악문화학교, 2000년 이후 어린이 대상 국악강좌 등 다양한 강습을 개최하며 국악교육 확대 및 체계화에 힘써 왔다. 국악인 양성을 위해서 1955년 국악사양성소를 개소한 데 이어, 1981년 국악경연대회, 1987년 국악동요공모전, 2012년 국악학술상 및 평론상 공모 등 국악인재 발굴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2008년에는 온라인교육사이트인 e-국악아카데미를 개설하여 국악교육의 확산에 이바지하였고, 국민들이 일상에서 국악을 누릴 수 있도록 2008년 서울지하철 환승역 안내 배경음악으로 사용된 <얼씨구야> 등 생활국악 콘텐츠를 보급해 오고 있다.
코로나 이후에는 여러 단체와 협업하며 민간예술인 지원공연을 기획하고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여 SNS를 통해 국내외에 배포하고 있다. 1988년 개실한 국악자료실은 일반인 누구에게나 개방된 국악공부방으로, 1995년 개관한 국악박물관은 국악의 산 교육장으로 운영되고 있다. 2007년에는 기록물의 수집, 관리, 보존, 활용 시스템을 전문화하여 국악아카이브를 개설하여 국립국악원에서 생산하는 기록물은 물론, 국내외의 국악관련 기록물을 수집하고 있다. 또한 2021년 공연연습장 예인마루를 개관하여 단원들의 연습실뿐 아니라 세미나실을 갖추고 국악 관련 다양한 이슈에 대해 토론하는 세미나를 지속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조선 시대 장악원에서 악서 및 악보 편찬을 해왔듯이 국악원에서도 국악학술 진흥 차원에서 많은 자료를 발간해 왔는데, 1968년부터 무보(舞譜)와 악보, 1979년부터 고악보와 악서를 영인한 한국음악학자료총서, 1991년부터 국립국악원 및 국악계 현황 자료를 담은 국악연감 등 매년 많은 도서와 시청각 자료를 발간·제작 하여 국악 연구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일찍이 1964년 국악기개량연구위원회를 설치한 바 있으며, 2006년에는 국악연구실 아래 악기연구소를 두고 본격적으로 과학적 악기 연구 및 개량과 복원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2022년부터는 국악계 많은 필진과 힘을 합쳐 온라인 멀티미디어 국악사전을 운영하고 있다.
역대 궁중 장악(掌樂) 기관의 전통을 이어 온 국립국악원은 세계적으로 드물게 긴 역사를 가진 국립 전통공연예술기관이다. 문화체육관광부 소속기관으로 ‘국악의 종가’로 불리며, 각종 공연을 비롯하여 교육, 전시, 연구, 해외 교류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국악의 미와 가치를 국내외에 알려왔다. 2024년 국악진흥법이 시행됨에 따라 국립국악원은 국악계의 구심점으로서 K-가무악의 원류인 국악을 진흥하는 더욱 큰 역할을 부여받고 있다.
류성렬, 「건축과 시설로 본 국립국악원」, 『국립국악원 개원70년사』, 국립국악원, 2021. 명현, 「국립국악원 조직의 변천」, 『국립국악원 개원70년사』, 국립국악원, 2021. 박일훈, 「1945년 광복부터 국립국악원 개원까지」, 『역대 국립음악기관 연구』, 국립국악원, 2001. 송상혁, 「대표사업으로 보는 국립국악원 70년 약사」, 『국립국악원 개원70년사』, 국립국악원, 2021. 국립국악원 누리집(www.gugak.go.kr) 문화체육관광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2024.6.11. 시행(https://www.law.go.kr/LSW/lsSc.do?section=&menuId=1&subMenuId=15&tabMenuId=81&eventGubun=060101&query=%EA%B5%AD%EB%A6%BD%EA%B5%AD%EC%95%85%EC%9B%90#undefined).
서인화(徐仁華)